유통명 : 폴리셔스
학 명 : Polyscias fruticosa (L.) Harms
이번에는 태평양제도에서 온 열대 관엽식물 Polyscias fruticosa에 대하여 알아본다. 2~3회 우상복엽의 잎이 아름다워 외국에서 한 때 엄청 인기를 구가하다가 생산유통 구조의 문제로 잠시 주춤하였다가 최근에 다시 인기를 찾아가는 중에 있다고 하는데 아직 국내는 이 수종은 미등록 상태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유통업계에서 선전하는 전자파 차단이니 하는 과장성 홍보는 외국에서는 어느 자료에서도 본 적이 없다. 항상 그렇게 생각하지만 식물 하나를 두고서 전자파 차단이니 만병통치니 하면서 너무 많은 것을 바라는 것은 우리 인간들의 지나친 탐욕이 아닌가 한다. 그저 관엽식물은 잎의 아름다움을 감상하면 되는 것이다. 거기에다가 더 좋은 효과나 용도가 있다면 더욱 좋고.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폴리셔스라고 발음하여 부르지만 국표식에서는 폴리스키아스속(Polyscias)으로 표기하며 전세계적으로는 100여 종 이상이 분포하지만 우리나라에는 4개 종이 등록되어 있는데 재미있는 것은 그 이름이 두릅속을 뜻하는 아라리아(aralia)로 국명(국문 이름)이 정해져 있다는 것이다. 폴리스키아스속도 두릅나무과(Araliaceae)이긴 하지만 두릅나무과에는 두릅나무속(Aralia)도 있는데 정작 두릅나무속을 제쳐두고 폴리키아스속 수종들을 아랄리아라는 국명으로 등록했다는 것이 어쩐지 어색하다. 아마 일반 영어명을 많이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이 Polyscias fruticosa도 일반 영어명은 Ming Aralia이다. 이런 맥락이라면 이 미등록종 Polyscias fruticosa도 [푸루티코사 아랄리아]로 등록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폴리셔스는 개별 수종이 아니라 속명을 통칭하므로 특정 식물을 그렇게 부를 수는 없다. 그리고 폴리스키아스속 수종 중에서 둥근 잎을 가진 것들이 있는데 국내서는 이들을 모두 파비안을 통칭하는 것 같다. 그러나 파비안(Fabian) 학명 Polyscias balfouriana 'Fabian' (= Polyscias scutellaria 'Fabian' = Polyscias pinnata 'Fabian')로 표기되는 폴리셔스의 한 종의 변이종이므로 둥근잎을 가진 수종 전체를 파비안이라고 하는 것은 옳지않다. 실제로 polyscias scutellaria 'Frisbee' 이란 종은 파비안과 매우 흡사한 둥근잎을 가지고 있다.
이 름 : 푸루티코사 아랄리아(가칭 : 미등록종)
유통명 : 폴리셔스
학 명 : Polyscias fruticosa (L.) Harms
분 류 : 두릅나무과 폴리스키아스속 상록 관목
원산지 : 태평양제도 등 열대 아시아
영어명 : Ming aralia
중국명 : 우엽남양삼(羽叶南洋参)
일본명 : タイワンモミジ
수 고 : 2.4m 최대 3.6m
최적온 : 18 ~ 30도
월동기 : 15도 이상 유지 요망
내한성 : 5도 이하면 동사
채광성 : 양지 또는 반그늘
전 정 : 봄이 적기
용 도 : 동남아서 날로 혹은 익힌 채소로 식용 및 약용
관 수 : 잦은 물주기는 위험하지만 기본적으로 습기를 선호하므로 월동기에도 화분이 바싹 마르면 안된다.
속명 Polyscias는 잎이 무성하여 그늘이 짙다는 뜻이며 종소명 fruticosa는 관목이란 뜻이므로 이 폴리스키아스속 나무들이 모두 키가 작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말해 준다.
유통명 : 폴리셔스
학 명 : Polyscias fruticosa (L.) Harms
유통명 : 폴리셔스
학 명 : Polyscias fruticosa (L.) Harms
유통명 : 폴리셔스
학 명 : Polyscias fruticosa (L.) Harms
줄기의 굵기로 봐서는 상당히 키가 클 것으로 착각하기 쉬우나
실제로 이 나무는 잎이 잘 자라기는 하지만 키가 마냥 자라지는 않는 관목이다.
유통명 : 폴리셔스
학 명 : Polyscias fruticosa (L.) Harms
유통명 : 폴리셔스
학 명 : Polyscias fruticosa (L.) Harms
유통명 : 폴리셔스
학 명 : Polyscias fruticosa (L.) Harms
태국에서 인기 채소로 활용된다.
그럼 여기서 이미 국내 등록된 폴리스키아스속 4개 수종들의 면면을 훑어본다.
발포우리아나 아랄리아
Polyscias balfouriana (= Polyscias scutellaria)
발포우리아나 아랄리아
Polyscias balfouriana (= Polyscias scutellaria)
페노키 아랄리아
Polyscias balfouriana 'Pennockii'
= Polyscias scutellaria 'Pennockii'
페노키 아랄리아
Polyscias balfouriana 'Pennockii'
= Polyscias scutellaria 'Pennockii'
고사리 아랄리아
Polyscias filicifolia L.H.Bailey
고사리 아랄리아
Polyscias filicifolia L.H.Bailey
무늬둥근잎 아랄리아
Polyscias scutellaria 'Marginata'
= Polyscias balfouriana 'Marginata'
무늬둥근잎 아랄리아
Polyscias scutellaria 'Marginata'
= Polyscias balfouriana 'Marginata'
Polyscias scutellaria 'Fabian'
= Polyscias balfouriana 'Fabian'
둥근잎아랄리아 '파비안' ( 가칭, 미등록종)
유통명 : 파비안
Polyscias scutellaria 'Fabian'
= Polyscias balfouriana 'Fabian'
둥근잎 아랄리아 '파비안' ( 가칭, 미등록종)
유통명 : 파비안
'기타 과 식물 > 기타목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9 매화오리나무 (0) | 2016.07.30 |
---|---|
138 알니폴리아매화오리 '루비 스파이스', '핑크 스파이어', '로제아' (0) | 2016.07.30 |
75 병솔나무 Melaleuca citrina와 방크시아 (Banksia) (0) | 2016.03.25 |
74 왁스 플라워(Wax flower) Chamelaucium uncinatum (0) | 2016.03.21 |
71 노린재나무, 검노린재나무, 섬노린재나무와 검은재나무 및 사철검은재나무 (0) | 2016.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