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달래과 진달래속/두견(진달래)아속

1409 데이비슨만병초 - 중국 사천 원산 요엽두견(凹叶杜鹃)

낙은재 2021. 5. 1. 07:56

 

데이비슨만병초
데이비슨만병초

 

데이비슨만병초는 중국 사천성 해발 1,500~3,600m 고지대에서 자생하는 상록 관목으로서 1904년 그 유명한 20세기 최고의 식물 채집가로서 무려 2,000종의 아시아 식물을 서방세계에 도입시켰으며 그 중 60여 종이 그의 이름으로 명명된 영국 태생 Ernest Henry Wilson(1876~1930)이 1904년 중국 사천성 강정(康定)에서 발견 종자를 채취하여 유럽으로 보내면서 세상에 알려진 수종이다. 그 후 윌슨이 미국으로 건너가서 하버드대학 아놀드수목원을 위하여 일하면서 다시 중국에 파견되어 1908년에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하버드대교수인 독일계 미국인 식물학자 Alfred Rehder(1863~1949)교수와 공동명의로 1913년에 명명한 학명이 현재의 Rhododendron davidsonianum이다.

 

여기서 종소명 davidsonianum은 1910년 그가 중국 탐사 중 사고로 다리를 심하게 다쳐 위독할 때 그의 생명을 구해 준 사천성 성도(成都)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의사 W. Henry Davidson의 이름을 기려서 붙인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이 수종을 데이비슨만병초라고 한다. 하지만 원산지 중국에서는 이 수종의 잎이 가운데 세로로 길게 난 중맥을 기준으로 양쪽 가장자리가 V자 형으로 약간 접히는 모습을 보여 요엽두견(凹叶杜鹃)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영어 일반명도 오목한 잎이라는 뜻으로 Concave-leaf rhododendron이라고 부른다.

 

데이비슨만병초 - 대부분의 만병초가 잎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는 것과는 반대로 이 수종은 세로로 V형으로 약간 접힌다. 

 

등록명 : 데이비슨만병초

학   명 : Rhododendron davidsonianum Rehder & E.H.Wilson

분   류 : 진달래과 진달래속 상록 관목

그   룹 : 로도덴드론, 두견(진달래)아속

원산지 : 중국 사천성

중국명 : 요엽두견(凹叶杜鹃)

수   고 : 1~3m

잎크기 : 2.5~6 x 1~2cm

잎특징 : 피침형 장원형, V형, 상면 인편 녹색, 하면 인편 밀생, 황갈색

꽃특징 : 정생, 지정액생, 3~6송이, 담자백색, 장미홍색

수   술 : 10개, 부등장, 화관외 돌출

개화기 : 4~5월

내한성 : 영하 18도

 

데이비슨만병초
데이비슨만병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