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7 헛개나무
갈매나무과 헛개나무속은 전세계 모두 5종으로 구성된 속인데 열대아메리카에 분포하는 한 종을 제외한 나머지 4종은 모두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그 중 가장 널리 보급된 수종이 바로 우리나라에서도 자생하는 낙엽 교목인 헛개나무이다. 헛개나무는 한중일 삼국에서 자생하는데 린네의 직계 제자이자 스웨덴 식물학자인 툰베리(Carl Peter Thunberg, 1743~1828)가 1775년 일본에 도착하여 1년 3개월간 머물면서 탐사하는 과정에서 처음 발견되어 그의 일본 원정대를 후원한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공직자인 David ten Hoven(1724~1787)의 이름으로 1871년 새로운 속을 창설하고 학명 Hovenia dulcis Thunb.를 부여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dulcis는 달다는 뜻으로 식용하는 두툼한 열매자루 즉 과경(果梗)의 맛이 달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이 수종을 북지구(北枳椇)라고 한다. 원래 한자 지(枳)는 줄기가 휘어지고 단단하다는 뜻이고 구(椇)는 이 열매의 형태를 상형한 글자이다. 중국 남방에는 지구(枳椇)라는 학명 Hovenia acerba인 또 다른 헛개나무 종이 있기에 상대적으로 북쪽에서 자생하는 이 수종을 북지구(北枳椇)라고 하는 것이다. 그 외에 별명으로 첨반야(甜半夜) 괴조(拐枣) 지구자(枳椇子) 계조리(鸡爪梨) 또는 만자과(万字果)라고도 한다. 첨반야(甜半夜는 밤중에 단맛이 나는 이 열매로 기근을 면하였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고 괴조(拐枣)는 열매 형태에서 온 이름이며 지구자는 헛개나무 열매를 뜻하고 계조리(鸡爪梨)는 열매의 모습이 닭발을 닮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그리고 만자과(万字果)는 열매의 형태가 卍 자를 닮았기 때문인데 이를 만수과(万寿果)라고도 한다. 항상 언급하는 것이지만 중국의 여러 지역에서 불리던 별명들을 파악하는 이유는 이 과정에서 그 식물의 특징이 대충 파악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정명은 물론 여러 별명들도 그 유래가 밝혀진 중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와 일본의 명칭은 그 유래가 명확하지는 않다. 우선 일본에서는 헛개나무를 텐포나시(テンポナシ) 즉 수봉리(手棒梨)라고 하다가 최근에는 켄포나시(ケンポナシ) 즉 현포리(玄圃梨)라고 한다. 텐보나시는 글쎄 잘린 손목 모양에서 온 것이라 하고 켄보나시 즉 현포(玄圃, 懸圃)는 중국 신선이 산다는 곤륜산의 거소의 배(梨)를 말한다. 그만큼 이 나무의 열매를 먹으면 물난리를 피할 수 있는 등 좋다는 것인데 허황되다. 그래서 어원미상이라고 말한다.
우리 헛개나무도 어원이 명확하지 않다. 최초에는 중국명칭 그대로 한자어로 지구(枳椇. 枳枸)라고 쓰다가 차츰 한글로 병기하기 시작하였는데 그 때 회갓열매로 기록하다가 1921년 조선식물명휘에서는 보리개나무로 기록되어 있었고 1937년 조선식물향명집에서는 홋개나무로 기록된다. 그러다가 1943년 정태현선생이 조선산림식물도설에서 헛개나무라고 한 이래 이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그 때 정태현선생은 이명으로 볼게나무와 호리깨나무를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최초 회갓에서 보리개 볼게 홋개 호리깨 등으로 변하고 있어 그 유래를 종잡을 수가 없다. 일각에서 말하는 술 마신 것을 헛것으로 만든다고 헛개라고 한다는 것은 당초 회갓이나 보리개 홋개 등의 이름으로 불렸다는 것으로 봐서는 설득력이 없다. 다만 중국의 본초강목(本草綱目)에도 有利于解酒毒(유리우해주독) 또는 可用于醉酒(가용우취주)라고 숙취해소에 효능이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약재로 쓰는 부위는 주로 종자(種子) 즉 열매이며 두툼하게 부풀어 오른 단 맛이 나는 과경(果梗)과 수피(樹皮)도 사용한다. 참고로 시중에서 헛개나무의 효능을 과장하기 위하여 우리 허준선생의 동의보감을 많이 운운하지만 실제로 동의보감에는 헛개나무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없다.
등록명 : 헛개나무
학 명 : Hovenia dulcis Thunb.
분 류 : 갈매나무과 헛개나무속 낙엽 교목
원산지 : 한중일
중국명 : 북지구(北枳椇) 첨반야(甜半夜) 괴조(拐枣) 계조리(鸡爪梨) 만자과(万字果)
일본명 : 켄포나시(ケンポナシ) = 현포리(玄圃梨)
영어명 : oriental raisin tree
수 고 : 10m
줄 기 : 소지 갈색 흑자색 무모 불명현 피공
엽 편 : 지질 후막질 난원형 관구원형 타원상란형
잎크기 : 7~17 x 4~11cm
잎모양 : 정단단점첨 점첨 기부절형 심형 근원형
잎거치 : 변연 부정제 거치 조거치 희천거치
잎면모 : 무모 하면 연맥 소단유모
잎자루 : 2~4.5cm 무모
꽃특징 : 황록색, 지름 6~8mm, 부대칭 정생 액생
꽃차례 : 취산 원추화서
화서축 : 무모
화 경 : 무모
꽃받침 : 난상삼각형 종조문 망상맥 무모 2.2~2.5 x 1.6~2mm
꽃부리 : 도란상시형 2.4~2.6 x 1.8~2.1mm 향하점협 조부 길이 0.7~1mm
화 반 : 변연 유모 상면 소단유모
자 방 : 구형
수 술 : 5개
암술대 : 3천렬 2~2.2mm 무모
열 매 : 장과상 핵과 근구형 지름 6.5~7.5mm 무모 성숙시 흑색
화서축 : 결과시 팽대
종 자 : 심율색 흑자색 지름 5~5.5mm
개화기 : 5~7월
결실기 : 8~10월
용 도 : 관상수 식용 목재용 약용
내한성 : 영하 23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