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23 굽은대추나무 – 히말라야 원산 교목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금년 4월에 새롭게 등록된 대추나무 세 종이 있는데 그 중 하나인 굽은대추나무는 인도와 네팔 부탄 그리고 중국 남서부 해발 1,000~2,500m의 고산지대가 원산지이다. 이 수종은 인도에서 오랫동안 일했던 스코틀랜드 의사이자 식물학자인 William Roxburgh(1751~1815)가 네팔에서 발견하여 1824년 학명 Ziziphus incurva Roxb.를 명명한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종소명 incurva는 휘어지거나 굽었다는 뜻인데 글쎄 이 수종의 어디가 휘어졌다는 것인지가 궁금하다. 이 수종은 가지가 아치형으로 휘어지는 것이 아닌 직립으로 최대 15m까지도 자라는 교목이며 그렇다고 가시가 휘어진 것도 아니고 그 외 어디를 찾아봐도 특별히 휘어진 구석은 보이지 않는다. 굳이 찾자면 삼출맥인 잎맥이 휘어지고 꽃받침보다 작은 숫갈형 꽃잎 양 가장자리가 안으로 오목하게 말린 것인데 이건 대추나무속의 공통된 특징이 아니던가? 초창기 워낙 많은 식물들을 한꺼번에 명명하는 과정에서 가끔 이렇게 실물과 동떨어진 학명이 부여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도 그런 것이 아닌가 한다.
여하튼 이 점을 확인하고 우리 이름을 굽은대추나무라고 붙였는지 궁금하다. 대개 학명의 취지를 따라서 이름을 붙이는 중국에서는 이렇게 실상과 부합하지 않는 학명인 경우에는 다른 이름으로 붙이는 센스를 발휘한다. 이 수종도 종소명의 특성이 아닌 원산지를 따라서 인도조(印度枣)라고 붙였는데 그러다 보니 나중에 자국 운남성과 귀주성 그리고 티베트에서도 발견되어 결국 이상하게 되어 버렸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인도조보다는 별명인 전조(滇枣)로 많이 부르는 것 같다. 전(滇)은 운남성의 별칭이다. 이 수종은 키도 교목 수준으로 크고 잎도 최대 길이 14cm로 매우 크고 열매도 과수용 대추보다는 작지만 지름 1.1~1.2cm로 큰 편이고 열매 자루도 최대 1.1cm로 길다는 것이 특징이다.
등록명 : 굽은대추나무
학 명 : Ziziphus incurva Roxb.
분 류 : 갈매나무과 대추나무속 낙엽 또는 상록 관목 소교목 교목
원산지 : 네팔 인도 부탄 중국 미얀마 등 히말라야 인근
중국명 : 인도조(印度枣) 전조(滇枣)
수 고 : 15m
줄 기 : 유지 갈색 단유모 소지 흑갈색 자흑색 가시
엽 편 : 지질 난상구원형 난형
잎크기 : 5~14 x 3~6cm
잎모양 : 정단점첨 단점첨 둔첨두 기부근원형 미심형 초부대침
잎거치 : 원치상 거치
잎색상 : 상면 심록색 하면 천록색
잎면모 : 상면 무모 중맥 소유모 하면 연맥 유모 소모 후탈락 연맥기부 소유모
잎면맥 : 기생 3 또는 5출맥 하면 망맥 현명
잎자루 : 5~11mm 갈색 단유모
탁 엽 : 가시 1~2개 직립 4~6mm 조락
꽃특징 : 녹색 양성 5기수
꽃차례 : 수개~10개 밀집 액생 2지식 취산화서
총화경 : 7~16mm 갈색 세유모
꽃받침 : 난상 삼각형 정단첨 외면 단유모
꽃부리 : 숫갈형 투구모양 수술과 등장
화 반 : 후 육질 10렬
자 방 : 구형 2실 정단 미모 매실 1배주
화 주 : 2반렬
핵 과 : 근구형 구상타원형 1~1.2 x 0.8~1.1cm 무모 기부 악통 숙존 성숙시 홍갈색
과 경 : 4~11mm 단유모
과 피 : 중과피 박 내과피 후골질 후 약3mm 1~2실
종 자 : 1혹 2개 흑갈색 평활 광택
개화기 : 4~5월
결실기 : 6~10월
내한성 : 영하 12도 추정
용 도 : 식용 약용 토질개선용 울타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