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노린재나무, 검노린재나무, 섬노린재나무와 검은재나무 및 사철검은재나무
노린재나무
나에게 우리나라 야생 꽃나무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공부하게끔 계기를 만들어준 나무가 바로 노린재나무이다. 몇 해 전 어느 봄날 뒷산에 올랐다가 큰 나무 숲 사이에서 눈부시게 하얀 꽃을 소복하게 피우는 나즈막한 나무를 발견하게 되었다. 주위가 큰 나무 그늘로 약간 어두웠는데 이 나무의 꽃이 주위를 온통 밝게 해 주는 것 같았다. 그 아름다움에 너무 취하여 세상에 이런 나무도 우리나라 야산에서 자생하고 있구나 하면서 내려왔다. 왜 이런 나무를 내가 여태 몰랐을까? 하면서 주위에 여기저기 알아봐도 도통 아는 사람이 없었다. 꽃나무 집에서도 파는 것 같지 않았고. 그래서 고생하다가 알아낸 이름이 바로 노랜재나무였다. 물론 곤충 노린재가 아니고 이 나무를 태울 때 노란 재가 남는다고 노린재나무라고 하며 그 때문에 노란색 염색재료로 사용하는 나무이다.
노린재나무과 노린재나무속 노린재나무는 내가 살고 있는 경기도의 산에 가면 상당히 많이 볼 수 있는 나무인데도 그동안 관심을 두지 않아서 몰랐던 것이다. 대한민국에 있는 높은 산은 거의 다 올라봤지만 그냥 오르기만 했을 뿐 주변에 이런 나무가 즐비하다는 것을 전혀 몰랐다는 것이 황당하였다. 그 때부터 우리나라 산야에서 자라는 꽃나무들에 관심을 갖고 찾아보니 참으로 엄청난 종류의 우리나라 자생종 아름다운 나무들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전원주택에서 살면서도 정원수 하면 그냥 단풍나무, 소나무, 벚나무, 목련 및 유실수 등 천편일률적인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는 것을 뒤늦게나마 깨닫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 자생종으로서 중부지방에서 노지월동이 가능하며 꽃이나 수형 등이 좋아서 정원수로서 적합한 나무는 고광나무, 이스라지, 말발도리, 고추나무, 병꽃나무, 산분꽃나무, 쪽동백나무, 가막살나무, 사람주나무, 백당나무, 함박꽃나무(산목련), 귀룽나무, 개회나무, 누리장나무, 별목련 및 철쭉 등이 있는데 어느 것 하나 시중에서 파는 정원수에 비하여 손색이 없다.
이제까지도 그래왔지만 노린재나무는 간단할 줄 알았는데 자세히 파고드니 약간 골치아프다. 우선 우리나라 표준이랄 수 있는 산림청 자료가 업데이트가 안되어 있기 때문으로 본다. 모두가 진달래목이라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감나무목으로 분류하는 것부터 틀려나가고 있다. 하여튼 노린재나무속(Symplocos)은 아시아와 아메리카에 걸쳐 300여 종이 분포하고 있다는데 그 중 80여 종은 중국에 있다. 우리나라는 노린재와 검노린재, 흰노린재 그리고 섬노린재나무 등 4개의 자생종과 또 다른 자생종 두 종류의 검은재나무가 등록되어 있는데 아직 세계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학명들이 섞여있는 것 같다. 속명 Symplocos는 수술의 기부가 붙어있다는 뜻이다.
등록명 : 노린재나무
학 명 : Symplocos chinensis f. pilosa (Nakai) Ohwi (비합법명)
분 류 : 노린재나무과 노린재나무속
원산지 : 우리자생종, 중국. 일본
중국명 : 화산반(华山矾) Symplocos chinensis (Lour.) Druce
일본명 : サワフタギ (沢蓋木) Symplocos chinensis Druce f. pilosa Ohwi
높 이 : 3m
개화기 : 4 ~ 6월, 백색, 원추화서
결실기 : 9월, 청색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자생한다고 되어 있지만 우리나라 학명과 조금씩 다르며 특히 중국에서는 검노린재와는 구분하지 않는것 같다. 하여튼 우리나라의 학명 pilosa는 털이 있다는 뜻이다.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
노린재나무 화산반(华山矾)
노린재나무 백단(白檀)
등록명 : 검노린재나무
학 명 : Symplocos tanakana Nakai (비합법명)
원산지 : 우리자생종, 일본
일본명 : クロミノサワフタギ (黒実の沢蓋木)
중국명 : 백단(白檀) Symplocos paniculata (Thunb.)Miq.
개화기 : 5월, 백색, 원추화서
결실기 : 9월, 검정색
열매가 검다고 검노린재나무로 구분하고 있으나 중국에서는 위 화산반이나 이 백단을 모두 Symplocos chinensis (Lour.) Druce로 동일시하고 있다. 종소명 tanakana는 일본 사람 田中芳男의 이름에서 왔다.
검노린재나무
꽃은 노린재나무와 다를 바 없다.
검노린재나무
검노린재나무
검노린재나무 백단(白檀)
등록명 : 흰노린재나무
학 명 : Symplocos chinensis var. leucocarpa (Nakai) Ohwi (비합법명)
원산지 : 우리자생종, 일본
일본명 : シロミノサワフタギ Symplocos sawafutagi Nagam. f. leucocarpa (Nakai)
개화기 : 5월, 백색, 원추화서
결실기 : 9월, 백색
이 나무가 인근 북한산이나 명지산에도 있다는데 실제로 있는지 아니면 멸종되었는지 궁금하다. 우리나라나 일본 어디에도 흰노린재나무의 하얀 열매 사진을 구할 수가 없다. leucocarpa는 흰열매가 달린다는 뜻이다.
등록명 : 섬노린재나무
학 명 : Symplocos coreana (H.Lév.) Ohwi (합법명)
원산지 : 우리자생종(제주도), 일본
일본명 : タンナサワフタギ (耽羅沢蓋木)
개화기 : 5 ~ 6월, 백색, 원추화서
결실기 : 9월, 짙은 남색(남흑색)
섬노린재나무
섬노린재나무
섬노린재나무
섬노린재나무
섬노린재나무
남색을 넘어 거의 검정색으로 보인다.
노린재나무와 섬노린재나무의 비교
노린재에 비하여 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더 날까롭다. 그리고 잔 가지에도 털이 없다.
등록명 : 검은재나무
학 명 : Symplocos prunifolia Siebold & Zucc. (합법명)
분 류 : 노린재나무과 노린재나무속 상록 소교목
원산지 : 우리자생종(제주도), 일본
일본명 : クロバイ (黒灰)
중국명 : 산반(山矾) Symplocos sumuntia
높 이 : 8m
꽃색상 : 녹색, 청녹색, 총상화서
열 매 : 흑색
종소명 prunifolia는 벚나무 같이 생긴 잎이란 뜻이다.
줄기나 잎을 태우고 남은 검은재로 만든 잿물을 염색할 때 염료를 섬유에 착색시키는 매염재로 사용하였다고 하여 일본에서 흑회(黒灰)라고 불렸는데 이를 그대로 의역하면 검은재가 된다.
검은재나무
검은재나무
등록명 : 사철검은재나무
학 명 : Symplocos lucida (Thunb.) Siebold & Zucc. (합법명)
분 류 : 노린재나무과 노린재나무속 상록 소교목 또는 교목
원산지 : 우리자생종(제주도), 일본, 중국
일본명 : クロキ (黒木)
중국명 : 후피회목 (厚皮灰木) Symplocos crassifolia Benth
꽃색상 : 백색, 총상화서
높 이 : 3 ~ 10m
종소명 lucida는 광택이 난다는 뜻이며 중국 학명의 crassifolia는 두꺼운 잎을 뜻하며 모두 잎의 특징을 말한다. 그러나 일본이나 우리나라에서는 잎이 아닌 줄기 또는 그 재의 색상에서 비롯한 이름으로 부른다. 줄기가 검기 때문이란 설도 있고 태운 다음 남는 재의 색깔이 검기 때문이란 설도 있다. 일본에서는 검정색 물감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국생정 자료에는 3 ~ 4월에 백색꽃이 핀다고 되어 있으나 일본에서는 가을에도 한차례 더 보라색 기형화가 핀다고 한다. 검은재나무도 상록이고 이 사철검은재나무도 상록인데 이 나무만 사철이란 수식어가 왜 붙었는가 했는데 바로 사철 꽃이 피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사철검은재나무
사철검은재나무
사철검은재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