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75 병솔나무 Melaleuca citrina와 방크시아 (Banksia)

낙은재 2016. 3. 25. 13:58

병솔나무

학명 : Callistemon citrinus (Curtis) Skeels

여기 붉게 보이는 것이 수술이며 꽃잎은 아래 매우 짧게 녹색으로 보이는 부분이다. 


또 하나 호주에서 온 호주 고유식물 병솔나무에 대하야 알아본다. 꽃 모양이 실린더 형이라서 병을 청소하는 솔모양을 닮았다고 병솔나무라고 한다. 우리만 그러는 것이 아니라 원산지 호주에서의 원래 이름이 Bottlebrushes이다. 아래 왁스플라워가 호주 남서부의 사막지대가 원산지라면 이 나무는 동부 온화한 지역에서 주로 자라며 건조한 기후보다는 습한 것을 좋아하므로 마치 침엽수 같이 좁고 뾰족한 잎을 가지고 있어 물을 싫어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부지런히 물주기하는 정원에서 더 잘 자란다.  


약 50여 종이 있는 이 병솔나무는 일찌기 1700년대 후반부터 Melaleuca citrina가 영국 정원에서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스코틀랜드 식물학자 Robert Brown에 의하여 1814년 학계 보고되었으며 학명 Callistemon은 아름다운 수술이란 뜻으로 이 나무 꽃잎으로 보이는 가느다란 붉은색은 실제로는 수술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같은 도금양과의 Melaleuca속 나무들과 구분이 어렵다는 이유로 기존의 멜라레우카속(Melaleuca)으로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끊임없이 제기되었으며 가장 최근에 DNA 검사에서도 유사성이 발견되었으나 아직 미심쩍은 부분이 있어 완전하게 의견일치를 보지 못하고 계속 논쟁 중에 있다.


등록명 : 레우카덴드라 멜라레우카 Melaleuca leucadendra 

멜라레우카속에는 이런 큰 나무도 있다. 이 나무는 호주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옆에 있는 해안 공원 Royal Botanic Gardens에 있다는데 오래 전에 그 식물공원에 한번 가 본 적도 있지만 그 때는 관심이 없어서 본 기억이 없다.


Melaleuca wilsonii 윌소니 멜라레우카 (미등록종)

멜라레우카속(Melaleuca)의 또 다른 품종 


아직 논란 중에 있으므로 일부에서는 멜라레우카속(Melaleuca)에 통합하여 분류하기도 하며 일부에서는 병솔나무속(Callistemon)으로 그대로 두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아직 병솔나무속으로 분류하고 있다. 꽃 모양이 특이하면서도 아름답고 꽃을 오랫동안 볼 수 있어 우리나라에도 매우 다양한 품종들이 들어와 원종과 원예종 포함 무려 24종이 등록되어 있다. 유럽에 가장 먼저 소개되었고 가장 널리 보급된 품종 중 하나인 Melaleuca citrina를 우리나라에서는 기본종으로 그냥 병솔나무로 등록하고 있다. 




등록명 : 병솔나무

학  명 : Callistemon citrinus (Curtis) Skeels

신학명 : Melaleuca citrina  

구학명 : Callistemon lanceolatus

분  류 : 도금양과 병솔나무속 상록 관목 

원산지 : 호주 사우스 웨일즈, 빅토리아주 해안가

영어명 : crimson or lemon bottlebrush

중국명 : 미화홍천층(美花红千层)

일본명 : ブラシノキ, キンポウジュ(金宝樹)

수  고 : 5m

내한성 : 영상 7도

잎크기 : 2.5 x 10cm

방향성 : 잎에서 레몬향이 남

꽃차례 : 80여개 개별 꽃이 모여서 지름 7cm 길이 10cm 수상화서

수  술 : 개별 꽃 하나당 30~45개의 붉은 색 수술

열  매 : 7 x 7mm 

원예종 : 'Firebrand' 'Splendens' 등이 있음


종소명 citrinus는 레몬향이라는 뜻이다. 이 나무 줄기 끝에서 꽃이 피고 난 다음 줄기를 따라 아래와 같이 열매가 달리며 줄기는 계속 자라는데 그 열매는 계속 몇 년이고 나무에 달려 있다가 가지가 꺾어지거나 나무 전체가 산불 등으로 타거나 죽으면 그 때 열매 포가 벌어져 종족 번식을 위한 종자 살포를 하는 특이한 나무이다. 물론 종에 따라서는 매년 종자를 살포하는 품종도 있다.


병솔나무 열매

나무가 살아 있는한 계속 가지에 붙어있는 경우가 많다.


병솔나무

학명 : Callistemon citrinus (Curtis) Skeels


병솔나무

학명 : Callistemon citrinus (Curtis) Skeels


병솔나무 원예종

등록명 : 병솔나무 '스플렌덴스'

학명 : Callistemon citrinus 'Splendens'

수고 2m 왜성


병솔나무 원예종

등록명 : 병솔나무 '파이어브랜드'

학명 : Callistemon citrinus 'Firebrand'

수고 60cm 폭 2.5m 왜성, 진한 핑크색 꽃이 특징

===============================


그럼 여기서부터는 국내 등록된 품종들 중 원종들만 그림으로 잠시 구경한다.

그림만 봐서는 모두 비슷하여 구분하기 어려워 보인다.


아쿠미나투스 병솔나무


비미날리스 병솔나무

병솔나무가 모두 약간 처지는 성질이 있지만 이 품종은 유난히 많이 처진다.


코키네우스 병솔나무



포이니폴리우스 병솔나무


피니폴리우스 병솔나무


살리그누스 병솔나무


리네아리스 병솔나무



마크로풍크타투스 병솔나무


리기두스 병솔나무


루굴로수스 병솔나무


스페키오수스 병솔나무



이게 우리집 화분에서 자라는 병솔나무인데 비슷한 종이 많아서 도대체 이름을 알 길이 없어 보인다.

이래서 수입업자나 유통업자들이 정확한 이름을 표시하여 유통시켜야 한다. 


그리고 아래는 참고로 병솔나무와는 또 다른 호주의 고유 식물인 방크시아라는 것인데 매우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어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이건 병솔나무와는 달리 수십 개의 꽃이 모인 것이 아니라 수백 개 심지어는 천여 개의 개별 꽃들이 모여서 콘 모양의 큰 꽃을 이루고 있다.


등록명 : 에리키폴리아 방크시아

프로테아과 방크시아속 

일본 유메노시마 열대식물관 옥외 정원에서 

내한성이 영하 8도이므로 남부 일부지방에서는 월동도 가능할 듯


등록명 : 에리키폴리아 방크시아

일본 유메노시마 열대식물관에서


등록명 : 에리키폴리아 방크시아

일본 유메노시마 열대식물관에서


등록명 : 에리키폴리아 방크시아

열매 모습에서 병솔나무와 많은 차이가 있다.

그 수많은 작은 개별 꽃 중에서 일부만 열매를 맺는다. 


등록명 : 인테그리폴리아 방크시아

일본 유메노시마 열대식물관에서


등록명 : 인테그리폴리아 방크시아

일본 유메노시마 열대식물관에서


등록명 : 인테그리폴리아 방크시아

우리나라 한택수목원에도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