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4 때죽나무속(Styrax)과 안식향(安息香) 그리고 소합향(苏合香)
때죽나무 '핑크 차임스'
학명 Styracaceae로 표기되는 진달래목 때죽나무과에는 전세계적으로 12개속 152종이 분포하지만 우리나라에는 때죽나무속, 나래쪽동백속, 은종나무속 그리고 시노자키아속 등 4개속에 15종이 등록되어 있다. 이 중 우리 자생종은 때죽나무와 쪽동백나무 그리고 좀쪽동백나무 등 때죽나무속의 3개 수종에 불과하다. 때죽나무과의 모식속(模式属)인 때죽나무속은 학명으로는 Styrax로 표기되는데 이는 수지가 생산되는 나무들을 칭하던 고대 그리스어이다.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온난대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때죽나무속에는 전세계 120종이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3종만 자생하며 일본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이지만 중국에서는 약 30종이나 자생한다. 중국에서는 이 때죽나무속 즉 Styrax속을 안식향속(安息香属)이라고 한다. 때죽나무속은 1753년 식물분류학의 시조 칼 폰 린네에 의하여 명명되었으며 모식종(模式种)은 지중해 연안 원산의 Styrax officinalis이다.
Styrax officinalis (가칭 남유럽때죽나무 - 미등록종)
때죽나무속의 모식종으로서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다.
린네가 이 나무에서 소합향이 채취하는 줄 알고서 그만 소합향을 뜻하는 Styrax로 속명을 붙였다.
우리나라에 등록된 때죽나무과의 수종들
속 명 |
국 명 |
원 산 지 |
중 국 명 |
일 본 명 |
영 어 명 | |
때죽나무속 |
Styrax americanus Lam. | 미국때죽나무 | 북미 |
American snowbell | ||
Styrax pulverulentus Michx. | 푸른때죽나무 | 유사종 |
American snowbell | |||
Styrax confusus Hemsl. | 중국때죽나무 | 중국 |
赛山梅(새산매) | |||
Styrax dasyanthus Perkins | 수주때죽나무 | 중국 |
垂珠花(수주화) | |||
Styrax formosanus Matsum. | 대만때죽나무 | 중국, 대만 |
台湾安息香 | |||
Styrax hemsleyanus Diels | 헴슬리때죽나무 | 중국 |
老鸹铃(노괄령) | |||
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 | 때죽나무 | 한중일 |
野茉莉(야말리) | エゴノキ | ||
Styrax japonicus 'Carillon' | 때죽나무 '카리용' | 원예종 |
||||
Styrax japonicus 'Fargesii' | 때죽나무 '파르게시' | 원예종 |
||||
Styrax japonicus 'Pink Chimes' | 때죽나무 '핑크 차임스' | 원예종 |
||||
Styrax obassia Siebold & Zucc. | 쪽동백나무 | 한중일 |
玉铃花(옥령화) | ハクウンボク(白雲木) | ||
Styrax shiraiana Makino | 좀쪽동백나무 | 한국 일본 |
コハクウンボク(小白雲木) | |||
은종나무속 |
Halesia carolina L. | 은종나무 | 북미 |
アメリカ麻殻 | ||
Halesia carolina Vestita Group | 은종나무 베스티타그룹 | 변종 |
||||
Halesia diptera L. | 양날은종나무 | 북미 |
two-winged snowdrop tree | |||
Halesia diptera Magniflora Group | 양날은종나무 마그니플로라그룹 | 변종 |
||||
Halesia monticola (Rehder) Sarg. | 산은종나무 | 북미 |
mountain silverbell | |||
Halesia macgregorii Chun | 미등록종 | 중국 |
银钟花(은종화) | |||
나래쪽동백속 |
Pterostyrax corymbosum Siebold & Zucc. | 일본나래쪽동백 | 중국 일본 |
小叶白辛树 | アサガラ(麻殻) |
|
Pterostyrax hispida Siebold & Zucc. | 나래쪽동백 | 일본 |
オオバアサガラ(大葉麻殻) | |||
시노자키아속 |
Sinojackia rehderiana Hu | 시노야키아 레데리아나 | 중국 |
狭果秤锤树 | ||
Sinojackia xylocarpa Hu |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 중국 |
秤锤树(칭추수) |
때죽나무
우리나라 전역의 산지에 야생한다.
쪽동백나무
우리나라 전역에 흔하게 보이는 나무이다.
좀쪽동백나무
지리산 제주도 등 남부 일부지역에서만 보이는 희귀종이다.
은종나무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나래쪽동백
중국과 일본 원산
시노야키아 크실로카르파
중국 고유종으로서 시노(sino)는 중국을 뜻한다.
때죽나무를 뜻하는 중국명 안식향은 한의학이나 종교계에서 말하는 바로 그 안식향(安息香)을 말하며 이는 때죽나무속 일부 수종에서 채취한 수지를 건조한 향기가 나는 덩어리로서 중국의 당본초(唐本草)를 비롯한 많은 의서에서 아래와 같은 다양한 치료효과가 있다고 기술하고 있어 예로부터 많이 사용해 온 유명한 약재이다. 개규청신(开窍清神), 행기활혈(行气活血), 지통(止痛)。즉 정신을 맑게하고 기와 혈의 운행을 활발하게 하며 통증을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중풍담궐(中风痰厥), 기욱폭궐(气郁暴厥),중오미혼(中恶昏迷), 심복동통(心腹疼痛), 산후혈훈(产后血晕), 소아경풍(小儿惊风) 등의 치료에 사용하는 약재이다.
때죽나무는 우니라나 전국에서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흔한 나무이지만 이 때죽나무에서 안식향을 추출한다고 생각해 본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아니 안식향과 때죽나무는 전혀 무관한 것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때죽나무 즉 Styrax japonicus도 꽃향기가 대단하고 꽃과 잎 그리고 열매와 충영의 백분을 거풍제습(祛风除湿)의 약으로 사용하지만 수지를 채취하여 안식향을 만들지는 않기 때문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안식향을 채취하는 나무는 전세계 120종의 때죽나무 중에서 중국 남부와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에 자생하는 Styrax benzoin과 Styrax tonkinensis 그리고 Styrax benzoinoides 등 불과 몇 종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참고로 안식향을 영어로 benzoin이라고 하며 tonkin은 베트남의 옛이름이다. 우리 자생종 때죽나무나 쪽동백나무에서는 안식향 채취가 불가능한 것인지 아니면 시도해 보지 않은 것이지는 알 수가 없지만 채취가 가능을 하더라도 품질이나 경제성이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더운 지방에서 자생하는 위 3종은 모두 매우 큰 나무이며 사철 푸르름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Styrax tonkinensis
미등록종, 중국명 - 월남안식향(越南安息香)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원산
월남안식향(越南安息香)
Styrax benzoin
미등록종, 가칭 수마트라안식향나무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원산
안식향과 매우 흡사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향료가 또 하나 있는데 그것이 바로 소합향(苏合香)이라는 것이다. 소합향은 중국 한의서 본초강목에서 소합국에서 온 것이라는 설명을 하고 있는데 소합국(苏合国)은 중국에서 이란을 지칭하는 옛 이름이다. 이 소햡향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문서에도 나올 정도로 고대 그리스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한 달콤한 향기가 나는 수지인데 주로 터키나 그리스에서 자생하는 동양풍나무(Liquidambar orientalis)에서 채취하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 소합향의 영어명이 styrax 또는 storax라는 것이다. 즉 때죽나무속을 지칭하는 styrax가 소합향을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온 말이라는 것이다. 때죽나무 수지는 benzoin이라고 영어로 달리 표현한다. 그러니까 소합향 styrax는 Liquidambar orientalis 즉 동양풍나무에서 채취하고 안식향 benzoin은 Styrax benzoin에서 채취하는 것이다. 그럼 왜 이렇게 혼동이 되었을까?
소합향(苏合香)
조록나무과 Liquidambar orientalis 즉 동양풍나무에서 채취한다.
때죽나무과의 때죽나무들과는 전혀 다른 나무이다.
그 원인은 다분히 식물분류학의 시조 린네로부터 비롯된다. 초창기 식물의 속명을 정하면서 린네가 중동지역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하던 Styrax가 터키원산 동양풍나무에서 추출되는 줄을 모르고 서유럽과 중동 원산의 때죽나무에서 추출되는 줄로만 알고서 그 쪽에다가 Styrax officinalis 즉 널리 판매되는 Styrax를 추출하는 수목이라는 뜻으로 명명해 버린 것이다. 그런데 안식향과 소합향 둘 다 나무에서 추출한 향이 있는 수지이며 비슷한 용도로 고대로부터 사용되던 것이라서 이들 두 나무가 쉽게 정리되지 못한 것이다. 즉 하나는 Styrax balsam(소합향)을 실제로 추출하는 Liquidambar orientalis라는 학명을 가진 동양풍나무이고 또 하나의 나무는 널리 판매되는 Styrax를 추출하는 나무라는 뜻인 Styrax officinalis이라는 이름을 가진 수종이기 때문이다. Styrax officinalis는 우리나라에는 아직 등록되지 않은 종인데 중국에서는 남구안식향(南欧安息香)이라고 한다. 남유럽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슷한 향료가 이와 같이 헷갈리는 나무 이름 때문에 쭉 혼동되어 지금까지 내려온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도 그저 막연하게 소합향은 소합향나무의 수지를 안식향은 안식향나무의 수지를 원료로 하여 얻은 향이라고 설명할 뿐이다. 서구에서도 예배당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향신료가 때죽나무에서 채취된 것인지 풍나무에서 채취된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심해지자 이스라엘에서 검증에 나선 적이 있는데 성서속의 향이 나는 약용수지 즉 Styrax는 때죽나무에서 추출되었다는 주장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고 성서가 쓰여질 당시 시리아 북부와 이스라엘 등 중동지역에 흔했던 동양풍나무에서 추출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을 내린 바도 있다. 그러나 때죽나무에서 추출한 향수지가 여타 향료들과 혼합되어 구약성서 시대부터 예배당에서 사용되었다고 아직도 믿는 사람들이 적지 않으며 실제로 현재의 많은 나라에서 교회나 성당에서 사용하는 향은 거의 안식향 즉 benzoin resin이라는 사실도 논쟁이 계속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을 하고 있다.
Styrax officinalis 즉 남유럽때죽나무(미등록종)에서 채취한 수지
여기서 성서속에서 말하는 그 당시의 향수지가 정확하게 어떤 종류인지는 논외로 하고 우리는 최소한 안식향과 소합향은 다른 나무에서 추출되는 다른 향수지라는 것만 분명하게 알면 될 것 같다. 즉 풍나무에서 추출되는 것은 소합향이고 때죽나무에서 추출되는 것은 안식향이라는 것이다. 풍나무 중에서는 터키원산 동양풍나무(Liquidambar orientalis) 추출물이 최상급품이고 때죽나무 중에서는 린네가 공인한 Styrax officinalis가 아닌 베트남산 Styrax tonkinensis(중국명 : 월남안식향)과 인도네시아산 Styrax benzoin 등이 널리 사용된다는 것이다. 약효는 안식향과 소합향 그리고 사향노루에서 얻는 사향(麝香)이 모두 비슷한데 돌연졸도(猝然昏厥)한 사람에게 효과가 있으며 막힌 경락을 뚫는 개규지공(开窍之功)에는 사향의 약효가 가장 강하고 안식향과 소합향은 비슷하다고 중국에서는 비교설명한다.
이제부터는 때죽나무과 수종들을 때죽나무속부터 하나하나 탐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