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수국과 수국속/미국수국

660 라디아타수국( Hydrangea radiata)과 은엽미국수국 '서맨사'(Hydrangea radiata 'Samantha')

낙은재 2019. 2. 21. 14:56


라디아타수국

장식화가 사방으로 뻗어나간 방사형이라고 radiata라는 이름이 붙었다.


라디아타수국

잎 뒷면에 펠트같이 백색 털이 밀생하여 silverleaf hydrangea 또는 snowy hydrangea로 불린다.


이제 우리나라에 등록된 수국속 식물로는 마지막으로 남은 라디아타수국과 은엽미국수국 '서맨사' 두 종을 탐구한다. 국명만 봐서는 전혀 무관한 수종 같지만 각각의 학명 Hydrangea radiata와 Hydrangea arborescens subsp. radiata 'Samantha'를 보면 뭔가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미국 동남부 캐롤라이나와 조지아 테네시주 등에 위치하는 애팔래치아산맥의 남부지역 해발 600m 이상에서 자생하는 Hydrangea radiata와 거의 미국 전역과 동부 캐나다가 원산지이며 수국속의 모식종이기도 하며 우리나라에도 널리 보급된 미국수국 '아나벨리'의 원종인 Hydrangea arborescens가 얽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 영국 태생 미국 식물학자 Thomas Walter (1740 – 1789)가 미국 최초로 1788년 린네의 분류법에 따라 라틴어로 쓴 도감 Flora Caroliniana에 키가 3m까지 자라는 잎 뒷면이 은색인 수국의 종류를 Hydrangea radiata로 명명한 것이다. 이후 우여곡절은 겪었지만 아직까지 미국에서는 이 학명을 따르며 우리나라에서도 라디아타수국이라는 국명으로 이 학명이 등록되어 있다.


Flora Caroliniana 1788년간


애팔래치아산맥

라디아타수국은 이 산맥의 남쪽지역에서 자생한다.


미국수국 Hydrangea arborescens

국내도 널리 보급된 아나벨리의 원종으로서 장식화가 거의 없다.


그러나 이 수국이 우리에 많이 보급된 미국수국 '아나벨리'의 원종인 미국수국 즉 Hydrangea arborescens과 매우 흡사하여 이를 1956년에 미국 여성 식물학자 Elizabeth M. McClintock(1912~2004)가 미국수국에 통합하여 그 아종으로 편입하게 된다. 따라서 새로운 학명 Hydrangea arborescens subsp. radiata를 세계 거의 모두가 따르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1982년 Ronald Pilatowski라는 토마스 워싱톤 하이스쿨 교사의 연구인 'A taxonomic study of the hydrangea arborescens complex'가 발표되면서 분위기는 반전된다. Pilatowski는 함께 통합된 ashy hydrangea로 불리는 Hydrangea cinerea를 포함 3종을 서로 교잡시켜 그 결실율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그 결과는 이종간에는 결실이 거의 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게된 것이다. 결국 이들 셋은 각각 독립된 형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어 그동안 Hydrangea arborescens의 아종으로 편입되었던 Hydrangea radiata는 Hydrangea cinerea와 함께 다시 독립된 종으로 분류되기 시작한다.


그래서 원예종 'Samantha'도 그동안 주로 통합된 학명을 따라 Hydrangea arborescens subsp. radiata 'Samantha'로 표기하며 우리나라도 그렇게 등록한 것 같지만 상황이 반전되어 그 지위가 회복된 독립된 분류법을 따르는 측에서는 Hydrangea radiata 'Samantha'로 표기하기 시작한다. 여기서 또 우리나라 국표식에 대한 한마디의 잔소리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수시로 변화는 시류를 따르지 않았다고 불평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일관성이 없다는 것이다.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던지 아니면 미국수국의 아종으로 분류하던지 어느 한쪽을 택하여 통일을 해야지 원종은 독립된 종으로 원예종은 미국수국의 아종으로 분류한 체계를 따른 이중적인 태도를 취하면 누가 그 둘의 연관성을 알 수 있겠는가? 


원래 기후가 그다지 춥지 않은 미국 남부가 원산지이지만 고산지대에서 자라서 그런지 내한성이 미국수국 마냥 매우 강하여 우리나라 전역에서 노지월동 하기에 전혀 문제가 없다. 마주나기에 가장자리 거치가 있는 타원형인 잎모양이나 산방상 레이스캡형 꽃모양이 모두 미국수국을 빼다박았다. 다만 장식화가 거의 없는 미국수국에 비하여 장식화가 2~15개가 있다는 점은 다르다. 그래서 장식화 즉 ray-flower가 많다고 radiata라는 종소명이 붙은 것 같다. 그리고 길이 최대 15cm인 잎의 뒷면이 펠트같이 흰색 털이 촘촘하다는 점이 다르다. 그래서 현지에서는 주로 silverleaf hydrangea 또는 snowy hydrangea 말하자면 은엽수국(銀葉--) 또는 설수국(雪--)으로 불리는 것이 뒷면에 털이 없다고 smooth hydrangea로 불리는 미국수국과 다른 점이다. 참고로 또 다른 북미 원산 수국인 Hydrangea cinerea 또한 이들과 매우 유사한데 다만 잎 뒷면이 백색이 아닌 회색 털이 있어 ashy hydrangea로 불리며 그 털에 결절(tubercle)이 있다는 점이 다르다.



라디아타수국

겉모습은 미국수국과 흡사하여 구분이 어렵지만 잎으로 구분된다.


라디아타수국

주변의 장식화가 미국수국에 비하여 많다.


라디아타수국


석산

Lycoris radiata

라디아타란 이런 모습을 말한다. 


몬터레이소나무 또한 방사형이다.

Pinus radiata


Habenaria radiata

해오라비난초도 방사형이라고 한다.


라디아타수국

그래서 주변 장식화가 아니라 이런 수술 모양이 방사형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하지만 이런 수술모습은 이 라디아타수국만의 특징은 아니다.


미국수국에 둥근 Ball형 꽃이 피는 아나벨리라는 원예종이 있다면 라디아타수국에도 Samantha(사만다)라고 불리는 둥근 공모양 꽃이 피는 원예종이 있다. 지름 20cm 이상의 꽃이 피는 것 또한 미국수국 '아나벨리'와 흡사하지만 조금 작은 편이다. 다만 사만다는 덤으로 아름다운 은색 잎까지 추가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미국수국과 마찬가지로 신년지에서 개화하므로 내한성이 강하고 전정도 마음껏 하여도 무방하다. 그렇다면 지금 둘 중 하나를 고르라면 당연히 라디아타수국 '사만다'로 눈길이 가는 것은 당연하다. 다만 원예종이 늦게 개발되어 아직 미국에서도 널리 보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더더욱 생소한 것이다. 


우리나라 국표식에서는 이 국명을 은엽미국수국 '서맨사'라고 등록하고 있는데 학명을 미국수국의 아종인 Hydrangea arborescens subsp. radiata 'Samantha'로 표기하는 마당에서는 적절한 이름이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는 Hydrangea radiata 'Samantha'로 표기할 때는 약간 어색하게 된다. 라디아타수국을 은엽미국수국으로 변경하던가 아니면 원예종을 라디아타수국 '서맨사'로 변경하여야 일관성을 가지게 된다.


은엽미국수국 '서맨사'

미국수국 '아나벨리'와 유사하지만 잎 뒷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등록명 : 라디아타수국

학  명 : Hydrangea radiata Walter

이  명 : Hydrangea arborescens subsp. radiata (Walter) E. M. Mc Clint.

분  류 : 수국과 수국속 낙엽 관목

원산지 : 미국 동부

영어명 : silverleaf hydrangea or snowy hydrangea

높  이 : 3m

꽃차례 : 산방화서, 레이스 캡형, 지름 20cm

잎특징 : 뒷면 백색 

개화지 : 신년지

내한성 : 영하 34도


라디아타수국


라디아타수국


라디아타수국


라디아타수국


라디아타수국


라디아타수국


라디아타수국


라디아타수국


라디아타수국


등록명 : 은엽미국수국 '서맨사'

이  명 : 라디아타수국 '서맨사'

학  명 : Hydrangea arborescens subsp. radiata 'Samantha'

이  명 : Hydrangea radiata 'Samantha'

분  류 : 수국과 수국속 낙엽 관목

높  이 : 1.2~3m

꽃차례 : 볼타입

잎특징 : 뒷면 백색 

개화지 : 신년지

내한성 : 영하 34도

육종가 : Dr. Clarence Towe가 Walhalla, South Carolina에서 발견


은엽미국수국 '서맨사'


은엽미국수국 '서맨사'


은엽미국수국 '서맨사'


은엽미국수국 '서맨사'


은엽미국수국 '서맨사'


은엽미국수국 '서맨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