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채진목속 11

1892 큰꽃채진목 '발레리나' = 준베리 ‘발레리나’

채진목속의 마지막으로 큰꽃채진목 '발레리나'에 대하여 알아본다. 학명 Amelanchier × grandiflora 'Ballerina'로 등록된 이 원예품종은 논란은 있지만 북미 중동부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솜털채진목 즉 Amelanchier arborea와 또 다른 북미 동부 원산으로 잎에 털이 없고 신엽의 색상이 적자색인 반들채진목 즉 Amelanchier laevis 사이의 교잡종으로 알려진 큰꽃채진목 즉 Amelanchier × grandiflora의 여러 원예품종들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되면 원종인 큰꽃채진목은 앞에서 다룬 준베리 즉 Amelanchier x lamarckii와 같은 부모종에서 탄생한 교잡종이 될 수도 있다. 즉 Amelanchier x lamarckii가 독립된..

1891 준베리 – 꽃과 잎이 매우 아름다운 채진목

우리나라에 준베리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채진목속 특정 수종이 있다. Juneberry는 유럽보다는 북미에서 채진목속 수종들을 보편적으로 부르는 이름이다. 이 수종들이 매우 이른 시기인 6월경에 생으로 먹을 수 있는 맛이 좋고 영양분이 풍부한 열매를 맺기 때문이다. 그래서 준베리라고 하면 어떤 하나의 수종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흰 꽃이 피고 자주색 식용 가능한 열매가 열리는 북미 원산의 채진목속 여러 수종들을 이르는 말이라고 다음과 같이 대부분의 영어 사전에서 풀이하고 있다. Any of several North American trees of the genus Amelanchier, having white flowers and edible, purplish fruit. 그래서 대부분의 북미 원산 채진목을..

1890 솜털채진목 - 북미 대표적인 가장 큰 채진목

솜털채진목이라고 미국과 캐나다 중동부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수종이 있는데 새 잎이 나올 때 뒷면에 솜털이 밀생하기에 현지에서 downy serviceberry라고 부르기 때문에 우리도 그런 이름을 붙인 것으로 보인다. 이 수종을 원산지에서는 common serviceberry라고도 부르는데 그 이유는 미국 동부 캐나다와의 접경 지역에서부터 남쪽으로 플로리다주까지 그리고 미국 중부 미네소타주에서 남쪽 루이지애나주까지 폭넓게 분포하기 때문에 미국에서 가장 흔한 일반적인 채진목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불리는 영어 이름 또한 매우 다양하다. 그 중에는 이 채진목이 꽃이 필 때쯤 미국 북동부 New England지역 연안에 청어 떼가 몰려온다고 shadberry로 불리거나 열매가 익는 시기가 6월이라..

1889 땅채진목

땅채진목의 학명 Amelanchier stolonifera Wiegand 또한 앞 반들채진목과 마찬가지로 미국 식물학자인 코넬대학교수 Karl McKay Wiegand(1873~1942)가 미국 메사추세츠주 Wellesley에서 처음 발견하여 1912년 명명한 것이다. 캐나다 뉴펀드랜드주와 미국 버지니아주 등 북아메리카 동부가 원산지인 이 수종은 키가 120~180cm인 관목으로서 땅을 기어가는 포복지가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그런 취지의 stolonifera라는 종소명이 붙었으며 일반 영어명도 running serviceberry라고 불린다. 그래서 우리 이름도 땅채진목이라고 붙인 것으로 보인다. 등록명 : 땅채진목 학 명 : Amelanchier stolonifera Wiegand 분 류 : ..

1888 반들채진목

반들채진목의 학명 Amelanchier laevis Wiegand는 미국 식물학자인 코넬대학교수 Karl McKay Wiegand(1873~1942)가 미국 메사추세츠주에서 처음 발견하여 1912년 명명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laevis는 영어로 smooth하다는 뜻으로 이 수종의 잎에 털이 없기 때문에 붙은 것이다. 그래서 우리나라 이름도 반들채진목이고 중국에서도 같은 의미로 이를 평활당체(平滑唐棣)라고 부른다. 이 수종 또한 북아메리카대륙 동부에 분포하는데 키는 9m 정도 최대 15m까지도 자라는 교목이지만 키가 1m에 불과하게 관목형으로 자라기도 하며 키가 높게 자라더라도 뿌리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나와 함께 자라는 경우 등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이 수종이 다소 뒤늦게 명명된 것은 그동안 이 ..

1887 다화오리잎채진목 = 플로리다채진목

북아메리카 서부지역 원산인 오리잎채진목의 변종 중에 우리나라에 다화오리잎채진목이라고 학명 Amelanchier alnifolia var. semi-integrifolia (Hook.) C.L.Hitchc.로 등록된 수종이 있다. 여기서 변종명 semi-integrifolia는 잎의 반쪽에 거치가 없다는 뜻인데 왜 우리 이름을 다화라고 했는지 궁금하게 된다. 다화(多花)라면 꽃이 많다는 뜻일 터인데 글쎄 이 변종은 4~8cm 길이의 꽃차례에 꽃이 5~15송이씩 모여서 피기에 오히려 20송이까지 모여서 피는 원종에 비하여 결코 꽃이 풍성하게 핀다고 할 수가 없는데도 말이다. 그럼 왜 그런 이름이 붙었는지 알아보자. 알래스카에서 캘리포니아까지 북아메리카 서부 태평양 연안에 분포하는 이 변종은 1820~30년대..

1886 오리잎채진목과 왜성오리잎채진목

북아메리카의 채진목은 대부분 동부지역에 분포하는데 알래스카에서부터 캐나다 서부 그리고 미국 북서부지역에 자생하는 종이 하나 있다. 그 수종의 잎 모양이 오리나무를 닮았다고 Alder Leaved Serviceberry라고 불리기에 우리 이름도 그렇게 오리잎채진목이라고 붙인 것이다. 이 수종은 영국 식물학자인 Thomas Nuttall(1786~1859)에 의하여 1818년에 아로니아속으로 처음 분류되어 Aronia alnifolia Nutt.라고 명명되었으나 누탈 자신이 채진목속으로 변경하여 1834년에 Amelanchier alnifolia Nutt.라고 명명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이 학명으로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학명이 제대로 절차를 갖춰 발표되지 않았는지 1947년 독일학자 Max Joseph R..

1885 홍가지채진목

북미 중동부 미국과 캐나다의 경계지역에 자생하며 키가 3m에 불과한 낙엽 관목인 홍가지채진목은 원래 1814년 독일 태생 미국 식물학자인 Frederick Traugott Pursh (1774~1820)가 배나무속으로 분류하여 Pyrus sanguinea Pursh라는 학명을 부여하였다. 여기서 종소명 sanguine는 영어로 blood red 즉 적혈색이라는 뜻인데 이는 어린 가지의 색상이 특히 겨울철에 붉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수종을 배나무라고 명명한 이유는 비록 지름 11mm에 불과한 작은 열매가 달리지만 그 모습이 pome 즉 이과(梨果)의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이과(梨果)란 인과(仁果)라고도 불리는데 씨방에서 발달한 액질 또는 혁질의 내과피와 중과피가 있고 이들을 감싸는 우리가 식용하는..

1884 캐나다채진목

캐나다채진목 즉 학명 Amelanchier canadensis (L.) Medik.는 앞에서 다룬 유럽 원산의 잔설채진목과 더불어 채진목속 수종들 중에서는 가장 먼저인 1793년 채진목속을 창설한 독일 식물학자인 Friedrich Kasimir Medikus(1738~ 1808)에 의하여 명명되었다. 그러니까 북미 원산 22종 중에서 가장 먼저 채진목속으로 학명이 부여된 것이다. 키가 8m까지도 자라는 이 수종은 린네 시기에 이미 유럽에 알려져 린네가 서양모과속으로 분류하여 1753년 Mespilus canadensis L.라고 명명하였던 것을 메디쿠스가 채진목속으로 편입하여 재명명한 것이다. 당초에는 채진목속이 유럽 원산의 잔설채진목과 이 캐나다채진목으로만 구성되어 있었으므로 캐나다채진목은 잔설채진목에..

1883 잔설채진목 - 유럽채진목

잔설채진목은 학명 Amelanchier ovalis Medik.로 등록되어 있는데 이 학명은 채진목속을 창설한 독일 의사 겸 식물학자인 Friedrich Kasimir Medikus(1738~ 1808)에 의하여 1793년 명명된 것이다. 채진목속 수종들 중에서 북미 이외에 지역에 분포하는 3종이 있는데 2종은 한중일에서 자생하는 채진목과 중국채진목이고 나머지 한 종이 남부 유럽과 북아프리카 그리고 중동지역에 자생하는 바로 이 잔설채진목이다. 학명의 종소명 ovalis는 잎이 난형(卵形)이라는 뜻이다. 우리나라서 이 수종을 잔설채진목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이 수종의 영어 일반명이 snowy mespilus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mespilus는 이 채진목과 매우 유사한 서양의 모과와 같이 생긴 국내에는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