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개나무라는 이름을 가진 우리 자생종 교목이 있는데 속리산 인근 충청북도와 그 남쪽 경상북도에서 주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서는 1923년 정태현박사가 최초 발견하여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특산 식물로 파악하여 일본 식물학자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 1882~1952)이 망개나무속으로 분류한 학명 Berchemiella koreana Nakai를 1936년 발표하게 된다. 한자명을 조선구아차(朝鮮勾儿茶)라고 하였으며 1943년 정태현박사가 조선삼림식물도설에서 국명을 망개나무라고 하여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그런데 정태현선생은 같은 도감에서 망개나무라는 이름은 덩굴식물인 청미래덩굴이나 소교목인 까마귀베개의 이명으로 불린다고도 기록했다. 우리에게 이들 세 종이 어떤 공통점이 있으며 도대체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