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갈매나무과

2107 나카하라갈매나무

낙은재 2025. 3. 28. 09:52

 

 

 

 

나카하라갈매나무는 대만 특산수종인데 이를 1907년 일본에서 파견한 대만 식물탐사팀의 일원인 동경대의 촉탁(囑託)이던 나카하라 겐지(中原源治, 생몰년 미상)가 대만 중부에서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탐사팀장이던 일본에서 대만 전문 식물학자로 유명한 하야타 분조(早田文藏, 1874~1934)가 당초에는 중국의 예치서리(锐齿鼠李)의 변종으로 발견자의 이름을 변종명으로 하여 1908년 Rhamnus arguta var. nakaharae Hayata라고 명명하였다가 1911년 원종으로 승격시켜 현재의 학명 Rhamnus nakaharae (Hayata) Hayata를 발표한 것이다. 표본 채집지가 대중(臺中) 미농(眉濃)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현재는 미농(美濃)은 대중(台中)시가 아닌 인근 고웅시(高雄市)에 위치한다고 한다. 여하튼 대중에서 발견되었다고 중국에서는 이를 대중서리(台中鼠李)라고 부르지만 원산지 대만에서는 나카하라(中原)씨가 발견하였다고 중원씨서리(中原氏鼠李)라고 부른다.

 

 

 

중국 원산 예치서리(좌)와 나카하라갈매나무의 표본 그림 1~2
1907년 나카하라가 대만에서 채집한 표본

 

 

 

 

개화기 일본에서는 조선과 대만에 동경대학 출신의 유능한 식물학자들을 파견하여 수많은 식물들을 찾아서 학명을 부여하였는데 우리나라에는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 1882~1952)이 왔고 대만에는 하야타 분조(早田文藏, 1874~1934)가 갔던 것이다. 이들 둘은 나중에 일본 식물학계의 중심 인물이 되는데 하야타 분조는 현재까지도 대만에서 대만식물학의 아버지로 불리면서 추앙받고 있지만 나카이 다케노신은 우리나라에서 학문적으로는 엄청난 업적을 쌓았지만 국내서는 공과(功過)의 대상이 되어 가끔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아마 이런 현상은 일본과 대만이 지속적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한 반면에 우리나라에서는 반일 감정이 강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수종은 전주에 털이 없고 줄기 끝에 가시도 없는 것이 특징이기는 하지만 내한성이 충분하지 못하여 중부지방에서는 노지월동을 장담하기 어려운데 어떻게 국내에까지 오게 되었는지 궁금하다.

 

 

등록명 : 나카하라갈매나무

학   명 : Rhamnus nakaharae (Hayata) Hayata

분   류 : 갈매나무과 갈매나무속 관목

원산지 : 대만 특산식물

대만명 : 중원씨서리(中原氏鼠李)

중국명 : 대중서리(台中鼠李)

일본명 : ナカハラクロウメモドキ(中原黑梅擬)

특   징 : 전주 무모

줄   기 : 소지 전개 호색 암갈색 거침 무광택

동   아 : 지단

가   시 : 무

엽   편 : 호생 막질 박지질 구원상난형 난원형

잎크기 : (5)7~10 x 3~5cm

잎모양 : 정단점첨 미상점첨 희돌첨 기부근원형 희설형

잎거치 : 원치상 세거치 치단 점첨 초내만

잎색상 : 표면 녹색 하면 담록색

잎면맥 : 측맥 4~6쌍 호상만곡 상면불명현 하면 초돌기

잎면모 : 양면 무모

잎자루 : 1cm 무모

탁   엽 : 침상피침형 조락

꽃특성 : 단성 자웅이주 4기수 통상 5~6송이 엽액에 족생

꽃모양 : 황록색 종상 폅종상 무모 악편 피침형 3mm 3맥

꽃자루 : 섬세 1cm

자   화 : 화판 퇴화 자방 구형

화   주 : 2mm 정단 3~4천렬 주두 개전 하만

웅   화 : 선상 극소 0.5mm 화판 시상 도피침형 1.5~2mm 퇴화자방 극소

열   매 : 핵과 타원상 구형 지름 4mm

종   자 : 미상

내한성 : 영하 18~21도

 

 

화주가 3~4렬 한다.
암꽃
수꽃과 열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