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기타목본 62

2157 말오줌때 – 고추나무속으로 편입된 자생종

우리나라 식물이름에 말오줌이 들어간 것이 둘이나 있다. 하나는 이번에 다룰 고추나무과 말오줌때이고 또 다른 하나는 울릉도 특산 산분꽃나무과 딱총나무속 말오줌나무이다. 이들 둘의 특징은 줄기나 잎을 상처 내면 말오줌과 같은 역겨운 냄새가 난다는 것이다. 그래서 1937년 조선식물향명집에서는 둘 다 말오줌때라고 하였는데 나중에 이들 둘을 구분하기 위하여 울릉도 특산 딱총나무속 수종을 말오줌나무로 변경하였다. 둘은 비슷한 사이즈의 키에 비슷한 기수 우상복엽의 잎모양에다가 붉은색 열매가 달려 구분하기 힘들다고 생각되겠지만 실제로 열매를 보면 확연하게 차이를 보인다. 말오줌나무는 딱총나무와 같은 둥근 핵과이지만 말오줌때는 나중에 벌어지는 골돌과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라남북도와 경상남도 그리고 제주도..

2156 프링글고추나무 – 멕시코 원산

프링글고추나무는 멕시코원산으로서 학명 Staphylea pringlei S.Watson는 미국 식물학자인 Sereno Watson (1826~1892)이 1890년 발표한 것으로 여기서 종소명 pringlei는 미국 식물학자이자 채집육종가인 Cyrus Guernsey Pringle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해외에서도 정보가 거의 없는 이 수종이 어떻게 국내에 도입되어 등록되어 있는지가 궁금할 뿐이다. 등록명 : 프링글고추나무학 명 : Staphylea pringlei S.Watson분 류 : 고추나무과 고추나무속 낙엽 관목 소교목원산지 : 멕시코

2155 콜키스고추나무 = 콜룸비에고추나무

콜키스고추나무의 학명 Staphylea colchica Steven은 1848년 필란드 출생 러시아 식물학자가 명명한 것으로 여기서 종소명 colchica는 흑해 연한 코카서스지방 서부에 있던 고대 왕국의 이름으로서 현재는 동유럽 조지아의 영토에 속한다. 그래서 우리 이름이 콜키스고추나무이며 영어 이름 Caucasian bladdernut 또한 그 지역명 코카서스에서 왔다. 이 수종은 봄에 향기가 매우 좋은 아름다운 백색 꽃을 매우 풍성하게 피우는 관목으로서 여느 라일락 못지않게 정원수로 인기가 높은 수종으로 서양에 알려져 있다. 한편 프랑스 Segrez Arboretum에서 1872년경에 발견된 교잡종으로 추정되는 종이 있는데 이 교잡종이 프랑스 Vitry에 있던 Coulombier nursery에 ..

2154 시에라고추나무

시에라고추나무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있는 Sierra Nevada산맥에서 자생하는 고추나무로서 미국의 대표적인 식물학자인 케임브리지대학 교수 Asa Gray(1810~1888)가 1874년 Staphylea bolanderi A.Gray라는 학명을 명명한 수종이다. 여기서 종소명 Bolanderi는 이 수종의 표본을 채집한 독일 출신 채집가 Henry Nicholas Bolander의 이름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이를 원산지 미국에서는 Sierra bladdernut라고 하는데 sierra는 스페인어로 산맥이라는 뜻이고 bladdernut는 열매가 방광(bladder)같이 부풀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참고로 시에라 네바다산맥은 미국 네바다주가 아닌 캘리포이아주에 위치하는데 nevada는 눈으로 덮여 있..

2153 중국고추나무 – 정원수로 인기 높은 수종

중국에 와서 식물채집에 진심이었던 영국 출신 아일랜드 원예가이자 중국학 학자인 Augustine Henry (1857~1930)가 1887년 호북성(湖北省) 의창(宜昌) 남타(南沱)에서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영국 식물학자인 William Botting Hemsley (1843~1924)가 1895년 학명 Staphylea holocarpa Hemsl.를 명명한 중국고추나무는 다음에 다룰 코카서스 원산의 콜키스고추나무와 더불어 고추나무속 중 가장 아름다운 수종으로 꼽힌다. 여기서 종소명 Holocarpa는 영어로 undivided fruit 즉 갈라지지 않는 열매라는 뜻인데 초창기 1887년 채집한 표본에 공교롭게도 열매 풍선 끝이 갈라지지 않는 모습이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보인다. 하지만 1889년..

2152 미국고추나무

고추나무는 아시아는 물론 유럽에 이어 미주대륙에서도 자생하는데 미국고추나무는 미국과 캐나다의 동부와 중부에서 자생한다. 일찍이 유럽에 알려져 유럽고추나무와 함께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인 1753년에 명명한 두 종 중 하나가 된다. 학명 Staphylea trifolia L.의 종소명 trifolia는 3소엽이라는 뜻이다. 이는 유럽고추나무의 소엽이 3~7장이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이지만 이 수종을 정원수로 심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한성은 영하 40도로 매우 강하다. 등록명 : 미국고추나무학 명 : Staphylea trifolia L.분 류 : 고추나무과 고추나무속 낙엽 관목원산지 : 북미 동부 및 중부 영어명 : American Bladde..

2151 유럽고추나무 – 고추나무속의 모식종

고추나무과에는 전세계 3개의 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국내는 고추나무속 하나만 등록되어 있다. 1753년 린네가 창설한 고추나무속은 전 세계 25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국내에는 8종이 등록되어 있으며 이 중 우리 자생종은 고추나무와 말오줌때 두 종이다. 말오줌때는 현재 다른 속으로 등록되어 있지만 국제적으로는 이미 고추나무속으로 편입 분류하고 있다. 속명 Staphylea는 그리스에서 이 수종들을 부르던 이름에서 온 것으로 그 어원은 원추화서인 꽃차례에서 온 송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예로부터 그리스를 포함한 남동부 유럽과 서아시아에서 자생하던 유럽고추나무가 있었기 때문에 그 나무를 부르던 이름을 그대로 속명으로 린네가 정했다는 말이다. 고추나무속의 모식종인 유럽고추나무의 학명 Staphylea p..

2150 고추나무 – 정원수로 손색 없는 잎을 식용하는 관목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고추나무라는 관목이 있다. 키가 주로 2m인 관목이지만 5m까지도 자라기에 소교목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비교적 흔한 나무이지만 실제로 아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 4월에 하얀 꽃을 매우 풍성하게 피워 정원수로서도 손색이 없지만 이상하게 이 수종을 정원에 심는 경우는 거의 본 적이 없다. 그 대신에 이른 봄 어린 순을 따먹는 나물로서의 시골에서는 고추잎나무 또는 고추순나무 등으로 불리면서 노인들에게는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수종의 삼출복엽으로 생긴 잎의 모양과 비슷한 맛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고추나무라고 불리지만 실제로 어긋나기로 달리는 고추와는 잎의 형태가 많이 다르다. 다만 난상피침형(卵狀披針形) 즉 계란 모양에 끝이 뾰족한 소엽의 모양이 서로 닮아서 비슷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

764 두충 - 동양 3국에서 신비한 약으로 알려진 중국 원산 두중(杜仲)

두충 열매 두충 두충 약재는 주로 껍질을 사용하며 껍질을 자르면 저렇게 끈적한 면실같은 것이 보인다. 두충차 및 약재로 널리 알려진 두충은 키가 15m 이상 최대 20m까지 자라는 교목으로서 중국 고유종이다. 원래 유럽이나 아시아 여러 나라 그리고 아메리카대륙에 10~35백만 년 전에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