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국수나무족 11

2055 중산국수나무 – 중국이 아닌 북미 원산 반왜성종

중산국수나무는 키가 1.5m까지만 자라 양국수나무에 비하면 절반 정도의 크기이며 꽃받침과 심피 그리고 열매에 성상모가 밀생하고 수술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차이점이 있는 북미 원산의 왜성 산국수나무이다. 이 수종에 대하여 맨 처음 학명을 부여한 사람은 스웨덴 출신 미국 식물학자인 Per Axel Rydberg(1860~1931)이다. 그는 이를 현재는 산국수나무속으로 통합되어 없어진 Opulaster속의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여 1901년 Opulaster intermedius Rydb.라는 학명을 부여하였다. 그러다가 독일 식물학자인 Camillo Karl Schneider(1876~1951)가 산국수나무속을 변경한 학명 Physocarpus intermedius (Rydb.) C.K. Schneid.를 1..

2054 양국수나무 다양한 원예품종들

북아메리카 원산의 산국수나무의 일종인 양국수나무는 산국수나무들 중에서는 정원수로 가장 인기가 높은 수종인만큼 매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도 이미 다수의 품종이 도입되어 시중에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 미등록종인 이 품종들을 일일이 상세하게 파악하지는 못하고 그냥 사진으로만 보고 넘어간다. 이들은 모두 양국수나무의 원예품종들이므로 당연히 학명 표기를 예를 들면 Physocarpus opulifolius 'Amber Jubilee'와 같이 해야 한다. 따라서 국수나무의 학명 Stephanandra incisa와는 전혀 다르므로 이를 국내서 국수나무라고 부르는 것은 옳지 않고 반드시 양국수나무로 불러야 한다. 이들은 서로 매우 비슷한 경우가 많아서 실제로 구분하..

2053 양국수나무 '디아볼로' - 자엽양국수나무

양국수나무 '디아볼로'는 학명을 Physocarpus opulifolius 'Diabolo'로 지금 현재는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제대로 표기하여 등록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디아블로’라고 했던 것 같다. 그래서 국내서는 거의 모두 디아블로라고 부른다. 실제로 해외에서도 그렇게 자주 오류를 범하기에 국내서도 그렇게 된 것으로 보인다. 원래는 라틴어 악마를 뜻하는 diabolus에서 온 독일어 Diabolo가 올바른 품종명이다. 왜냐하면 이 품종이 독일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같은 의미를 가진 스페인어 diablo가 서양인들에게 익숙한지 서양에서도 흔히 디아블로라고 부르는 오류를 범한다. 그렇지만 이 품종의 상표권을 가진 미국 Monrovia Nursery의 공식 상품명은 어디까지나 Diabolo인 데다..

2052 양국수나무 '루테우스' - 황금양국수나무

미국 원산으로 산국수나무속 중에서는 가장 보편적이며 가장 인기가 높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된 수종인 양국수나무에는 매우 다양한 원예품종들이 개발되어 있다. 그 중에서 우리나라에는 두 종이 등록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양국수나무 '루테우스'이다. 학명 Physocarpus opulifolius 'Luteus'로 표기하는 이 품종은 봄에 잎이 나올 때 노란색으로 나오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품종명 luteus가 라틴어로 yellow라는 뜻인 이 품종의 역사는 매우 길다. 맨 처음 자료가 나타나는 것은 미국 식물학자인 Georg Kirchner(1837~1885)라는 사람이 1864년 그 당시 양국수나무를 조팝나무로 널리 인식하던 시절 노란잎 변종으로 분류한 학명 Spiraea opulifolia v..

2051 양국수나무 - 미국산국수나무

산국수나무속은 우리나라 북부지방과 중국 북부 그리고 극동러시아에서 자생하는 산국수나무 1종을 제외한 나머지 6종은 모두 북미가 원산지이다. 북미 원산 수종들 중에는 17세기 후반에 벌써 유럽에 상륙한 양국수나무가 꽃이 아름다운 데다가 잘 자라서 울타리나 관목 숲을 조성하기에 적합하여 정원수로 인기가 높다. 그래서 린네도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에 이미 이 수종을 인지하고 1753년 조팝나무속으로 분류한 학명 Spiraea opulifolia L.를 명명했다. 여기서 종소명 opulifolia는 유럽에 자생하는 백당나무 즉 Viburnum opulus의 잎을 닮았다는 뜻이다. 그러다가 프랑스 식물학자인 Constantine Samuel Rafinesque(1783~1840)가 이 수종을 모식종으로 삼아서 ..

2050 산국수나무 - 희귀 우리 자생종

산국수나무속은 북미 원산 양국수나무를 모식종으로 삼아서 1838년 터어키 태생 프랑스 박식가인 Constantine Samuel Rafinesque(1783~1840)가 창설한 속이다. 산국수나무속 수종들은 전세계 모두 7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우리나라와 중국 그리고 극동러시아에 자생하는 산국수나무 1종 외에 나머지 6종은 모두 북미대륙이 원산지이다. 이들은 모두 초창기에는 조팝나무속으로 분류되었는데 그 당시 프랑스 식물학자인 Jacques Cambessèdes (1799~1863)가 1824년 이들을 조팝나무속의 하위 분류군인 산국수나무조 즉 Physocarpus라는 section(조, 組)을 신설하여 세분류한 바 있었다. 나중인 1838년에 Rafinesque가 이 section 수종들을 분리하여 별..

2049 티베트나도국수나무 - 정원수로 인기

티베트나도국수나무는 중국 사천성과 운남성이 원산지인 나도국수나무의 일종인데 영국 빅토리아시대의 자연학자이자 탐험가이며 유명한 동식물채집가인 Antwerp Edgar Pratt (1852~1924)가 1890년 사천성 강정(康定)에서 채집한 표본을 근거로 프랑스 의사겸 식물학자인 Édouard Bureau(1830~1918)와 프랑스 식물학자인 Adrien René Franchet (1834~1900)가 1891년 Neillia thibetica Bureau & Franch.라는 학명을 부여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thibetica는 당연히 티베트 원산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현재 중국 행정구역으로 볼 때는 정확하게는 티베트가 아닌 사천성과 운남성이 원산지이다. 하지만 과거에는 그 지역을 서강(西康)이라고..

2048 까치밥나도국수나무

까치밥나도국수나무의 학명 Neillia ribesioides Rehder는 독일 태생으로 미국 아놀드수목원에서 근무하던 당대 최고의 수목학자 중 한명인 Alfred Rehder(1863~1949) 하버드대 교수가 1913년에 명명한 것이다. 이는 1907년 그 유명한 식물채집가인 어네스트 윌슨이 사천성 도강언(都江堰)에서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ribesioides는 까치밥나무속 즉 Ribes를 닮았다는 뜻이다. 그래서 우리 이름도 까치밥나도국수나무라고 붙인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는 이 수종을 모엽수선매(毛叶绣线梅)라고 한다. 그런데 나중인 1963년에 이 수종이 중국의 또 다른 나도국수나무인 중화수선매(中华绣线梅)의 변종으로 편입되어 학명 Neillia sinensis va..

2047 나도국수나무

나도국수나무속은 한중일 3국 외에도 히말라야 인근과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는 장미과 아몬드아과의 1개 속으로 1825년 스코틀랜드 식물학자인 David Don(1799~1841)이 히말라야 인근 네팔에서 채집한 표본으로 명명한 Neillia thyrsiflora를 모식종으로 삼으면서 창설하였다. 참고로 국내 미등록종인 이 수종은 중국에 자생하는 수선매속 10여 종의 대표격으로 중국에서는 이를 수선매(绣线梅)라고 한다. 현재 국수나무속 즉 Stephanandra속을 통합한 나도국수나무속 즉 Neillia속은 전세계 모두 16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우리나라는 국수나무와 나도국수나무 두 종이 자생한다. 나도국수나무는 우리나라 남부지역을 제외한 남북한 거의 전지역에서 자생한다. 이를 처음 발견한 서양인은 미국 일리..

2046 일본국수나무 - 타나캐국수나무

일본국수나무의 학명 Stephanandra tanakae Franch. & Sav.는 1878년 프랑스 식물학자 Adrien René Franchet(1834~1900) 등이 명명한 것인데 이 수종은 초창기부터 국수나무속과 나도국수나무속 및 심지어는 산국수나무속을 오락가락 하다가 당초에는 1873년 나도국수나무속으로 분류한 학명 Neillia tanakae Franch. & Sav.로 이름을 붙였다가 1878년 국수나무속으로 분류한 학명을 발표한 것이다. 이 수종은 일본 혼슈에서만 발견된 일본 고유종인데 여기서 종소명 tanakae는 메이지시대 식산에 노력한 박물학자 다나카 요시오(田中芳男, 1838~1915)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그러다가 이 수종도 2006년 우리나라 식물학자 오상훈교수의 연구에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