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치밥나도국수나무의 학명 Neillia ribesioides Rehder는 독일 태생으로 미국 아놀드수목원에서 근무하던 당대 최고의 수목학자 중 한명인 Alfred Rehder(1863~1949) 하버드대 교수가 1913년에 명명한 것이다. 이는 1907년 그 유명한 식물채집가인 어네스트 윌슨이 사천성 도강언(都江堰)에서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ribesioides는 까치밥나무속 즉 Ribes를 닮았다는 뜻이다. 그래서 우리 이름도 까치밥나도국수나무라고 붙인 것으로 보인다. 중국에서는 이 수종을 모엽수선매(毛叶绣线梅)라고 한다. 그런데 나중인 1963년에 이 수종이 중국의 또 다른 나도국수나무인 중화수선매(中华绣线梅)의 변종으로 편입되어 학명 Neillia sinensis var. ribesioides라고 표기되다가 현재는 아예 원종인 Neillia sinensis Oliv.에 통합되어 버렸다. 서양에서는 이미 우리나라 오상훈교수의 주장에 따라서 통합하여 학명 Neillia ribesioides는 Neillia sinensis의 이명으로 처리되고 있으므로 원산지 중국에서도 곧 따를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판단된다.
통합된 학명 Neillia sinensis Oliv.는 영국 식물학자인 Oliver Daniel (1830~1911)가 1886년 명명한 것으로 중국명은 중화수선매(中华绣线梅)이다. 모엽수선매는 중화수선매에 비하여 작은 가지와 잎자루 및 엽 뒷면에 유모가 밀생하고 잎의 갈라짐이 보다 더 깊으며 꽃자루와 꽃받침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차이점이 있으며 꽃의 색상도 백색과 분홍색으로 피어 연한 분홍색으로 피는 중화수선매와 다르다고 한다. 하지만 이제는 통합되었으므로 잎의 털 유모 또는 꽃의 색상이 절대적인 조건이 될 수는 없게 되었다. 그리고 통합한 후의 우리 이름은 중국나도국수나무가 될 수도 있겠다 싶다.
등록명 : 까치밥나도국수나무
학 명 : Neillia ribesioides Rehder
통합명 : Neillia sinensis Oliv.
분 류 : 장미과 나도국수나무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모엽수선매(毛叶绣线梅)
통합명 : 중화수선매(中华绣线梅)
수 고 : 1~2m
줄 기 : 소지 원주형 미굴곡 단유모 밀생 유시황갈색 노시암회갈색
동 아 : 난형 정단미첨 심갈색 외로인편 2~4매
엽 편 : 삼각형 난상삼각형
잎크기 : 4~6 x 3.5~4cm
잎모양 : 선단점첨 기부절형 근심형 변연 5~7천렬편 첨예중거치
잎면모 : 상면유모 하면유모밀생 중맥과 측맥상 모 현저
잎자루 : 5mm 단유모밀생
탁 엽 : 장원형 피침형 5~10mm 선단운 금첨 전연 소수거치 단유모
꽃차례 : 정생 총상화서 10~15송이 길이 4~5cm
포 편 : 선상피침형 6mm 양면미유모
꽃자루 : 3~4mm 근무모
꽃크기 : 6mm
꽃받침 : 악통 종상 8~9mm 외면무모 기부소수선모 내면유모
악 편 : 삼각형 선단미첨 2mm 내면유모
화 판 : 원둔 백색 담분색 악편보다 약간 김
수 술 : 10~15개 화사단 화약자색 악통변연착생
자 방 : 정단이유모 내함 4~5배주
열 매 : 골돌과 장타원형 악숙존 외피소생 선모
개화기 : 5월
결실기 : 7~9월
내한성 : 영하 23도
'장미과 아몬드아과 > 국수나무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50 산국수나무 - 희귀 우리 자생종 (4) | 2024.10.28 |
---|---|
2049 티베트나도국수나무 - 정원수로 인기 (2) | 2024.10.26 |
2047 나도국수나무 (1) | 2024.10.26 |
2046 일본국수나무 - 타나캐국수나무 (4) | 2024.10.24 |
2045 국수나무 – Neillia(나도국수나무)속으로 변경되었으나 (14) | 2024.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