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 121

1761 나도수정초 그리고 수정난풀과 구분방법

2021년 2월 5일 1329번 게시글인 진달래과를 시작으로 오늘까지 무려 약 1년 2개월 동안 432개의 게시글을 올리면서 진달래과 식물들을 탐구에 매진해 왔다. 이제 그 마지막으로 진달래과 수정난풀아과 나도수정초속 나도수정초에 대하여 파악하면서 진달래과를 마무리하려고 한다. 나도수정초라는 이름을 들으면 누구나 수정초를 떠올리게 된다. 그런데 수정초라는 정명으로 등록된 식물이 없는데 뜬금없이 무슨 나도수정초라는 이름이 있을까하고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든다. 우리나라 전역 산지의 숲속에서 가끔 발견되는 이 다년생 초본의 이름은 평소 합리적인 식물 이름을 많이 제시하셨던 한국식물분류학회장과 고려대 교수를 역임하신 박만규(1906~1977)선생께서 1974년 한국쌍자엽식물지에서 새로이 이름을 붙인것이다. 이런..

1760 구상난풀 – 너도수정초를 통합한 완전 균종속영양 기생식물

구상난풀이라고 또 하나의 수정난풀속 우리 자생종인 다년생 초본이 있는데 이 또한 엽록소가 전혀 없어 스스로 광합성을 하지 못하므로 영양분 전부를 지하 균뿌리에 의존하고 있는 기생식물이다. 그래서 식물 전체에 녹색은 당연히 없고 잎도 필요성이 없으므로 거의 퇴화하여 조그마한 비늘모양으로 일부 남아 있으며 줄기에는 가지가 전혀 없다. 다만 그 색상이 반투명 백색인 수정난풀과는 달리 옅은 노란색이라서 얼핏보면 버섯이나 기생 난으로 혼동하게도 생겼다. 수정난풀과의 차이점은 국내서는 색상 외에도 개화시기가 한두 달 빠르고 꽃과 열매의 사이즈가 약간 작으며 잎은 거의 줄기 아래에만 붙어 있고 꽃잎과 수술의 숫자가 적고 수술이 짧으며 암술대는 보다 길고 개화 초기에는 꽃이 아래로 숙이지만 개화가 진행되면서 거의 90..

1759 수정난풀 – 균근균을 통하여 영양분 전부를 조달하는 기생식물

일반적으로 생물을 구분할 때 빛을 이용하여 광합성으로 에너지를 얻는 독립영양생물을 식물이라고 하고 그러지 못한 종속영양생물을 동물이나 균류 그리고 세균 등으로 분류하는데 식물이면서도 독립적으로 영양조달을 못하고 다른 식물이나 균류에 일부 또는 전부를 의존하여 살아가는 경우도 있다. 이런 식물을 기생식물(寄生植物)이라고 하는데 영어로는 패러시틱 플랜트(Parasitic plant)라고 한다. 인간이나 동물에게만 기생충(Parasite)이 있는 줄 알았더니 식물의 세계에도 기생식물이 있다는 이야기이다. 기생충이란 원래는 몸 안에서 기생하는 벌레들을 말하지만 멀쩡한 사람의 형상을 하고서도 같은 인간을 숙주삼아서 경제적으로 의존하여 사는 사람들도 벌레에 비유하여 기생충(寄生蟲)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봉준호감독은..

1758 홀꽃노루발 – 하나의 큰 꽃이 피는 홀꽃노루발속 유일종

우리나라 백두산 인근 함경도에서 자생한다는 홀꽃노루발이 있다. 꽃줄기 끝에 꽃이 하나씩만 피며 얼핏보면 노루발같이 생겼다고 판단하였는지 1949년 정태현선생 등이 조선식물명집에서 홀꽃노루발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식물은 진달래과 노루발아과 홀꽃노루발속으로 분류되므로 노루발과는 가까운 관계에 있는 것은 맞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만 아주 드물게 발견되는 멸종위기종인데 일본이름이 이치게이치야쿠소우(イチゲイチヤクソウ)라고 부르고 한자로 일화일약초(一花一薬草)로 쓰는데 이걸 그대로 따라서 우리 이름이 홀꽃노루발이 된 것으로 보인다. 서양인들도 이를 영어로 one-flowered wintergreen이라고 같은 맥락으로 부른다. 게다가 이 다년생 초본도 영양 조달 일부를 균근균에 의존하는 부분적 균종속영양식물..

1757 매화노루발 – 부분적 균종속영양식물

진달래과에 매화노루발이라는 식물이 있는데 우리나라 거의 전역과 일본과 대만 중국 등에서 자생하는 상록 식물인데 그 겉 모습이 노루발 등과 마찬가지로 초본과 같이 생겼기에 우리나라에서는 다년생 초본이라고 하지만 지상에 다년생 줄기가 있고 그 줄기에서 상록 잎이 나오는데 밑줄기에서 나무 느낌이 일부 나기에 이를 중국과 일본에서는 초본상(草本状) 반관목(半灌木) 또는 아관목(亜灌木)이라고 한다. 이 식물도 노루발이나 새끼노루발과 마찬가지로 균근균(菌根菌)에 부분적으로 의존하여 영양을 조달하는 부분적 균종속영양식물(菌従属營養植物)의 일종이다. 그리고 과거에는 노루발과 같은 과(科)로 분류되었으며 현재도 진달래과에서 같은 노루발아과(亞科)로 분류되는 데다가 일본에서 그 꽃이 매화를 닮았다고 하니까 우리나라에서 매..

1756 새끼노루발 – 노루발속에서 분리된 새끼노루발속 상록 초본

새끼노루발의 학명 Orthilia secunda (L.) House는 원래 1753년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 노루발속으로 분류하여 Pyrola secunda L.라고 명명하였던 것을 1921년 미국 식물학자인 Homer Doliver House (1878~1949)가 새끼노루발속으로 편입하여 재명명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백두산 인근지역에서 발견되며 일본에서는 혼슈 중부이북 지역과 홋카이도에서 그리고 중국에서는 동북3성과 내몽고 그리고 신강에서 자생하는 이 상록 다년생 초본은 한중일 외에도 북반구 아한대 거의 전지역에 분포하며 유럽에서도 거의 모든 국가에서 자생한다. 그러니 린네가 익히 파악하고 있었기에 최초 명명된 리스트에 당연히 포함된 것이다. 린네가 처음 노루발속으로 분류할 당시의 학명 ..

1755 콩팥노루발 – 하트형 잎을 가진 자생종

우리나라에는 노루발속 7종이 분포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애기노루발은 노루발에 통합되어 버렸고 학명 Pyrola secunda L.로 등록된 새끼노루발은 노루발속이 아닌 새끼노루발속으로 변경되었는데 국표식에서 이미 이를 바로 잡아서 Orthilia secunda (L.) House로 등록하고 있으므로 결국 노루발속은 5종이 등록된 셈이다. 이 중 노루발과 분홍노루발, 호노루발 및 주걱노루발은 이미 앞에서 살펴보았고 이제 마지막 남은 하나가 콩팥노루발이다. 그리고 새끼노루발은 중복등록되어 있으므로 노루발속으로 등록된 것은 이명이라고 수정 표시함이 마땅하다. 콩팥노루발의 학명 Pyrola renifolia Maxim.은 러시아 식물학자인 Carl Johann Maximovich(1827~..

1754 주걱노루발 – 잎이 주걱을 닮은 왜성종

주걱노루발의 학명 Pyrola minor L.는 1753년 식물분류학을 창설하면서 린네가 명명한 것이다. 이 식물은 한중일러 등 동아시아에서만 분포하는 것이 아니라 북반구 한랭한 거의 전지역에 분포하므로 유럽 거의 전지역에서 자생하기 때문이다. 종소명 minor는 상대적으로 작다는 뜻인데 꽃이나 잎 등 전반적으로 작은 사이즈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이 종이 암술대가 극히 작아서 여타 종들은 꽃잎 밖으로 돌출하지만 그렇지 않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암술대 즉 화주가 짧다고 단주녹제초(短柱鹿蹄草중)라고 부른다. 일본에서는 혼슈 도야마(富山)현 이북에서 홋카이도까지 분포하는데 주로 홋카이도에 많이 자생한다고 홋카이도의 옛이름 에조(蝦夷)를 붙여서 에조이치야쿠소우(蝦夷一薬草)라고 부른다. 우리 이름 주걱노루발은..

1753 호노루발

호노루발의 학명 Pyrola dahurica (Andres) Kom.는 원래 독일 식물학자 Heinrich Andres(1883~1970)가 북미 원산인 노루발의 변종으로 1911년에 Pyrola americana var. dahurica Andres라고 명명하였던 것을 러시아 식물학자 Vladimir Leontjevich Komarov (1869~1945)가 1923년에 독립된 종으로 승격시켜서 재명명한 것이다. 종소명 dahurica는 러시아의 바이칼호 동쪽지역을 말하는데 이를 현지에서는 Zabaykalye(자바이칼) 또는 Dahuria(다우리아)라고 부른다. 영어로는 바이칼 넘어라는 뜻으로 Transbaikal(트랜스바이칼)이라고 하며 중국에서는 달오리지구(达乌里地区)라고 부른다. 한겨울에 영하 5..

1752 분홍노루발

분홍노루발은 이름 그대로 분홍색 꽃이 피는 노루발속 중에서는 가장 아름다운 종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경기도이북에서 자생하며 일본의 중북부 그리고 중국 만주와 극동러시아 등지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이 상록 다년생 초본의 학명은 아직도 제대로 정리가 안되었는지 매우 혼란스럽고 복잡하다. 우리나라에서는 Pyrola asarifolia Michx. subsp. incarnata (DC.) Haber & Hir. Takah.이라고 미국 원산의 pink wintergreen의 아종으로 1988년 캐나다학자와 일본학자가 공동 재명명한 것으로 표기하지만 중국의 경우는 같은 아종으로 분류함에도 미국 학자가 1982년에 재명명한 Pyrola asarifolia subsp. incarnata (DC.) A.E.M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