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벗나무속/자두아속자두조 7

1794 자두나무 ‘뉴 포트’ (O), 매실나무 '뉴 포트' (X)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2011년 12월 8일 매실나무 '뉴 포트'라고 학명 Prunus 'New Port'로 등록된 품종과 같은 날 학명 Prunus cerasifera 'Newport'에 자엽꽃자두 '뉴포트'로 이중 등록된 품종이 있는데 11년이 지난 아직까지 정리되지 않고 있다. 아니 사적인 취미단체도 아니고 국가기관이 관리하는 국가 표준이라는 식물리스트가 이래도 된다는 말인가? 그럼 일단 이 품종이 매실나무인지 아니면 자두나무인지 파악해 보자. 이 품종은 미국 미네소타대학에서 매우 복잡한 종간 교잡 과정을 거쳐서 개발하여 1923년 발표한 품종인데 그 혈통을 살펴보면 매실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고 자두나무 즉 Prunus salicina와 자엽꽃자두나무 즉 Prunus cerasifera 그리고..

1769 열녀목 – 자두나무에 통합된 원기둥 모양으로 자라는 변종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외래 재배식물로 열녀목이라고 수형이 좁고 높게 위로만 자라는 자두나무의 변종으로서 학명 Prunus salicina var. columnaris (Uyeki) Uyeki로 등록된 수종이 있다. 그렇다면 원산지가 다른 나라라는 것이 되는데 국립수목원 도감에는 열녀목의 분포지로 경기도와 충청도라고만 기록하고 있으며 별다른 외국 이름은 없다. 우리 자생종이 아니라면 자두나무의 원산지로 알려진 중국이거나 자두나무를 오래 전부터 중국에서 도입하여 재배하던 일본일 가능성이 높지만 이들 양국에서는 이런 유형의 변종 흔적을 찾을 수가 없다. 게다가 변종으로 명명한 이 학명을 국제적으로는 현재 인정하지 않고 원종인 자두나무의 학명 Prunus salicina에 통합시키고 있으므로 설혹 양국 중..

1768 자두나무 = 오얏 추리 고야 애추 자도(紫挑) 이(李)

자두나무는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오늘 현재도 자생종이라고 표기를 하고 있으나 국립수목원 도감에서는 1,500년전 경에 도입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도감에서도 대개 중국 원산 도입종이라고 말한다. 이웃 일본에서도 자두나무는 중국이 원산지로 고대에 일본으로 도입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자두나무가 1870년 일본에서 미국 캘리포니아로 건너갔기에 이를 Japanese plum이라고 부르는 서양에서도 중국이 원산지인 것으로 추정은 하지만 실제로 중국에서 자생지가 발견된 적은 없다고 한다. 따라서 중국에서도 자두나무가 자기들 고유식물이라고 내놓고 말하지는 않는다. 이점에 있어서는 서양자두나무와 비슷하다. 자연 상태에서 서식하는 자생지가 없으니 뭐를 표준을 삼을 수도 없다. 게다가 대부분의 과일나무들이..

1767 가시자두 '푸르푸레아'

가시자두 '푸르푸레아'라고 학명 Prunus spinosa 'Purpurea'로 등록된 원예품종이 있다. 국내 미등록종이지만 그 원종인 가시자두 즉 Prunus spinosa L.은 유럽과 서아시아가 원산지로서 앞에서 탐구한 서양자두나무의 부모 중 하나인 것으로 최근에 알려져 있다. 종소명 spinosa는 가시가 있다는 뜻이다. 이 수종의 줄기에 가시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영어 일반명도 blackthorn인데 앞에 블랙이 붙은 이유는 열매의 색상이 검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영어명 그대로 의역하여 흑자리(黑刺李)로 부르거나 그냥 가시자두라는 의미에서 자리(刺李)라고 부른다. 우리도 가시자두라고 불러 학명이나 영어명과 괘를 같이 한다. 키가 4~8m까지 자라는 소교목인 이 자두나무는 열매의 지름..

1766 자엽꽃자두 – 자엽이 아닌 녹색 잎에 백색 꽃이 피는 수종

우리나라에 자엽꽃자두라고 등록된 학명 Prunus cerasifera Ehrh.인 수종이 있다. Prunus속은 국내서는 벚나무속이라고 부르지만 실제로는 벚나무 외에도 자두나무와 살구나무 매실나무 복사나무 이스라지 및 아몬드 그리고 심지어는 귀룽나무까지도 포함하기 때문에 국명이 벚나무속이라고 벚나무의 일종이겠지 하거나 속명이 Plum에서 유래된 Prunus라고 자두나무의 일종이겠지 하고 단순하게 판단하면 안된다. 그럼 우리나라에 Prunus속으로 등록된 144종은 어떻게 구분한다는 말인가? 간단하고도 손쉽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는 것이 정답이다. 그저 그 뒤에 붙는 종소명에 따라서 구분할 수밖에는 없다. 그렇다고 종소명에 특별한 단서가 있는 것도 아니다. 일일이 기억해야만 한다. 이 자엽꽃자두의 ..

1765 댐슨자두 – 작고 시고 떫은 맛이 강한 서양자두의 아종

댐슨자두라고 서양자두나무의 아종으로 학명 Prunus domestica L. subsp. insititia (L.) C.K.Schneid.로 등록된 수종이 있다. 이 아종은 원래 린네가 1755년 하나의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여 학명 Prunus insititia L.을 부여하였던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insititia은 영어로 established 즉 ‘설립하다’이거나 ‘설정하다’라는 뜻인데 이게 왜 붙었을까 하고 많은 사람들을 궁금하게 했다. 그래서 알고 보니 라틴어 insititia에는 grafted 즉 ‘접목하다’라는 뜻도 있다. 그래서 린네는 이 수종은 서양자두나무와는 달리 종자번식이 불가능하여 접목에 의하여 번식해야만 하는 것으로 알았던 것 같다. 그런데 실제로 접목에 의한 번식도 많이 하지만..

1764 서양자두나무 – 벚나무(Prunus)속의 모식종

우리나라에 서양자두나무라고 학명 Prunus domestica L.로 등록된 외래종이 있는데 이 수종이 바로 장미과 중에서는 가장 많은 144종이 등록된 벚나무속의 모식종이다. 모식종(模式種)이란 영어로는 type species라고 하며 속(屬)을 정의할 수 있는 종(種) 즉 쉽게 말하여 속의 기준이 되는 종을 말한다. 모식종과 비슷하면 같은 속이고 아니면 다른 속이라는 뜻이 된다. 현재 이 벚나무속에는 자두나무와 벚나무 외에도 살구나무 매실나무 복사나무 아몬드 앵도나무 이스라지 및 귀룽나무 등 매우 다양한 수종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서양에서도 처음에는 여러 속으로 분류하였다가 린네에 의하여 아몬드속과 자두나무속 둘로 줄었다가 후세 학자들에 의하여 결국 자두나무속 하나로 통합된 것이다. 그런 속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