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서양자두나무라고 학명 Prunus domestica L.로 등록된 외래종이 있는데 이 수종이 바로 장미과 중에서는 가장 많은 144종이 등록된 벚나무속의 모식종이다. 모식종(模式種)이란 영어로는 type species라고 하며 속(屬)을 정의할 수 있는 종(種) 즉 쉽게 말하여 속의 기준이 되는 종을 말한다. 모식종과 비슷하면 같은 속이고 아니면 다른 속이라는 뜻이 된다. 현재 이 벚나무속에는 자두나무와 벚나무 외에도 살구나무 매실나무 복사나무 아몬드 앵도나무 이스라지 및 귀룽나무 등 매우 다양한 수종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서양에서도 처음에는 여러 속으로 분류하였다가 린네에 의하여 아몬드속과 자두나무속 둘로 줄었다가 후세 학자들에 의하여 결국 자두나무속 하나로 통합된 것이다. 그런 속의 모식종이 이 자두나무라니 동양에서도 자두가 자생하지만 선뜻 수긍하기 어렵다. 그래서 우리나라서는 이 Prunus속명이 자두를 뜻하는 Plum에서 유래된 것임을 뻔히 알면서도 벚나무속이라고 국명을 붙이고 있는 것이다. 우리와 달리 아직 이른바 행앵도리(杏櫻桃李)로 불리는 수종들과 귀룽나무와 풀또기, 옥매 등 이 모든 종들을 하나로 통합하지 않은 중국과 일본에서는 나중에 통합한다면 어떤 속명을 붙일지 궁금하지만 일본의 경우도 사쿠라(桜)속 즉 벚나무속 외에는 달리 대안이 없을 것 같다. 여하튼 우리에게 봄꽃나무의 대명사로 굳어져 있는 벚나무는 물론 살구나무나 매실나무 또는 복사나무가 아닌 이 서양의 자두나무가 벚나무속의 모식종이라니 생뚱맞기는 하지만 식물분류학을 창설한 서양에서 정한 것을 우리는 그대로 따를 수밖에는 없다. 그래서 학명 Prunus domestica L.인 이 서양자두나무에 대하여 먼저 파악해 보는 것이다.
다른 과일 나무도 마찬가지이겠지만 서양자두나무도 열매의 크기나 색상 그리고 맛에 따른 매우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있어 하나로 정의하기 어렵다. 특히 1753년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 모식종으로 명명한 서양자두나무는 그 서식지가 발견되지 않아서 민가에서 재배하는 것을 표본으로 삼아서 명명한 것이므로 학명도 Prunus domestica라고 재배하는 종이라는 뜻의 종소명이 붙었다. 그 이후 그 기원(起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다가 최근의 유전자 감식으로 그 혈통이 유럽 원산의 또 다른 자두나무 두 종간의 교잡종이라는 잠정적인 결론에 도달하였는데 그 부모종이 우리나라에도 등록되어 있는 학명 Prunus cerasifera인 자엽꽃자두와 학명 Prunus spinosa인 가시자두라고 한다. 자엽꽃자두는 2배체이고 가시자두는 4배체인데 이들 둘의 교잡종은 3배체인 경우는 불임이 되고 6배체인 경우는 가임성으로 종자번식이 가능하다고 한다. 서양자두나무는 6배체로 염색체 수가 2n=48이라고 한다. 참고로 우리 자생종 자두나무의 염색체 수는 2n=16이다. 그래서 이 서양자두나무의 학명을 교잡종이라고 Prunus x domestica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그럼 북유럽 일부를 제외한 유럽 전역과 흑해 주변 일부 서아시아가 원산지인 가시자두와 남유럽과 서아시아가 원산지인 자엽꽃자두가 자연에서 교잡이 이루어져서 탄생하였다는 서양자두나무는 그동안 수많은 학자들에 의하여 많은 아변종이 발표되었으나 현재는 학자들에 따라서 2~3개 정도만 인정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수많은 재배품종들이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어 세계 전역의 농가에서 재배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라서 원종인 서양자두나무 외에도 댐슨자두라는 하나의 아종과 4개의 재배품종이 등록되어 있다. 원종이라는 이 서양자두나무 자체가 교잡 재배종이며 자연 상태에서의 자생지도 없으므로 그 형태가 애매하여 서양자두에서 파생된 아변종과 그 재배품종 모두를 망라하여 통칭하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편할 듯하다. 그래서 서양자두나무의 크기는 관목에서부터 심지어는 높이 15m인 교목까지 다양하며 줄기에 가시가 있는 경우도 있으며 없는 경우도 있고 꽃은 녹색을 띤 백색이지만 항상 겉에 남색분(藍色粉)으로 덮여 있는 열매 즉 자두의 색상은 홍색 자색 녹색 황색 등 매우 다양하다. 우리나라 토종 자두와의 차이점은 1~3송이가 모여서 피는 꽃의 사이즈가 지름 1~1.5cm로 작으며 열매도 지름 1~2.5cm로 대체적으로 작다. 그리고 잎 뒷면과 꽃받침의 안팎에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과육이 항상 핵에 붙어 있는 점핵(粘核)인 우리 토종 자두와는 달리 서양자두의 일부 품종은 과육과 핵이 쉽게 분리되는 이핵(離核)인 경우도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토종에 비하여 개화기와 수확기가 약 1개월 늦으며 겉으로 확인할 수는 없지만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염색체 수도 다르다고 한다.
등록명 : 서양자두나무
학 명 : Prunus domestica L., Prunus x domestica L
분 류 : 장미과 벚나무속 낙엽 소교목 교목
원산지 : 유럽 자생종들간 교잡종
영어명 : European plum
중국명 : 구주리(欧洲李) 서양리(西洋李) 양리(洋李)
일본명 : セイヨウスモモ(西洋李, 西洋酸桃)
수 고 : 4.5~6m
꽃색상 : 녹색을 띤 백색
열 매 : 홍색 자색 녹색 황색 등 다양
내한성 : 영하 29도
용 도 : 과수용, 관상수
'장미과 벗나무속 > 자두아속자두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69 열녀목 – 자두나무에 통합된 원기둥 모양으로 자라는 변종 (0) | 2022.04.30 |
---|---|
1768 자두나무 = 오얏 추리 고야 애추 자도(紫挑) 이(李) (1) | 2022.04.25 |
1767 가시자두 '푸르푸레아' (0) | 2022.04.22 |
1766 자엽꽃자두 – 자엽이 아닌 녹색 잎에 백색 꽃이 피는 수종 (0) | 2022.04.21 |
1765 댐슨자두 – 작고 시고 떫은 맛이 강한 서양자두의 아종 (0) | 2022.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