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벗나무속/자두아속자두조

1765 댐슨자두 – 작고 시고 떫은 맛이 강한 서양자두의 아종

낙은재 2022. 4. 20. 10:07

댐슨자두
댐슨자두

 

댐슨자두라고 서양자두나무의 아종으로 학명 Prunus domestica L. subsp. insititia (L.) C.K.Schneid.로 등록된 수종이 있다. 이 아종은 원래 린네가 1755년 하나의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여 학명 Prunus insititia L.을 부여하였던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insititia은 영어로 established 즉 ‘설립하다’이거나 ‘설정하다’라는 뜻인데 이게 왜 붙었을까 하고 많은 사람들을 궁금하게 했다. 그래서 알고 보니 라틴어 insititia에는 grafted 즉 ‘접목하다’라는 뜻도 있다. 그래서 린네는 이 수종은 서양자두나무와는 달리 종자번식이 불가능하여 접목에 의하여 번식해야만 하는 것으로 알았던 것 같다. 그런데 실제로 접목에 의한 번식도 많이 하지만 일부 품종은 자가수분도 되고 종자번식도 가능하다고 한다. 오히려 내한성도 강하고 생명력도 강하여 최근에는 서양자두나무 품종들의 접목을 위한 대목으로 많이 활용된다고 한다. 여하튼 린네가 독립된 종으로 명명하였으나 나중인 1898년 서양자두나무의 변종으로 편입되었다가 1906년 독일 식물학자 겸 조경사인 Camillo Karl Schneider (1876~1951)에 의하여 서양자두나무의 아종으로 명명되었는데 이 학명이 우리나라에 등록되어 있다.

 

서양자두에 비하여 작고 타원형인 열매는 시면서도 떫은 맛이 나 생으로 먹기보다는 잼이나 통조림용으로 많이 소비한다고 한다. 이 수종을 영어권에서는 일반적으로 댐슨(Damson) 자두(plum)라고 부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그렇게 등록한 것이다. 댐슨은 영국에서 발견된 서양자두나무의 아종으로 중세 영어로는 damascene라고 하다가 지금의 damson으로 변형된 것으로 원 뜻은 시리아의 수도인 마다스커스에서 온 자두라고 한다. 댐슨자두도 결국 서양자두나무의 아종이므로 유럽 전역과 흑해 주변 일부 서아시아가 원산지인 가시자두와 남유럽과 서아시아가 원산지인 자엽꽃자두가 자연에서 교잡이 이루어져서 탄생하였으므로 서아시아 다마스커스와 관련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당도가 높지만 시큼털털한 맛이 강하며 황녹색 육질에 그다지 납작하지 않은 열매의 색상은 암청색이거나 인디안 블루색이라고 한다. 대부분 과육과 핵이 잘 떨어지지 않는 점핵과(粘核果)이므로 말린 자두 즉 프룬으로 가공하기는 쉽지 않으며 핵에는 깊은 주름이 있는 점에서 원종인 서양자두나무와 구분이 된다고 한다. 

 

2번이 댐슨자두 핵이다.
2번이 댐슨자두인데 열매가 매우 작고 흑청색에 가깝다.

 

 

이 댐슨 아종은 생애 최초 개화 시기가 늦어서 서양에는 이런 오래된 노래가 있다고 한다.

"He who plants plums Plants for his sons.

He who plants damsons Plants for his grandsons."

“자두를 심는 사람은 아들대를 위하여 심는 것이고

댐슨을 심는 사람은 손자대를 위하여 심는 것이다.”

 

그런데 위 노래는 마치 동양에서 은행나무가 나이가 한참 들어야 결실을 하기 때문에 공손수(公孫樹)라고 부르는 것과 흡사하여 매우 흥미롭다. 공손수(公孫樹)라는 말은 중국 명나라 때 주문화(周文华)라는 사람이 여남포사(汝南圃史)에서 “공종이손득식(公种而孙得食)” 즉 “할아버지가 심으면 손자 때에 가서나 열매를 따 먹는다.” 라는 뜻으로 기록하여 은행나무의 별명이 되어 우리나라에서도 더러 쓰는 말이다. 실제로 은행나무는 20년이 지나야 결실을 하며 30년이 지나서야 제대로 풍성한 수확을 할 수 있다고 한다. 과연 이 댐슨자두도 그 정도 오랜 세월이 필요한 것인지는 모르겠다.

 

여하튼 과일이 흔하지 않은 유럽에서는 이 조그마하고 생으로는 먹지도 못하는 우리나라이라면 과일 축에도 들지 못하여 그냥 개자두라고 불릴 만한 이 자두가 뭐 그리 대단한 과일나무라고 처음에는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였다가 나중에는 서양자두나무의 변종이나 아종으로 분류하는 등 수많은 학명을 발표하는 법석(?)을 떨면서 그 과정에서 비슷한 특성을 가진 불리스(Bullaces)로 불리는 또 다른 자두와도 그 뿌리가 같으니 다르니 하고 요란스럽게 언급을 하고 있다. 하지만 서양자두나무 자체가 원래 순수한 종이 아니고 교잡 재배종이라는데 그 변종이던 아종이던 뭐 별다른 것이 있겠는가? 게다가 댐슨자두도 여러 재배종으로 나눠져 있어 서양자두나무와 뚜렷하게 구분할 방법도 모호하여 아종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그냥 서양자두나무에 통합하는 학자들이 특히 북미 쪽에 많다고 한다.

 

등록명 : 댐슨자두

학   명 : Prunus domestica L. subsp. insititia (L.) C.K.Schneid.

분   류 : 장미과 벚나무속 낙엽 소교목

원산지 : 영국에서 발견된 서양자두나무의 아종

영어명 : damson plum, damascene

중국명 : 오형자리(乌荆子李)

수   고 : 3~6m

개화기 : 4월 초

결실기 : 8~10월

내한성 : 영하 29도

용   도 : 식용 – 잼 통조림, 대목

 

댐슨자두
댐슨자두
댐슨자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