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장미과 기타 5

2059 수엔더맨담자리꽃나무

수엔더맨담자리꽃나무라고 학명 Dryas × suendermannii Kellerer ex Sünd.로 등록된 잡종이 있는데 이는 오스트리아 식물학자인 Johann Kellerer (1859~938)가 명명한 것을 독일의 식물학자이자 고산식물 원예가인 Franz Sündermann (1864~1946)이 1925년 발표한 것이다. 이 교잡종은 Franz Sündermann이 참담자리꽃나무와 드러먼드담자리꽃나무를 인위적으로 교잡시켜서 육종한 품종이라서 그의 이름으로 명명되었으며 그가 1886년에 설립한 독일 Lindau에 있는 Botanical Alpine Garden에서 보급시킨 것이다.  등록명 : 수엔더맨담자리꽃나무학   명 : Dryas × suendermannii Kellerer ex Sünd.분 ..

2058 드러먼드담자리꽃나무 - 노란 꽃이 피는 북미 원산

드러먼드담자리꽃나무의 학명 Dryas drummondii Richardson ex Hook.는 스코틀랜드의 의사이자 탐험가이며 식물학자인 John Richardson (1787~1865)이 명명한 것을 영국의 유명한 식물학자이자 왕실 정원인 큐(Kew)의 최초 책임자였던 William Jackson Hooker (1785~1865)가 1830년에 발표한 것이다. 리차드슨은 1819년 영국 왕실의 해군 장교이자 북극탐험대장이었던 John Franklin의 제 2차 Coppermine 원정대의 식물조사 담당자로 참여하던 중에 캐나다에서 이 수종을 발견하고 그의 조수로 함께 참여하였던 스코틀랜드 식물채집가인 Thomas Drummond (1793~1835)의 이름으로 명명한 것이다. 이 수종은 모식종인 참담자..

2057 참담자리꽃나무

참담자리꽃나무는 그린란드와 유럽 그리고 아시아가 원산지인 키가 10cm 내외로 낮게 지면에 깔려서 자라는 상록 반관목으로서 우리 자생종 담자리꽃나무의 원종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그래서 참담자리꽃나무라는 이름을 붙인 것으로 보이지만 우리 자생종은 아니다. 학명 Dryas octopetala L.는 1753년 린네가 명명한 것으로 속명 Dryas는 그리스 신화 속 나무의 요정 Dryad에서 온 것이며 종소명 octopetala는 꽃잎이 8장이라는 그리스어에서 온 말이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이를 선녀목(仙女木)이라고 부른다. 우리 자생종 담자리꽃나무에 비하여 잎이 길쭉하고 잎 측맥의 수가 5~7쌍으로 적고 꽃의 지름이 3.5cm에 달하여 더 크다는 차이점이 있다. 담자리꽃나무의 모식종인 이 수종을 서양에서는 ..

2056 담자리꽃나무

식물분류학에서 현재 대략 110개 속 8,138종으로 구성된 장미과(科, Family)는 장미아과와 아몬드아과 그리고 담자리꽃나무아과로 3분 할 수 있다. 같은 아과(亞科, subfamily)라고는 하지만 전체의 76.7%의 종(種)이 장미아과에 속하고 나머지 22.9%의 종이 아몬드아과에 속하므로 담자리꽃나무아과의 종은 겨우 0.4%에 지나지 않으며 구성하는 속(屬)도 겨우 4개에 불과하다. 게다가 이들 4개 속을 하나의 아과로 분류하기를 주저하여 장미아과에 포함시키는 학자들도 있다. 여하튼 지하 뿌리에 질소를 고정하는 박테리아로 구성된 혹이 있다는 특징을 가진 담자리꽃나무아과 4개 속 중에서 우리나라에는 담자리꽃나무속 4개 종만 등록되어 있다. 그리고 이 4종 중에서 담자리꽃나무 한 종은 평안도와 함..

1762 장미과 – 가장 아름다운 꽃나무와 가장 중요한 과일나무로 가득 찬 집안(family)

장미과는 식물분류학적으로는 진핵식물역(Eukarya) 식물계(Kingdom) 관다발식물문(Phylum)에서 쌍떡잎식물강 즉 목련강(Class)으로 분류되는데 지상의 모든 식물의 거의 70%가 쌍떡잎식물이므로 목련강에 해당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식물은 실질적으로 여기 목련강(木蓮綱)에서부터 분류된다고 보면 된다. 따라서 목련강은 무려 53개에 달하는 목(目) 즉 order로 세분되는데 그 중에서 장미과는 장미목으로 분류된다. 장미목에는 장미과 외에도 갈매나무과와 보리수나무과 뽕나무과 삼(대마)과 쐐기풀과 느릅나무과 등 모두 9개 과로 구성되어 있다. 글쎄 이들이 과연 어떤 공통된 특징이 있기에 장미목으로 분류되는지 한 마디로 설명하기는 매우 어렵고 그런 정의가 있는 것 같지도 않다. 하여튼 장미목(薔薇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