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장미과 기타

1762 장미과 – 가장 아름다운 꽃나무와 가장 중요한 과일나무로 가득 찬 집안(family)

낙은재 2022. 4. 9. 11:14

장미

 

장미과는 식물분류학적으로는 진핵식물역(Eukarya) 식물계(Kingdom) 관다발식물문(Phylum)에서 쌍떡잎식물강 즉 목련강(Class)으로 분류되는데 지상의 모든 식물의 거의 70%가 쌍떡잎식물이므로 목련강에 해당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식물은 실질적으로 여기 목련강(木蓮綱)에서부터 분류된다고 보면 된다. 따라서 목련강은 무려 53개에 달하는 목(目) 즉 order로 세분되는데 그 중에서 장미과는 장미목으로 분류된다. 장미목에는 장미과 외에도 갈매나무과와 보리수나무과 뽕나무과 삼(대마)과 쐐기풀과 느릅나무과 등 모두 9개 과로 구성되어 있다. 글쎄 이들이 과연 어떤 공통된 특징이 있기에 장미목으로 분류되는지 한 마디로 설명하기는 매우 어렵고 그런 정의가 있는 것 같지도 않다. 하여튼 장미목(薔薇目) 10,800여 종의 식물 중에서 절대 다수인 6,000여 종으로 구성된 장미과(薔薇科)는 모두 가시가 있고 아름다운 꽃이 피는 장미들로만 구성된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실제로 장미는 320여 종에 불과하다.

 

장미속을 제외한 장미과를 구성하는 나머지 대부분인 약 5,680종의 식물은 장미와는 전혀 동떨어진 느낌을 주는 양지꽃이나 뱀무 눈개승마 짚신나물 오이풀 터리풀 (식용)딸기 등 다년생 초본이거나 배나무와 모과나무 또는 사과나무나 복사나무 자두나무 매실나무 살구나무 앵도나무 아몬드 비파나무 아로니아 채진목(준베리) 양벚나무(체리) 산사나무 산딸기 마가목 등 대표적인 식용 유실수들로 가득차 있다. 그 외에도 가침박달이나 황매화 홍가시나무 다정큼나무 쉬땅나무 조팝나무 국수나무 등 꽃나무들도 많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장미나 주요 유실수들만큼이나 매우 중요한 수종인 벚나무가 장미과에 속한다는 것이다. 그럼 결국 장미과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다는 꽃나무인 장미와 벚나무가 속하며 우리가 식용하는 대부분의 과일 중 감 대추 밤 포도 호두를 제외한 거의 모든 유실수들이 포함되는 우리 인간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과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장미과로 분류되는 식물들 또한 한 마디로 정의하거나 설명하기 어렵다. 초본에서 관목 또는 교목에 이르기까지 크기도 다양하고 대다수 낙엽성이지만 상록인 경우도 있으며 줄기에 가시가 있는 경우도 있지만 없는 경우도 많으며 대부분 양성화이지만 때로는 단성화도 있는 꽃의 모양도 화탁이 발달하기는 하지만 그 모양이 접시형 종형 잔형 항아리형 또는 원통형으로 다양하고 열매도 골돌과(蓇葖果) 수과(瘦果) 이과(梨果) 핵과(核果) 또는 삭과(蒴果)로 다양하다. 다만 동아(冬芽)가 여러 개의 인편(鱗片)에 싸여 있다는 점과 대개 꽃받침과 꽃잎이 4~5개로 동일한 숫자라는 점과 복와상(覆瓦狀)으로 배열한다는 점 등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복사나무와 배나무
벚나무

 

이제까지 앞에서 장미속에 대하여는 탐구를 마쳤지만 이렇게 중요한 과(科)임에도 불구하고 나머지 수종들에 대하여는 등한시 하였던 이유는 글쎄 그 분류가 매우 어렵고 복잡하기 때문이다. 이는 아직 국제적으로 식물학자들간에 제대로 통일된 분류 방법이 없는데 기인한다. 예를 들면 벚나무의 경우 일본과 중국에서는 cerasus속으로 표기하지만 우리는 prunus속으로 표기하는 등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그 외에도 내부적으로 아과(亞科)나 족(族)으로 세분류하는 방법에서도 많은 차이를 보인다. 우리나라는 2022년 4월 현재 원예종을 포함 모두 675종이 장미과로 등록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대략 목본이 37속에 540종이고 초본이 16속에 135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여기서 눈여겨볼 속은 바로 우리가 벚나무속이라고 부르지만 중국과 일본에서는 자두속이라고 부르는 prunus속이다. 우리는 서양을 따라서 자두나무 외에도 벚나무와 귀룽나무에다가 살구나무 복사나무 앵두나무에 아몬드까지 모두 하나의 prunus속에 통합하여 분류하지만 중국과 일본에서는 이들을 벚나무속 자두나무속 살구나무속 복사나무속 앵두나무속 귀룽나무속 등으로 세분하여 알게 쉽게 분류한다. 하지만 요즘 대세인 유전자 분석을 앞세운 서양의 논리에 동양이 밀려서 중국에서는 일부 따라가고 있지만 이들이 주로 동양에서 전통적으로 재배하던 중요한 과일나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런 과일을 제대로 맛보지도 못했던 서양을 반드시 쫓아갈 필요가 있나 싶기는 하다.

 

서양에서도 장미과는 이질감이 큰 식물들이 섞여서 구성하고 있으므로 이를 3개의 아과로 구분하여 분류한다. 그 하나가 장미속과 산딸기속 그리고 물싸리속 등으로 구성된 장미아과이고 또 다른 작은 아과는 담자리꽃나무속 등으로 구성된 담자리꽃나무아과이며 나머지 벚나무속과 황매화속 그리고 사과나무속 국수나무속 조팝나무속 등은 모두 하나의 아몬드아과 즉 Amygdaloideae라고 하는데 일본에서는 이를 복사나무아과 또는 벚나무아과라고 부른다. 

 

원래는 이란 원산인 서양의 아몬드는 개복숭아를 많이 닮았다. 그래서 복사나무아과라고 부른다.

 

장미과 목본 아과 족별 분류표

아과(subfamily) (tribe)   속명(genus) 등록수
아몬드아과
Amygdaloideae
아몬드족 벚나무속 Prunus 144
가침박달족 가침박달속 Exochorda 7
오임레리아속 Oemleria 1
빈추나무속 Prinsepia 2
황매화족 황매화속 Kerria 5
네비우시아속 Neviusia 1
병아리꽃나무속 Rhodotypos 1
사과나무족 아로니아속 Aronia 7
명자나무속 Chaenomeles 4
섬개야광나무속 Cotoneaster 58
오스테오멜레스속 Osteomeles 1
홍가시나무속 Photinia 14
다정큼나무속 Rhaphiolepis 5
윤노리나무속 Pourthiaea 1
스트란배시아속 Stranvaesia 3
마가목속 Sorbus 30
채진목속 Amelanchier 13
팥배나무속 Alniaria 1
키도니아속 Cydonia 3
모과나무속 Pseudocydonia 1
배나무속 Pyrus 12
비파나무속 Eriobotrya 2
사과나무속 Malus 19
산사나무속 Crataegus 23
피라칸타속 Pyracantha 12
국수나무족 나도국수나무속 Neillia 6
산국수나무속 Physocarpus 5
쉬땅나무족 쉬땅나무속 Sorbaria 5
조팝나무족 금강인가목속 Pentactina 1
페트로피툼속 Petrophytum 1
조팝나무속 Spiraea 40
홀로디스쿠스속 Holodiscus 1
담자리꽃나무아과 담자리꽃나무족 담자리꽃나무속 Dryas 4
장미아과 양지꽃족 검은낭아초속 Comarum 1
물싸리속 Dasiphora 3
산딸기족 산딸기속 Rubus 39
장미족 장미속 Rosa 64
        540

 

다음은 장미과 초본의 분류표이다. 

아과(subfamily) (tribe)   속명(genus) 등록수
아몬드아과 길레니아족 길레니아속 Gillenia 1
조팝나무족 켈세이아속 Kelseya 1
눈개승마속 Aruncus 4
장미아과 콜루리아족 뱀무속 Geum 11
나도양지꽃속 Waldsteinia 1
양지꽃족 알케밀라속 Alchemilla 7
좀낭아초속 Chamaerhodos 1
너도양지꽃속 Sibbaldia 1
물싸리풀속 Sibbaldianthe 1
딸기속 Fragaria 8
눈양지꽃속 Argentina 1
양지꽃속 Potentilla 64
오이풀족 짚신나물속 Agrimonia 5
오이풀속 Sanguisorba 10
아캐나속 Acaena 5
터리풀족 터리풀속 Filipendula 14
        135

 

그리고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목본 아몬드아과 아몬드족 벚나무속은 하나의 속에 불과하지만 자두나무와 벚나무 살구나무 복사나무 귀룽나무 등 매우 다양한 수종들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다시 아속과 조(section)으로 다시 세분하기도 한다.

 

아속(subgenus) (section)    
벚나무아속
Subgenus Cerasus
  제주왕벚나무 Prunus × nudiflora (Koehne) Koidz.
  슈미트벚나무 Prunus × schmittii Rehder
  왕벚나무 Prunus × yedoensis Matsum.
  양벚나무 Prunus avium L.
  대만벚나무 Prunus campanulata
  신양벚나무 Prunus cerasus L.
  후지벚나무 Prunus incisa
  오시마벚나무 Prunus lannesiana
  개벚지나무 Prunus maackii Rupr.
  산개벚지나무 Prunus maximowiczii Rupr.
  쿠릴일본고산벚나무 Prunus nipponica var. kurilensis
  사옥 Prunus quelpaertensis Nakai
  히말라야벚나무 Prunus rufa Steud.
  산벚나무 Prunus sargentii Rehder
  티베트벚나무 Prunus serrula Franch.
  야산벚나무 Prunus serrulata Lindl.
  왜벚나무 Prunus speciosa (Koidz.) Nakai
  춘추벚나무 Prunus subhirtella
  섬벚나무 Prunus takesimensis Nakai
  별벗꽃나무 Prunus linearipetalus Y.N.Lee
  수양올벚나무 Prunus pendula
  올벚나무 Prunus spachiana f. ascendens (Makino) Kitam.
귀룽나무아속
Subgenus Padus
  섬개벚나무 Prunus buergeriana Miq.
  캐롤라이나귀룽나무 Prunus caroliniana (Mill.) Aiton
  일본귀룽나무 Prunus grayana Maxim.
  월계귀룽나무 Prunus laurocerasus L.
  포르투칼월계귀룽나무 Prunus lusitanica
  귀룽나무 Prunus padus L.
  세로티나벚나무 Prunus serotina Ehrh.
  버지니아귀룽나무 Prunus virginiana
자두나무아속
Subgenus Prunus
아몬드조 아몬드 Prunus dulcis (Mill.) D.A.Webb
살구나무조
sect. Armeniaca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L.
개살구나무 Prunus mandshurica (Maxim.) Koehne
매실나무 Prunus mume (Siebold) Siebold & Zucc.
시베리아살구 Prunus sibirica L.
왜성아몬드조 러시아아몬드 Prunus tenella
풀또기조 풀또기 Prunus triloba Lindl. var. truncata Kom.
왜성벚나무조
sect. Microcerasus
산옥매 Prunus glandulosa Thunb.
칼슘나무 Prunus humilis Bunge
산이스라지 Prunus japonica Thunb.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Thunb.
복사나무조
sect. Persica
산복사나무 Prunus davidiana (Carrière) Franch.
복사나무 Prunus persica (L.) Batsch
자두벚나무조
sect. Prunocerasus
아메리카자두 Prunus americana Marshall
해안자두나무 Prunus maritima Wangenh.
자두나무조
sect. Prunus
자엽꽃자두 Prunus cerasifera Ehrh.
서양자두나무 Prunus domestica L.
자두나무 Prunus salicina Lindl.
가시자두 Prunus spinosa
  복사앵도나무 Prunus choreiana Nakai ex H.T.Im

 

 

그럼 앞으로 과거 2017년 탐구를 마친 장미속을 제외한 나머지 장미과 목본들에 대하여 탐구하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