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 수수꽃다리와 라일락 그리고 개회나무, 털개회나무, 꽃개회나무의 구분법 이제 수수꽃다리속을 마치면서 우리 자생종들 서로간의 차이점과 서양에서 온 라일락과의 구분 방법을 알아본다. 원래는 아래와 같이 무려 15종의 자생종이 등록되어 있으나 유사종으로 통합된 것을 정리하면 크게 4종으로 분류가 된다. 이 중에서 원종은 들정향나무 단 한 종에 불과하고..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27
315 수수꽃다리속 다양한 교잡종들 이 수수꽃다리속에는 전세계에 단 12종만 분포한다고 하지만 이들 상호간에 수많은 교잡이 이뤄져 많은 교잡종들이 탄생한데다가 기존 각 원종들의 원예종들도 많이 개발되어 있어 이들이 함께 시장에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정말 복잡하기 짝이 없다. 그들을 표시된 이름이나 학명을 들..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27
314 수수꽃다리속 외래종 - 토멘텔라라일락, 코마로프라일락, 윤나넨시스라일락 등 이제 수수꽃다리속 우리 자생종들은 모두 탐구를 마쳤다. 우리 자생종들이 무려 15개나 등록되어 있어 매우 복잡하게 보였으나 실상을 파고들어 유사종들을 통합하고 나니 결국 겨우 4종에 불과하므로 이제는 쉽게 구분을 할 수 있겠다. 여기에 대하여는 다음 글에서 자세한 구분법을 알..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27
313 꽃개회나무, 털꽃개회나무를 통합한 정생화서 꽃개회나무 원래 꽃잎 열편이 이 정도에서 멈추고 더 이상 벌이지지 않는 특성이 있다. 꽃개회나무 가지 끝에서 자색의 꽃대가 매우 길게 나오므로 아름답다고 꽃개회나무 또는 꽃정향나무라고 불렀다. 수수꽃다리속 우리나라 자생종으로는 마지막으로 꽃개회나무를 알아본다. 우리나..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27
312 빌로사 라일락 - 중국 홍정향(红丁香), 꽃개회나무의 원종 빌로사라일락 = 중국 홍정향 신년지 끝에서 꽃이 나오는 정생화서이다. 빌로사라일락 = 중국 홍정향 꽃개회나무는 학명이 syringa wolfii인데 원산지 중국에서는 요동정향(辽东丁香)이라며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우리 또한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국제적으로는 독..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26
311 메이어리 라일락 '팔리빈' - 국내서 미스김라일락으로 유통되는 또 다른 왜성종 메이어리 라일락 '팔리빈' 미국사람 메이어가 북경에서 발견하여 러시아사람 팔리빈의 이름을 함께 붙인 왜성 라일락 미스김라일락보다 더 작다. 이번에는 중국 교령화의 또 다른 왜성 원예종인 메이어리 라일락 '팔리빈'을 알아보자. 이 종은 그 이름은 생소하기만 하지만 국내서 실물..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25
310 미스김라일락, 국내서는 보기 드문 우리 털개회나무의 원예종 미스김라일락 털개회나무의 원종인 중국의 교령화 즉 우리나라 등록명 푸베스켄스 라일락(Syringa pubescens)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왜성 라일락이 두 종이 있다. 그 하나는 우리나라의 웬만한 사람들은 모두 다 그 이름을 알고 있는 미스김라일락이고 또 다른 하나는 그 이름이 생소한 메이..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24
309 털개회나무 (정향나무, 흰정향나무, 섬개회나무, 흰섬개회나무, 둥근정향나무) 털개회나무 이름과는 달리 개회나무 보다는 수수꽃다리와 비슷한 모습이지만 꽃이나 꽃차례가 작고 잎 사이즈가 작으며 잎이 편평하지 않고 비틀려 있다. 그리고 뒷면에 부드러운 털이 밀생한다. 잎 외에도 어린 가지와 화서축 꽃받침 꽃자루 등에 털이 많다. 비록 독립된 원종은 아니지..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23
308 중국 교령화(巧玲花) - 푸베스켄스 라일락 푸베스켄스라일락 중국명 : 교령화(巧玲花), 소엽정향(小葉丁香), 모정향(毛丁香) 이번에는 구체적으로 중국 교령화인 Syringa pubescens에 대하여 알아본다. 우리나라에는 자생하지 않지만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털개회나무와 정향나무 등 그 유사종들의 원종이기 때문에 그냥 넘어 갈 수가 ..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22
307 푸베스켄스 라일락(Syringa pubescens) - 털개회나무의 원종인 중국 교령화의 해부 푸베스켄스 라일락(교령화) 이 수종은 다시 세 개의 아종이 세분된다. 그 중 아종 중 하나가 바로 우리나라 털개회나무이다. 털개회나무 중국에서는 이 나무를 관동교령화라고 부른다. 이번에는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자생하는 Syringa pubescens라는 종을 파헤쳐 본다. 이 종은 중국에서만 자..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