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5 북경라일락, 개회나무와 차이점 북경라일락 수수꽃다리속(Stringa)의 대부분은 라일락과 같이 꽃의 부리가 긴 관모양을 하고 있지만 그렇지 않은 종들이 있다. 그런 수종을 단화관관조(短花冠管组)라고 하는데 여기에 들정향나무 즉 reticulata가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 아종인 우리의 개회나무와 중국의 북경정향이 단화..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20
304 개회나무 - 중부지방 최고의 정원수 중 하나 개회나무 개회나무 이번에는 들정향나무의 변종인 개회나무를 알아본다. 학명 Syringa reticulata로 표기되는 들정향나무에는 두 개의 아종이 있다. 그 하나가 바로 학명 Syringa reticulata subsp. amurensis로 표기되는 개회나무인데 아종소명 amurensis는 중소 접경인 아무르지역을 뜻한다. 또 다른 하..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20
303 들정향나무 - 개회나무의 원종 들정향나무 꽃부리관이 짧고 수술이 돌출하고 있어 라일락이나 수수꽃다리와는 확실하게 차이를 보인다. 무려 55개의 수종이 난마처럼 얽혀서 등록되어 있는 수수꽃다리속이 혼란스러운 것은 우리나라의 등록명이 일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어느 나라던 식물의 이름은 현재 중국과 같이 ..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19
302 우리 자생종 수수꽃다리 그리고 라일락과 차이점 수수꽃다리 라일락에 비하여 전혀 손색이 없게 아름답다. 수수꽃다리속을 탐구하다가 보니 수백 년 또는 수천 년부터 이땅에서 자라왔던 십여 종의 우리 자생종 나무들이 서양에서 온 라일락 단 한 종에 묻혀 수수꽃다리속 전체가 마치 서양식물인 양 우리 국민들이 인식하고 있어 무척 ..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18
301 서양수수꽃다리(라일락) 원예종들 16세기에 오스만제국에서 북유럽으로 건너간 라일락은 19세기 말에 벌써 150여 종이나 되는 원예종이 개발, 보급되어 있었다고 하는데 그 중 우리나라에 등록된 품종과 그 외 몇개 품종들을 구경하고 간다. 라일락은 품종에 상관없이 거의 모두 중부지방 노지월동에 문제가 없다. 오히려 ..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16
300 라일락 = 서양수수꽃다리, Syringa(라일락속)의 모식종 서양수수꽃다리 = 라일락 정원에서 해거리를 하는 경우가 많다. 즉 한 해 많이 피면 다음 해 좀 뜸하다. 서양수수꽃다리 = 라일락 흰서양수수꽃다리로 등록되었으나 서양수수꽃다리로 통합분류한다. 서양수수꽃다리 = 라일락 우리나라 물푸레나무과에는 모두 12개 속이 등록되어 있는데 .. 물푸레나무과/수수꽃다리속 2017.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