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산사나무속 28

1947 황피산사나무 – 북미 원산 새빨간 열매가 특징

황피산사나무라고 학명 Crataegus horrida Medik.로 등록된 수종이 있는데 난감하다. 1793년 독일 식물학자인 Friedrich Kasimir Medikus(1738~1808)가 명명한 이 학명은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비합법명이라서 정보로서 가치가 없다. 그래서 정체가 불확실하므로 그냥 무시하고 넘어가면 된다. 하지만 황피산사나무라는 국명을 실마리로 추적을 해본다. 1971년 라트비아의 식물학자 Raimonds Cinovskis (1930~1998)가 명명한 Crataegus horrida var. chrysocarpa라는 학명이 있었는데 이 학명은 현재는 미국 식물학자인 William Willard Ashe (1872~1932)가 1900년에 명명한 학명 Crataegus chrys..

1946 푸른산사나무 '윈터 킹' - 겨울 열매가 아름다운 미국 원산

푸른산사나무 '윈터 킹'이라고 학명 Crataegus viridis 'Winter King'로 표기된 원예품종이 있다. 이 품종의 원종은 미국 남동부가 원산지로서 학명 Crataegus viridis L.은 1753년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 명명한 산사나무 11종 중 하나이다. 여기서 종소명 viridis는 영어로 green을 뜻한다. 이 수종의 수피가 다소 녹색을 띠기 때문이다. 키가 10m가 넘어 산사나무 수종으로서는 큰 편이지만 꽃과 열매가 풍성하게 달리지 않아서 그다지 인기가 없었으나 1955년 미국 인디아나주 빈센즈(Vincennes)에 있는 Simpson nursery에서 개발한 품종 '윈터 킹'이 등장하면서 판도가 바뀌었다. 이 품종은 꽃이 풍성하게 피며 열매도 풍성하게 열리며 크기..

1945 주걱산사나무 – 작은 잎과 열매가 특징인 미국 산사

주걱산사나무는 미국 동남부가 원산지인데 그 잎의 모양이 주걱 즉 spatula를 닮았다고 1803년 프랑스 식물학자인 André Michaux(1746~1802)이 학명을 붙일 때 그런 취지의 라틴어를 종소명으로 하여 Crataegus spathulata Michx.라고 했다. 따라서 우리 이름이 주걱산사나무라고 한다. 중국 이름도 주걱은 아니지만 숟갈을 닮았다고 시엽산사(匙叶山楂)라고 하여 비슷한 맥락이다. 사실 라틴어 spathulata를 spatula를 닮았다고 해석하면 좀 곤란하다. 서양의 주걱은 결코 끝이 둥글지 않고 편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물에서 사용된 이 spathulata는 주걱보다는 spathe를 닮았다고 해석하는 것이 옳다. 그런데 이 용어는 식물에서 꽃을 감싸고 있는 넓고 둥근 ..

1944 미국점산사나무 – 열매에 반점이 있는 북미 동부 원산

동양의 산사나무의 열매에는 대부분 반점이 있으며 특히 우리 자생종 산사나무 열매에는그 반점이 두드러진다. 하지만 미국 원산 산사나무들은 반점이 있는 경우가 드물다. 그래서 미국과 캐나다의 동부지역에서 자생하는 미국점산사나무는 이름 그대로 열매에 연한 백색 반점이 있어 특이하다고 이름을 그렇게 부른다. 네덜란드 태생으로 오스트리아에서 활동한 식물학자 Nikolaus Joseph Freiherr von Jacquin (1727~1817)가 1770년 명명한 학명이 Crataegus punctata Jacq.의 종소명 punctata는 spotted 또는 dotted with glands라는 뜻이다. 그래서 일반 영어명도 dotted hawthorn이라고 불린다. 그 외에도 일반적으로 white haw라고 불..

1943 워싱톤산사나무 – 북미 동부 원산 인기수종

워싱톤산사나무의 학명은 독일 의사이자 식물학자인 Friedrich Kasimir Medikus (1738~ 1808)가 1793년 명명한 Crataegus phaenopyrum (L.f.) Medik.이다. 이 학명은 당초 아들 린네가 1782년 서양모과속으로 분류하였던 학명 Mespilus phaenopyrum L.f.에 근거한다. 그런데 린네의 아들(1741~1783)은 아버지 린네(1707~1778)와 같은 이름인 Carl Linnaeus를 썼기 때문에 둘을 구분하기 위하여 이름 뒤에 아들이라는 라틴어를 붙여서 Linnaeus filius라고 한다. 영어로 한다면 Carl Linnaeus the Younger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초창기에는 학명 저자명을 L.fil.이라고 표기하다가 현재는 L.f..

1942 붉은산사나무 – 진홍색 열매가 아름다운 미국원산 인기수종

붉은산사나무라고 등록된 산사나무 외래 수종이 있는데 이를 붉은 꽃이 피는 즉 홍화산사로 생각하기 쉽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우리나라에는 하바드대학 아놀드수목원 초대 원장으로 1872년 임명되어 종신 근무한 Charles Sprague Sargent (1841~1927)가 1901년에 명명한 학명 Crataegus pedicellata Sarg.로 등록되어 있다. 하지만 이 수종은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인 1753년에 린네가 명명한 Crataegus coccinea L.와 같은 종임이 나중인 2003년에 와서 밝혀져 지금 현재는 후자를 정명으로 한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학명의 수정이 필요해 보인다. 여기서 린네가 명명한 당초 종소명 coccinea는 진홍색이라는 뜻의 영어 scarlet인데 이는 이 수..

1941 잔털산사나무 - 미국 동부 원산 미주리주 주화

잔털산사나무는 학명 Crataegus mollis (Torr. & A.Gray) Scheele로 표기한다. 이는 원래 미국 식물학자 John Torrey (1796~1873)와 Asa Gray(1810~1873)가 공동으로 붉은산사나무의 변종으로 1840년 Crataegus coccinea var. mollis Torr. & A. Gray라고 명명하였던 것을 독일 식물학자인 George Heinrich Adolf Scheele (1808~1864)가 독립된 종으로 승격시켜 재명명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mollis는 soft 즉 부드럽다는 뜻으로 잎이나 열매 그리고 꽃자루 꽃받침 등이 온통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그래서 영어 일반명도 downy hawthorn이라고 불리기에 우..

1940 부채산사나무 – 북미 북동부 원산

부채산사나무의 학명 Crataegus flabellata (Bosc ex Spach) K. Koch는 원래 프랑스 식물학자인 Louis Augustin Guillaume Bosc (1759~1828)이 1847년 서양모과속으로 명명한 학명 Mespilus flabellata Bosc를 독일 식물학자인 Karl Heinrich Emil Koch (1809~1879)이 1853년 산사나무속으로 편입하여 재명명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flabellata는 영어로는 Fan-shaped 즉 부채모양이라는 뜻으로 잎모양에서 온 것이다. 그래서 영어 일반명이 fanleaf hawthorn이고 이에 따라서 우리 이름도 부채산사나무가 된 것이다. 이 수종은 원래 수술이 5~10개이며 캐나다 퀘벡주가 원산지이다. 그런데..

1939 뿔산사나무 – 북미 동부 원산 인기수종

뿔산사나무라고 등록된 Crataegus crus-galli L.은 비록 유럽원산은 아니지만 원산지 북아메리카 동부에서 일찍이 1691년에 유럽으로 건너갔기에 린네가 1753년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에 이미 알려져 있었다. 그래서 린네가 산사나무속으로 최초 명명한 11종 중에 하나가 된 것이다. 이 수종은 키가 6~9m로 산사나무 중에서는 큰 편에 속한다, 그런데 이 수종이 큰 것은 키만이 아니다. 가시가 기본적으로 3~8cm 길이인데 나중에 점차 자라서 최대 15cm에 달하기도 하는 데다가 가지까지 치기도 한다. 그래서 서양인들은 이게 수탉의 며느리발톱과 같이 생겼다고 영어로 cockspur hawthorn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린네도 종소명을 crus-galli이라고 했는데 이게 닭(galli)의 다..

1938 미국산사 – 오히려 국내서 흔한 미국 원산 희귀종

서양산사라는 이름을 가진 수종은 유럽과 북아프리카 일부가 원산지인데 이를 정작 유럽에서는 영국산사라고 부르며 진짜 유럽에서 그냥 산사 즉 common hawthorn이라고 부르는 수종은 단자산사나무라는 또 다른 유럽 원산 수종이 있다는 것을 앞에서 알아본 바 있다. 이번에는 미국산사라는 이름을 가진 수종에 대하여 알아보자. 전세계 200종이 훌쩍 넘는 산사나무 수종들 중에서 우리나라에는 20종이 등록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거의 절반인 9종이 북아메리카 원산이다. 그도 그럴 것이 미국과 캐나다에 자생하는 산사나무 종류가 무려 169종이라는 조사 결과 발표도 있었을 정도로 북아메리카는 원래 산사나무의 주 원산지이다. 그래서 미국산사라고 불리는 이 수종이 미국을 대표하는 산사나무라고 누가 봐도 생각하기 쉽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