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산사나무속 28

1937 와트산사나무 - 남아시아 원산

와트산사나무의 학명 Crataegus wattiana Hemsl. & Lace는 영국 식물학자인 William Botting Hemsley (1843~1924)가 명명한 것을 또 다른 영국 식물학자인 John Henry Lace (1857~1918)가 1891 출판하여 발표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wattiana는 스코틀랜드 의사이자 식물학자인 George Watt(1851~1930)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와트가 오랫동안 인도에서 근무하면서 주변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에서 표본을 채집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부 학자들은 이 수종을 그 이전인 1855년에 발표된 학명 Crataegus chlorocarpa Lenné & K.Koch와 동일한 종으로 보고 그 유사학명으로 간주하여 이명처리하고 있다. 그..

1936 동방산사나무 – 정체불명으로 정리가 필요함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동방산사나무라고 학명 Crataegus laciniata Steven ex Besser로 등록된 수종이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 이 수종의 정체를 파악하기 어렵다. 아마 등록과정에서 어떤 실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12년이 넘었는데도 엉터리 이름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다. 그동안 아무도 관심있게 쳐다보지 않는다는 말이다. 우선 가늘게 갈라진 잎이라는 뜻을 가진 종소명 laciniata를 사용하여 명명한 학명은 여럿이 있다. 그 중에서 시칠리아 식물학자인 Bernardino da Ucria (1739~1796)이 1793년 명명한 Crataegus laciniata Ucria가 적명(嫡名)이 되고 나머지는 모두 서명(庶名)이 되어 비합법명이 된다. 그 비합법명 중 하나가..

1935 단자산사나무 '스트릭타' - 직립 산사나무

Crataegus monogyna 'Stricta'로 표기된 단자산사나무 '스트릭타'는 나무 수형이 위로만 곧장 자라는 품종이다. 품종명 Stricta는 라틴어로 영어로는 erect나 upright를 뜻한다. 이 외에도 이와 비슷하게 자라는 수형의 품종에는 ‘Fastigiata’나 ‘Pyramidalis’ 또는 'Columnaris'라는 품종명을 붙이며 심지어 최근에는 'Skyrocket'이라고도 하는데 그 뜻은 대동소이하게 좁게 위로만 자라는 수형을 말한다. 이 수종은 1825년경에 영국 런던 서부에 위치하는 브렌트퍼드에 있던 Ronald’s nursery에서 발견한 변종으로서 좁은 원추형으로 위로만 자라 마치 롬바디 포플러 즉 과거 우리나라 가로수로 많이 심었던 양버들과 같은 특성을 보였다고 기록하고..

1934 단자산사나무 '이네르미스 콤팍타'

단자산사나무 '이네르미스 콤팍타'라고 학명을 Crataegus monogyna 'Inermis Compacta'로 표기한 품종이 있다. 품종명 'Inermis Compacta는 가시가 없고(inermis) 왜성형(Compact)이라는 뜻이다. 품종명을 이렇게 라틴어로 표기한 이유는 당초에 이를 발견한 독일의 유명한 Späth’s nurseries에서 1907년 이를 단자산사나무의 변종으로 Crataegus monogyna var. inermis-compacta Späth라는 학명을 부여한 것이 나중에 품종으로 변경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름 그대로 키가 1.5m까지만 자라고 가지에 가시가 없다. 등록명 : 단자산사나무 '이네르미스 콤팍타' 학 명 : Crataegus monogyna 'Inermis Com..

1933 단자산사나무 - 유럽 대표적인 산사나무

단자산사나무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외래종이 있는데 그 학명은 Crataegus monogyna Jacq.로 표기된다. 이 수종은 유럽 거의 전역과 북아프리카 그리고 서아시아에 걸쳐 폭넓게 분포하기에 유럽에서는 그냥 산사나무 즉 common hawthorn이라고 통한다. 앞 1928번 게시글에서 다룬 서양산사나무 즉 Crataegus laevigata도 거의 유럽 전역과 북아프리카에서 분포하지만 그 수종은 English midland hawthorn 또는 English hawthorn이라고 부르는 것과 대비된다. 1753년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에는 이들 둘 다 하나의 학명인 Crataegus oxyacantha L.로 분류되었으며 그 당시부터 common hawthorn 또는 English haw..

1932 서양산사나무 ‘크림슨 클라우드’ – 홍색 홑꽃

Crataegus laevigata 'Crimson Cloud' 즉 서양산사나무 ‘크림슨 클라우드’는 1966년 미국 뉴저지주 Princeton nursery에서 Crataegus laevigata 'Charles X'라는 원예품종과 앞 게시글에서 다룬 서양산사나무 ‘폴 스카렛’ 품종을 교잡시켜서 개발한 품종이라고 한다. 선명하게 붉고 큰 홑꽃이 매우 풍성하게 피는 것이 특징이다. 나무 사이즈도 적당하고 가시가 없는 경우도 있어 국내서도 앞으로 인기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품종 또한 영국 왕립원예협회인 RHS로부터 최우수정원수라는 AGM으로 선정된 바 있어 세계적인 인기 품종이다. 이렇게 서양산사나무의 웬만한 원예품종들은 거의 모두 RHS의 우수 정원수로 선정되는 것은 이 서양산사나무가 원래 영국..

1931 서양산사나무 ‘폴 스카렛’ – 홍색 겹꽃

서양산사나무 ‘폴 스카렛’은 학명 Crataegus laevigata 'Paul’s Scarlet'로 표기하는데 이 또한 서양산사나무와 유럽에서 보통 산사나무로 불리는 단자산사나무의 교잡으로 탄생한 원예품종이라고 Crataegus x media 'Paul’s Scarlet'으로 학명표기 하기도 한다. 이 수종은 영국 런던 근교인 Waltham Cross에 있던 원예가이자 작가인 William Paul(1822~1905)가 1858년 이웃집 정원에서 앞 게시글에서 본 서양산사나무 ‘로제아 플로레 플레노’ 중에서 유난히 꽃색상이 선명한 홍색인 돌연변이를 발견하고 육종하여 1866년에 국제전시회에 발표하여 세상에 널리 알려진 품종이다. 최근인 2002에 영국 RHS로부터 최우수정원수라는 AGM상을 수상한 바 ..

1930 서양산사나무 ‘로제아 플로레 플레노’ = 분홍색 겹꽃 품종

서양산사나무 ‘로제아 플로레 플레노’는 1830년대에 등장한 자홍색 꽃이 피는 원예품으로서 영국 RHS로부터 최우수정원수 상인 AGM을 수상한 바 있는 인기 품종이다. 가시가 있고 열매도 맺힌다는데 결실 여부는 확인이 필요해 보인다. 이 품종 또한 서양산사나무와 단자산사나무의 교잡종이라고 다른 학명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명 칭 : 서양산사나무 ‘로제아 플로레 플레노’(미등록종) 이 명 : 분홍겹꽃서양산사나무 학 명 : Crataegus laevigata 'Rosea Flore Pleno' 이 명 : Crataegus x media ‘Punicea Flore Pleno’ 분 류 : 장미과 산사나무속 낙엽 관목 소교목 수 고 : 5~7m 꽃특징 : 자홍색 겹꽃 가 시 : 있음 열 매 : 적색 내한성 : 영하..

1929 서양산사나무 ‘플레나’ – 백화 겹꽃

국내 미등록종이지만 서양산나무의 원예품종 몇 종에 대하여 간략하게 파악하고 간다. 먼저 백색 겹꽃이 피는 품종으로서 1770년대에 처음 등장한 오래된 품종이다. 1911년 독일 베를린의 Späth-Arboretum에서 상품화하여 영국 RHS로부터 최우수정원수라는 AGM을 수상한 바 있는 아름다운 품종이다. 명 칭 : 서양산사나무 ‘플레나’(미등록종) 이 명 : 겹서양산사나무 학 명 : Crataegus laevigata 'Plena' 이 명 : Crataegus × media 'Plena' 분 류 : 장미과 산사나무속 낙엽 소교목 수 고 : 4m 특 징 : 종자번식 불가능, 작은 가시 있음 내한성 : 영하 29도

1928 서양산사나무 - 유럽 원산

서양산사나무라고 등록된 수종이 있다. 유럽과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이 산사나무의 학명은 당초 프랑스 성직자이자 식물학자이며 탐험가인 Jean Louis Marie Poiret (1775~1834)가 1798년 서양모과속으로 명명하였던 Mespilus laevigata Poir.를 1825년 스위스 식물학자인 Augustin Pyramus de Candolle(1778~1841)이 산사나무속으로 편입시켜서 재명명한 Crataegus laevigata (Poir.) DC로 표기되어 있다. 여기서 종소명 laevigata는 영어로 smooth라는 뜻으로 잎의 갈라짐이 깊고 날카롭지 않고 얕고 둔하기 때문이다. 이 수종이 영국에서만 자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잉글랜드가 주요 원산지 중 하나이므로 영어로는 Mid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