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산사나무속

1937 와트산사나무 - 남아시아 원산

낙은재 2024. 3. 11. 14:37

 

와트산사나무

 

 

와트산사나무의 학명 Crataegus wattiana Hemsl. & Lace는 영국 식물학자인 William Botting Hemsley (1843~1924)가 명명한 것을 또 다른 영국 식물학자인 John Henry Lace (1857~1918)가 1891 출판하여 발표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wattiana는 스코틀랜드 의사이자 식물학자인 George Watt(1851~1930)의 이름에서 온 것이다. 와트가 오랫동안 인도에서 근무하면서 주변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에서 표본을 채집하였기 때문이다.

 

1888년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에서 채집한 Crataegus wattiana의 표본
와트산사나무

 

 

 

그런데 일부 학자들은 이 수종을 그 이전인 1855년에 발표된 학명 Crataegus chlorocarpa Lenné & K.Koch와 동일한 종으로 보고 그 유사학명으로 간주하여 이명처리하고 있다. 그래서 이 수종을 영어로는 Altai hawthorn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왜냐하면 후자는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몽고 등 주로 알타이산맥 주변에서 자생하기 때문이다. 프러시안 정원사인 Peter Joseph Lenné (1789~1866)가 명명하고 독일 식물학자인 Karl Heinrich Emil Koch (1809~1879)이 발표한 이 학명의 종소명 chlorocarpa는 녹색 열매라는 뜻인데 실제로는 녹색이 아닌 적황색으로 성숙하는데 초창기에는 그렇게 알았던 것으로 보인다. 여하튼 이들 둘의 통합론을 따른다면 먼저 명명된 Crataegus chlorocarpa Lenné & K.Koch로 학명표기를 하여야 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나중인 1891년에 발표된 Crataegus wattiana Hemsl. & Lace로 학명 표기하고 있어 분리론을 따르는 것으로 봐야 될 듯하다.

 

카자흐사탄과 러시아에서 채집한  Crataegus chlorocarpa의 표본
알타이 산사나무인 Crataegus chlorocarpa
알타이 산사나무인 Crataegus chlorocar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