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명자 모과속 8

1902 중국명자꽃 - 모과해당(木瓜海棠)

중국명자꽃은 한동안 2017년까지도 카타이엔시스명자라고 Chaenomeles cathayensis인 학명 그대로 등록되어 있었는데 현재는 중국명자꽃으로 변경되었다. 여하튼 과거 카타이엔시스명자보다는 훨씬 부르기 쉽고 기억하기 쉽다. 이 수종의 중국에서의 재배역사는 명자꽃과 모과나무와 같아서 매우 오래되었지만 서양인들에게는 상대적으로 늦은 1887년에 가서야 그 존재가 알려져 당초에는 배나무속으로 분류되었다가 1901년 털모과(키도니아)속으로 변경되었고 다시 최종적으로 독일 식물학자인 Camillo Karl Shneider (1876~1951)가 현재의 명자나무속으로 편입하여 학명 Chaenomeles cathayensis를 1906년에 발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여기서 종소명은 중국을 뜻하는 말이다...

1901 풀명자(일본 원산) = 명자나무(우리 자생종)

명자나무속 즉 Chaenomeles속은 과거에는 중국 원산의 모과나무도 그 구성원이었으나 독립하여 나가고 이제는 전세계 4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3종은 중국 원산이고 하나가 일본 원산의 풀명자이다. 중국 원산의 수종들에 비하여 풀명자는 키가 0.3~1m로 가장 낮고 꽃의 사이즈도 지름 2.5~3cm로 가장 작고 지름 3~4cm인 열매의 사이즈와 길이 3~5cm인 잎의 사이즈도 명자나무속에서는 가장 작아 그야말로 왜성종이다. 게다가 줄기가 포복성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가지가 넓게 옆으로 퍼지면서 자라므로 정원수로는 그다지 적합하지도 않다. 그래서 우리 주변에서 이 풀명자의 원종을 보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실제로 오래 전에 홍릉수목원에 갔을 때 풀명자라는 명패를 달고 있었던 가지가 옆으로 뻗은 관목이..

1900 명자꽃 - 산당화, 당명자나무

전세계서 사랑받는 아름다운 명자꽃 일생 분단의 아픔을 직접 몸으로 안고서 살면서 스스로 빨치산 출신이라고 소개하다가 금년에 작고하신 시인 정도환(1925~2023)님의 명자나무라는 시를 소개한다. 명자꽃의 아름다운 특징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아마도 시인은 식물에도 상당한 조예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명자나무 – 출처 : 통일뉴스 봄 일찍 잎보다 먼저 온 나무가 붉은 꽃으로 덮인 그런 떨기와 마주치면 가까이 다가가 보라 다닥다닥 붙은 꽃송이들 동그랗게 옥은 꽃이파리 속에 노란 꽃술까지 길고 짙어서 그 곁을 떠나지 못하게 한다 다 자라서 어른 키 한 길 잔가지는 가시로 변해서 서로 얽힌 덤불 속으로는 들쥐도 못 드나들 것 같아 공원 들머리에 안내목으로 인가 주변에 생울타리로 산기슭이나 화단 경계목으로 심..

1899 모과나무 - 명자(榠樝, 榠楂)와 하루 아침에 뒤바뀐 이름

하루아침에 명자와 뒤바뀐 이름 모과 가을에 크고 노란 열매가 달려 눈길을 끄는 정원수 중에서는 제법 큰 나무를 현재 우리 국민들은 모두 모과나무라고 부른다. 그런데 그 모과나무를 모과나무라고 부르는 것은 당연한 것인데도 어쩐지 뒷 맛이 개운하지 않다. 이번에 모과와 명자나무속을 탐구하면서 우리 이름 모과와 명자가 일제강점기시절부터 완전히 뒤바뀐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모과와 명자꽃의 원산지인 중국에서 부르는 이름을 우리 선조들도 그대로 따라서 오랫동안 불렀는데 어찌된 일인지 1937년 정태현선생 등이 펴낸 조선식물향명집에서 학명 Pseudocydonia sinensis인 중국 원산 명자(榠樝)를 모과(木瓜)라고 했다. 조선식물향명집에 중국명은 표기가 없지만 일본명은 표기되어 있는데 그게 바로 쿼린(クワリ..

1898 털모과 = 마르멜로, 유럽모과

털모과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Cydonia oblonga Mill.은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 선상인 중앙아시아 즉 코카서스지역이 원산지인데 일찍부터 그리스를 통하여 유럽에 전파되어 당연히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에 명명하게 된다. 하지만 그 당시는 아직 털모과속 즉 Cydonia속이 창설되기 전이라서 배속으로 분류하여 1753년 Pyrus cydonia L.이라고 명명한 것이다. 그러다가 곧 영국 식물학자 Philip Miller(1691~1771)에 의하여 Cydonia속이 신설되면서 그 모식종으로 1768년 Cydonia oblonga Mill.이라는 학명이 부여된다. 밀러는 린네가 명명한 종소명 cydonia를 그대로 속명으로 하였는데 그 뜻은 그리스 크레타섬의 지명이라고 한다. 아마 코카서스지..

1897 명자(榠樝)와 모과(木瓜) 산당화(山棠花)의 어원과 뒤죽박죽

정원수로 가장 인기 높은 명자나무 장미나 수국과 같이 가장 사랑받는 최고의 꽃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현실적으로 우리나라 웬만한 정원에서 빠짐없이 한켠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정원수가 바로 명자나무가 아닌가 한다. 어느 정원에서나 그 중심에 심어질 나무는 아니지만 키가 아담하기에 어떤 장소에 심어도 부담스럽지 않으면서 우리나라 풍토에 잘 적응하여 특별한 관리를 하지 않아도 매년 매우 풍성하게 꽃을 피우는 관목이 명자나무이다. 무엇보다도 이른 봄 아직 추위가 채 가기도 전에 마치 구슬과도 같은 자홍색 또는 자갈색 맹아가 줄기 마디마다 촘촘하게 나와 봄이 오고 있음을 알려준다. 하지만 금방 터질 것 같던 그 맹아가 기다려도 기다려도 터지지는 않고 애를 태우다가 그만 매화나 벚꽃 등에 아쉽게도 순서를 빼앗기고 ..

321 서장모과(西藏木瓜)와 명자나무속 교잡 원예종들

서장모과(西藏木瓜) 이제 명자나무속의 마지막으로 중국의 티벳지방에서 자생하는 서장모과와 명자나무속의 인기있는 4대 교잡 원예종들에 대하여 간단하게 알아보고 마무리하려고 한다. 이런 다양한 교잡 원예종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이 명자나무속의 세계적인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