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잎싸리는 원래 중국 상해 이남에서 자생하는 큰싸리아속으로 분류되는 키가 3m까지도 자라는 직립관목인데 우리나라에 저절로 흘러 들어 자라고 있던 것이 2007년 강원도 오봉산 부근 도로변에서 강원대 한준수씨에 의하여 발견된 것이다. 이를 동정하는 과정에서 인하대의 한정은 최병희교수 팀이 국내 미기록종임을 확인하고 이 내용을 2008년 식물분류학회지에 논문으로 게재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2011년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한 것으로 보인다. 인하대 한정은 최병희교수 팀은 이 큰싸리 외에도 자주비수리와 분홍싸리도 발견하여 귀화식물로 등록되게 한 분들이다. 큰잎싸리라는 이름은 원산지 중국 이름 대엽호지자(大叶胡枝子)를 따른 것인데 실제로 잎의 길이가 10cm가 넘고 최장 13cm까지 되므로 이런 이름이 붙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