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홍싸리는 콩과 싸리속 귀화식물로 우리나라에 비교적 최근인 2011년에 등록된 종이다. 원래 중국의 요녕성에서 광동성 사천성까지 매우 폭넓게 분포하는 종인데 최근인 2000년에 와서 일본과 우리나라에서도 저절로 자라는 것이 확인되어 귀화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아마 사방용 목적으로 경사지 파종을 위한 종자 도입시 섞여서 들어온 것으로 파악이 된다. 뿌리가 넓게 퍼지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충남 금산 인삼랜드휴게소와 서울 상암동 하늘공원의 초지에서 관찰되어 2007년 3월 인하대학교 한정은 최병희교수 팀이 한국식물분류학회지에 보고함으로써 알려져 귀화식물로 등록된 것 같다.
학명 Lespedeza floribunda Bunge는 러시아 식물학자 Alexander Georg von Bunge(1803~1890)가 북경부근에서 발견된 표본을 대상으로 1835년에 명명한 것으로 종소명 floribunda는 꽃이 많이 핀다는 뜻이다. 그래서 중국 정명도 다화호지자(多花胡枝子) 즉 꽃이 많이 피는 싸리라는 뜻으로 되어 있다. 2003년 처음 확인된 일본에서도 귀화식물로 분류하고 있는데 일본에서는 중국풀싸리라는 뜻으로 도우쿠사하기(トウクサハギ)라고 하며 한자로는 당초추(唐草萩)라고 쓴다.
우리나라는 이를 처음 보고한 한정은연구사와 최병희교수가 아마 꽃 색상이 자홍색이라고 분홍싸리라고 명명한 것으로 보인다. 사실 싸리는 원래 자홍색 또는 남자색인데 이를 특별히 분홍싸리라고 한 것은 싸리속 중에서 큰싸리족 즉 큰싸리아속은 꽃 색상이 대부분 자홍색이지만 이 종이 속하는 싸리족 즉 싸리아속은 대부분의 꽃 색상이 황색 또는 황백색인데도 불구하고 이 종은 자홍색을 띠기 때문에 그렇게 붙인 것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이 분홍싸리는 이름도 싸리이고 꽃색상도 싸리에 가깝지만 폐쇄화가 개방화와 함께 달려 싸리조 즉 싸리아속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말하자면 싸리보다는 비수리쪽에 가깝다.
등록명 : 분홍싸리
학 명 : Lespedeza floribunda Bunge
분 류 : 콩과 싸리속 낙엽 소관목
원산지 : 중국, 귀화식물
중국명 : 다화호지자(多花胡枝子) 철편초(铁鞭草) 미탕초(米汤草)
일본명 : 도우쿠사하기(唐草萩)
수 고 : 30~100cm
특 징 : 뿌리가 가늘고 길다
줄 기 : 근기부 분지, 능, 회백색융모
탁 엽 : 선형, 4~5mm, 선단자망상
엽 서 : 우상복엽 3소엽
소 엽 : 유병, 도란형, 장원형, 선단미요, 둔원 근절형, 소자첨, 기부 설형
엽 모 : 상면 소복모, 하면백색복유모
크 기 : 10~15 x 6~9mm, 측생염 비교적 소
화 서 : 총상화서 액생, 화 다수
총화경 : 세장, 잎보다 현저하게 길다.
소포편 : 난형, 1mm, 선단 급첨
화 악 : 4~5mm, 피유모, 5렬, 상방2렬편 하부 합생, 상부 분리
열 편 : 피침형 혹 난상피침형, 2~3mm, 선단점첨
화 관 : 자색, 자홍색 남자색
기 판 : 타원형, 8mm, 선단원형, 기부 유병
익 판 : 초단
용골판 : 기판보다 길다, 준두
폐쇄화 : 다수, 액생
열 매 : 관란형, 7mm, 숙존악 보다 김, 밀피유모, 망상맥
화 기 : 6~9월
과 기 : 9~10월
내한성 : 우리나라 중부 노지월동 가능
용 도 : 경사면 녹화용 식재, 근 약용 소아감적(小儿疳积) 학질(疟疾)
국내서는 아직 분홍싸리가 도입 및 소개된지 일천하여 인터넷에서 분홍싸리를 검색하면 진짜 분홍싸리보다는 아래 엉뚱하게 국내서 보라싸리라고 불리는 하르덴베르기아 비올라케아의 분홍색 꽃 품종이 뜨는 경우가 많다. 내한성이 약하여 월동이 안되는 아래의 식물은 콩과 하르덴베르기아속 상록 목본성 덩굴식물이므로 싸리속 낙엽 소관목인 분홍싸리와는 전혀 무관한 별개의 식물이다. http://blog.daum.net/tnknam/1356
'콩과 > --싸리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967 참싸리 - 광주리 엮기에 적합한 우리 자생종 직립 관목 (0) | 2020.04.28 |
---|---|
966 자주비수리 - 중국에서 최근에 유입된 귀화식물 (0) | 2020.04.27 |
964 좀싸리 - 키가 50cm 미만인 우리 자생종 반관목 (0) | 2020.04.25 |
963 개싸리 - 괭이싸리와 같이 융모로 덮힌 직립 아관목 (0) | 2020.04.23 |
962 넌출비수리 - 비수리와 괭이싸리의 자연교잡종 (0) | 2020.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