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콩과/--싸리속

967 참싸리 - 광주리 엮기에 적합한 우리 자생종 직립 관목

낙은재 2020. 4. 28. 15:22

참싸리
참싸리
참싸리

 

이제까지 앞 게시글에서 싸리속 11종을 탐구하여 왔다. 맨 처음 956번 게시글의  싸리만 꽃도 잎도 크고 폐쇄화가 없다는 큰싸리족으로 분류되고 나머지 비수리부터 자주비수리까지 10종은 그 이름과는 상관이 없이 모두 꽃도 잎도 작고 폐쇄화와 개방화가 함께 피는 싸리아속으로 분류된다. 이번에는 참싸리라는 이름을 가진 우리나라 방방곡곡에서 매우 흔하게 자라는 키가 1~3m 직립 관목에 대하여 알아본다. 웬 싸리가 이렇게도 종류가 많은지 이러다가 나중에 제대로 구분이나 할는지 걱정이 된다.   

 

우리 이름 참싸리는 진(眞)을 뜻하는 참과 사리(荆)이 합해져 참사리에서 참싸리로 변한 것이라고 어원사전에서 풀이하는데 사리는 가는 나무를 뜻하는 살에서 유래된 것이고 한자 형(荆)은 원래 중국에서는 광주리나 사립문을 짜거나 회초리로 이용되는 마편초과 관목인 목형을 뜻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비슷한 용도로 사용되는 싸리를 뜻하게 된 것이라고 앞 956번 게시 글에서 언급한 바 있다. 여하튼 참싸리라는 이름의 최초 출처는 1937년 정태현 등의 조선식물향명집이며 1980년 이창복의 대한식물도감에서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우리 정명이 된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원종 기준 10여 종의 싸리 중에서 왜 이 종을 참싸리라고 부를까? 그 이유는 이 나무의 줄기가 가장 튼튼하여 광주리나 삼태기를 짜기에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즉 가는 나무라는 뜻의 살 중에서 으뜸이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줄기로 삼태기나 채반을 만들기에 적합하다고 참싸리로 불린다고 한다.

그럼 싸리속의 대표격인 싸리 즉 Lespedeza bicolor와는 어떤 차이점이 있길래 별도의 종으로 분류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자. 그러기 위하여는 일단 만국 공통이름인 학명과 또 다른 원산지인 중국과 일본의 이름을 파악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 외에도 중국과 일본 그리고 극동러시아에서도 자생하는 참싸리의 학명 Lespedeza cyrtobotrya Miq.은 1867년 네덜란드 식물학자인 Friedrich Anton Wilhelm Miquel(1811~1871)이 명명한 것인데 종소명 cyrtobotrya는 round 즉 둥글다는 뜻의 그리스어 cyrto와 포도(꽃)송이라는 뜻의 botrya가 합친 말로서 총상화서이지만 총화경이 짧아서 마치 두상화서로 보이는 꽃차례가 포도송이처럼 보인다는 것을 말하는 것 같다.

 

동북 흑룡강에서 남방 광동성까지 넓게 분포하는 중국에서는 이를 꽃차례의 총화경도 짧고 소화경도 짧다고 단경호지자(短梗胡枝子) 즉 꽃자루가 짧은 싸리라는 뜻으로 부른다. 별명으로 같은 맥락인 짧은 화서라는 뜻의 단서호지자(短序胡枝子)가 있으며 또한 잎의 끝이 둥글다고 원엽호지자(圆叶胡枝子)로 불리기도 한다. 혼슈에서 큐슈까지 널리 분포하는 일본에서는 이를 마루바하기(マルバハギ)라고 부르며 한자로는 환엽추(丸葉萩)라고 쓰는데 이는 둥근잎싸리라는 뜻으로 중국 별명 원엽호지자(圆叶胡枝子)와 같은 맥락이다. 그 외에 일본에서는 이를 미야마하기(ミヤマハギ) 즉 심산추(深山萩)라고도 한다. 일본에서는 싸리를 야마하기(ヤマハギ) 즉 산추(山萩)라고 하는 것과 대비가 된다.

 

이와 같이 참싸리는 학명과 중국 그리고 일본 이름에서 그 특징이 다 드러나 있다. 즉 꽃차례의 총화경이 거의 없어 잎보다 짧아서 마치 두상화서와 같이 모여서 피며 잎은 둥글다는 것이 싸리와의 구분 포인트가 되는 것이다. 그 외에도 잎의 끝이 싸리보다는 더 두드러지게 오목하다. 참싸리는 싸리와 마찬가지로 초본이나 아관목이 아닌 직립 관목이며 폐쇄화가 없는 큰싸리아속으로 분류되어 싸리아속으로 분류되는 비수리들과는 구분이 된다.

 

등록명 : 참싸리

이  명 : 참싸리나무

학  명 : Lespedeza cyrtobotrya Miq.

분  류 : 콩과 싸리속 낙엽 관목

원산지 : 한중일러 

중국명 : 단경호지자(短梗胡枝子), 단서호지자(短序胡枝子)

일본명 : 마루바하기(丸葉萩), 미야마하기(深山萩)

수  고 : 1~3m

줄  기 : 직립, 다분지

소  지 : 갈색, 회갈색, 구릉, 소유모 첩생

엽  서 : 우상복엽 3소엽

탁  엽 : 2, 선상피침형, 2~5mm, 암갈색

엽  병 : 1~2.5cm

소  엽 : 관란형, 난상타원형 혹 도란형, 선단원 혹미요, 소자첨, 측생소엽 초소

크  기 : 1.5~4.5 x 1~3cm

엽  모 : 상면녹색, 무모, 하면소유모첩생

화  서 : 총상화서 액생, 엽보다 단, 드물게 등장

총화경 : 단축 혹 근무총화경, 백모

포  편 : 소, 난상점첨, 암갈색

소화경 : 단, 백모

꽃받침 : 통상종형, 2~2.5mm, 5렬 중부까지, 열편피침형, 점첨, 표면밀피모

화  관 : 홍자색, 11mm

기  판 : 도란형, 선단원 혹 미요, 기부 단병

익  판 : 장원형, 기판비 1/3 단, 선단원, 기부 이와 판명 명현

용골판 : 정단조만, 기판과 등장, 기부 이와 병

열  매 : 협과, 사란형, 초편, 6~7 x 5mm, 표면 망문, 메밀생

화  기 : 7~8월

과  기 : 9월

용  도 : 사료, 광주리, 삼태기 편직용, 사방목적 식재용, 밀원수 등

내  한 : 중부지방 노지 월동 가능

 

참싸리
참싸리
참싸리
참싸리
참싸리
참싸리
참싸리
참싸리 1~7

 

참싸리
참싸리
참싸리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참싸리의 하위 분류군인 품종과 변종으로 선녀싸리와 흰참싸리 그리고 긴잎참싸리 등 3종이 등록되어 있으나 국제적으로는 어느 것 하나 인정받는 것이 없다. 둘은 이창복박사가 명명하였다는 것이고 하나는 일본 나카이가 명명한 것인데 모두 형식불비인지 비합법명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런 학명은 어떻게 후세 학자들이 추가 연구를 하여 적법한 학명으로 인정을 받게 하던지 아니면 말끔하게 삭제하는 것이 옳지 않은가 하고 또 다시 주장해 본다. 

 

선녀싸리 : Lespedeza cyrtobotrya f. alba T.B.Lee - 순백색의 꽃

흰참싸리 : Lespedeza cyrtobotrya f. semialba T.B.Lee - 기판과 익판만 백색

긴잎참싸리 : Lespedeza cyrtobotrya var. longifolia Nakai - 잎이 타원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