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비수리라는 이름으로 2011년에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귀화식물로 등록된 콩과 싸리속 종이 있는데 이 또한 앞 게시글의 분홍싸리와 마찬가지로 인하대 한정은 최병희교수팀이 안동과 상암동 하늘공원 파주 등에서 발견된 것을 2008년 식물분류학회지 38호에 중국에서 들어온 미기록 귀화식물로 발표하고 명명한 것에 근거를 한다. 비수리를 닮았는데 꽃의 색상이 적자색이라고 자주비수리라고 국명을 정한 것이다.
자주비수리의 학명 Lespedeza lichiyuniae T. Nemoto, H. Ohashi & T. Itoh는 뜻밖에도 불과 몇 년 전인 2007년에 일본학자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센슈대학(石巻専修大学)의 네모토 토모유키(根本 智行)교수 등에 의하여 일본 시코쿠 미요시(三好)시에서 발견되어 명명된 것이다. 그렇다면 일본에서 들어와 우리나라에 귀화하였다는 이야기인가? 그렇지는 않다. 특이하게도 일본에서는 중국에서 유입된 귀화식물이라고 한다. 그럼 중국에서는 뭐라고 한다는 말인가? 과거의 쓰여진 중국식물지에는 이런 식물이 없다. 그럼 최근에 갑자기 나타난 식물을 일본과 우리나라에서 발견하고 애써 중국이 원산지라고 말하고 있다는 것인가 아니면 뭐가 어찌 되었다는 말인가?
알고보니 그 내막은 이렇다. 일본에서 2003~2004년 시코쿠 미요시에서 새로운 싸리속 식물을 발견하고 동정하는 과정에서 유사한 식물을 중국에서 이미 발견하여 1981년과 1986년에 중국의 Chi-yun Li(=Ji-yun Li)라는 분류학자가 자주색 꽃이 피는 비수리의 한 품종으로 L. cuneata f. purpurea라고 명명한 바는 있지만 아직까지 유효한 출판을 하지 않아서 합법적인 명명 절차를 이행하지 않고 있음을 알게 된 것이다. 바로 그 식물이 중국에서 구입한 토사유출 방지를 위한 종자에 섞여서 들어온 것으로 추정한 것이다. 하지만 일본 학자들은 이를 비수리의 변종이나 품종이 아닌 별도 독립된 종으로 승격하여 학명을 부여하였는데 그 종소명은 최초 발견자인 중국 학자의 이름을 따서 lichiyuniae로 한 것이다. 그러니까 중국학자가 어물쩡하는 사이에 일본학자가 먼저 발표하게 된 것이다.
신종발표는 이렇게 누가 먼저 발견하고 먼저 이름을 붙이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누가 먼저 적법한 절차에 따라서 발표를 하느냐에 따라서 선순위가 정해지기 때문에 소위 찜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여기에는 우리나라 학자인 이영노박사의 명명도 엮이어 있다. 다름아닌 우리나라에 꽃비수리라고 등록된 학명 Lespedeza rosea Y.N.Lee를 이영노박사가 1996년과 2002년에 발표한 바가 있는데 이 종이 바로 이 자주비수리와 동일한 것으로 추정이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영노박사 또한 적법한 절차에 의하여 명명한 것이 아니기에 그동안 합법적인 학명이 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아마 자생지 표기가 없었던 것으로 추정이 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표식에 등록된 꽃비수리가 바로 자주비수리이므로 후자는 무효학명인데다가 중복되므로 삭제하거나 이명처리 함이 마땅하다.
일본의 네모토 등이 명명한 이 학명 Lespedeza lichiyuniae가 비록 형식을갖추어 적법하게 발표는 되었다고 하더라도 과연 독립된 신종인지 아니면 비수리의 변종인지 아니면 원예종인지 그것도 아니면 기존 어느 종의 유사종인지 등에 대하여 아직 완전하게 결정이 난 상태가 아닌 미결정 상태에 있으므로 아직 국제적으로 널리 인정받는 학명은 아니다. 하지만 자생지와 분포지인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인정하고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본에서는 이를 아카하나메도하기(アカバナメドハギ)라고 부르며 한자로는 적화서추(赤花筮萩)라고 쓰는데 이는 적화비수리라는 뜻이다. 중국에서도 이를 홍화절엽철소추(红花截叶铁扫帚)라고 붉은비수리라는 뜻으로 불러 한중일 3국의 이름이 대동소이하다.
등록명 : 자주비수리
이 명 : 꽃비수리
학 명 : Lespedeza lichiyuniae T. Nemoto, H. Ohashi & T. Itoh
이 명 : Lespedeza rosea Y.N.Lee
이 명 : Lespedeza cuneata f. purpurea
분 류 : 콩과 싸리속 반관목 또는 단년생 초본
원산지 : 중국 안휘 강소 운남 호북 등
분포지 : 우리나라와 일본 귀화식물
수 고 : 50~120cm
줄 기 : 직립 사승, 복모
엽 서 : 우상복엽, 3소엽
엽 병 : 1.5~15mm
소 엽 : 협도란형, 이면복모, 표면무모, 기부설형, 선단둔각 또는 절형, 자상돌기
정소엽 : 0.7~2.8 x 0.2~2.3cm
화 서 : 총상화서, 총화경 단, 2~4송이
꽃받침 : 3~4mm, 5렬, 악렬편 란형
화 관 : 적자색, 연자색
기 판 : 7~7.5 x 5~5.5mm, 기부 암자색 반점
익 판 : 연자백색, 협타원형, 6.7~7.3 x 2~2.3mm
용골판 : 연자백색, 암자색 반점, 7.2~7.6 x 2.2~2.7mm
폐쇄화 : 엽액 족생, 화경 무
열 매 : 협과, 2.4 x 1.7 ~2mm, 악열편보다 약간 김, 모 밀생
내한성 : 중부지방 노지월동 가능
'콩과 > --싸리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968 조록싸리 - 국내서 가장 흔한 싸리 중 하나 (0) | 2020.05.07 |
---|---|
967 참싸리 - 광주리 엮기에 적합한 우리 자생종 직립 관목 (0) | 2020.04.28 |
965 분홍싸리 - 2000년대에 중국에서 들어온 귀화식물 (0) | 2020.04.27 |
964 좀싸리 - 키가 50cm 미만인 우리 자생종 반관목 (0) | 2020.04.25 |
963 개싸리 - 괭이싸리와 같이 융모로 덮힌 직립 아관목 (0) | 2020.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