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콩과/--싸리속 17

962 넌출비수리 - 비수리와 괭이싸리의 자연교잡종

넌출비수리의 학명 Lespedeza × intermixta Makino는 일본 식물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마키노 토미타로(牧野富太郎 : 1862~1957)박사가 1913년 일본에서 발견하고 이 종이 비수리와 괭이싸리의 자연교잡종이라고 추정하여 명명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혼슈와 오키나와에서 자생하는데 나중에 우리나라에서도 전남 완도와 제주도 그리고 경남 하동 등에서 발견된다고 우리 자생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실제로 몇몇 대학에서 채집한 표본도 있으나 아직까지 국립수목원에서 운영하는 국생정 도감에는 왜 사진 한 장이 없는지 궁금하다. 그리고 인터넷에 올려져 있는 넌출비수리의 사진들 중 일부는 진위가 좀 의심스러운 것들도 있는 것 같다. 잎이 좁고 길고 끝이 뭉텅한 비수리와 도란원형이면서 장모로 덮여 있는 괭..

콩과/--싸리속 2020.04.22

961 괭이싸리 - 고양이 털 같은 황갈색 장유모로 덮여 있는 포복성 다년생 초본

콩과 싸리속 괭이싸리는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분포하는 키가 80cm 미만으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식물 전체에 길고 부드러운 털이 덮여 있어 학명 Lespedeza pilosa의 종소명도 장유모로 덮여있다는 뜻의 pilosa로 명명되어 있다. 이는 원래 식물분류학을 창설한 린네가 동양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일본에 파견한 직계제자인 스웨덴의 툰베리가 조선 정조 8년인 1784년에 일본에서 발견하여 묏황기속으로 판단하고 Hedysarum pilosum Thunb.라고 명명하였던 것이다. 그러다가 나중에 툰베리가 못다한 일을 마무리하려고 일본에 와서 무려 7년이나 체류하면서 식물 탐사를 한 독일의 지볼트가 1843년 싸리속으로 변경하여 현재의 학명인 Lespedeza pilosa (Thunb.) Siebol..

콩과/--싸리속 2020.04.22

960 청비수리 - 도란형 잎이 넓고 꽃받침이 길고 줄기가 푸른 우리 자생종

우리나라 인천이나 음성 그리고 시흥 평창 등 일부지역에서 발견되어 우리 자생종으로 취급받는 콩과 싸리속 청비수리의 학명 Lespedeza inschanica (Maxim.) Schindl.은 원래 우리에게도 친숙한 러시아 식물학자 맥스모비치(1827~1891)가 중국 내몽고(内蒙古) 음산(阴山)에서 발견하여 땅비수리의 변종으로 Lespedeza juncea var. inschanica Maxim.로 처음 명명하였던 것을 독일 식물학자 Anton Karl Schindler (1879~1964)가 1913년 독립된 종으로 승격시켜 현재의 학명으로 재명명한 것이다. 종소명 inschanica는 아마 표본 발견지 내몽고 음산 즉 Yin Shan을 말하는 것 같다. 이 청비수리는 땅비수리에 비하여 키나 낮으며 잎..

콩과/--싸리속 2020.04.21

959 호비수리 - 우리 자생종 잎이 큰 비수리

학명 Lespedeza daurica (Laxm.) Schindl.로 등록된 호비수리는 중국 북방지역을 뜻하는 호(胡)라는 이름만 들어봤을 때는 중국 만주나 몽고 같은 북방에서 온 것으로 판단되지만 뜻밖에도 우리 자생종으로 기록되어 있다. 국내서 이 이름이 처음 사용된 것은 1949년 정태현 등의 조선식물명집과 1957년 한국식물도감에 의한다. 대개 이런 경우는 명명 당시에는 국내에 자생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지금은 강원도와 경기도 등에서 제법 흔하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우리 자생종이 분명하지만 중국 특히 내몽고지역에서 온 비수리라는 뜻으로 호비수리라는 이름을 달고 있다. 이를 중국에서도 흥안호지자(兴安胡枝子)라고 하는데 흥안은 내몽구 동북부의 지역명이다. 그리고 중국 별..

콩과/--싸리속 2020.04.20

958 땅비수리 = 당비수리 = 파리채

우리나라에 등록된 싸리속 식물은 원종기준으로 21종이 되는데 그 대부분이 싸리라고 불리지만 비수리라고 불리는 식물도 7종이나 된다. 그 중 하나가 땅비수리이다. 비수리들과 싸리들 사이에 어떤 뚜렷한 구별점이 있는 것은 아닌 것 같다고 앞 게시글에서 언급한 바 있다. 다만 싸리속을 큰싸리조(組) 즉 Sect. Macrolespedeza와 싸리조(組) 즉 Sect. Lespedeza 둘로 세분하기도 하는데 그 경우 우리나라서 비수리로 불리는 종들은 모두 싸리조로 분류된다. 하지만 싸리로 불리는 종 중에서도 분홍싸리 괭이싸리 개싸리 좀싸리 등은 큰싸리조가 아닌 싸리조로 분류된다. 큰싸리조와 싸리조의 차이점은 전자인 큰싸리조는 소엽도 크고 열매도 크며 꽃색상이 대부분 자홍색이다. 그 반면에 후자인 싸리조는 소엽..

콩과/--싸리속 2020.04.17

957 비수리 - 약재명 야관문(夜關門)은 밤에 문을 여는 것이 아니라 닫는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우리나라 싸리속에는 43종의 식물이 등록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변종이나 원예종 등을 제외한 원종 기준으로는 21종이 된다. 그 중에서 14종은 싸리나 참싸리 조록싸리 좀싸리 등 싸리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 7종은 비수리나 땅비수리 호비수리 등 비수리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싸리는 명확하지는 않지만 가는 나무라는 뜻의 살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이지만 비수리의 어원은 무엇일까 궁금하다. 아직 우리나라는 식물 이름의 유래를 연구하는 학자가 제대로 없어서 거의 대부분 그냥 유래 미상(未詳) 즉 확실하거나 분명하지 않다고 설명하고 넘어 간다. 웬만한 식물 이름은 그 유래를 상세하게 파악하여 밝히고 있는 서양이나 일본에서는 그 이름의 유래만 들어봐도 그 식물의 대체적인 특성이 바로 감이 잡힌다. 하지만 우..

콩과/--싸리속 2020.04.15

956 싸리 - 너무 흔해서 귀한 대접을 못 받고 있는 아름다운 관목

넓은 의미의 싸리싸리는 국어사전에 의하면 콩과 낙엽 활엽 관목이라고 설명되어 있다. 한자로는 소형(小荊)이라고 하며 어원의 출처는 1608년 조선 선조때 허준선생이 왕명으로 편찬한 의서 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이라고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도 싸리가 정명인 식물은 단 하나로서 학명 Lespedeza bicolor인 낙엽 활엽 관목을 말한다. 결국 싸리는 국어학계나 식물학계 모두 일치된 특정 수종을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싸리를 좁은 의미로 특정 수종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면 절대 틀린 설명은 아니다. 하지만 싸리가 어디 그 관목 뿐이던가? 우리나라에 xx싸리나 싸리xx라고 하는 식물이 100종에 가깝게 많기 때문에 최소한 국어사전에는 넓은 의미의 싸리에 대한 풀이가 필요해 보인다..

콩과/--싸리속 202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