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산사나무속

1933 단자산사나무 - 유럽 대표적인 산사나무

낙은재 2024. 3. 9. 22:16

단자산사나무 = 유럽 대표적인 산사나무

 

 

단자산사나무라는 이름으로 등록된 외래종이 있는데 그 학명은 Crataegus monogyna Jacq.로 표기된다. 이 수종은 유럽 거의 전역과 북아프리카 그리고 서아시아에 걸쳐 폭넓게 분포하기에 유럽에서는 그냥 산사나무 즉 common hawthorn이라고 통한다. 앞 1928번 게시글에서 다룬 서양산사나무 즉 Crataegus laevigata도 거의 유럽 전역과 북아프리카에서 분포하지만 그 수종은 English midland hawthorn 또는 English hawthorn이라고 부르는 것과 대비된다. 1753년 린네가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에는 이들 둘 다 하나의 학명인 Crataegus oxyacantha L.로 분류되었으며 그 당시부터 common hawthorn 또는 English hawthorn이라고 불렸다. 영국에서는 천 년 전부터 가시가 있는 산사나무가 정원 울타리용으로 많이 이용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12세기부터 소규모 농장들을 통합하여 대규모 목축 농장을 조성하는 정부 차원의 이른바 enclosure movement 즉 엔클로저운동이 시작되면서 드넓은 농장 경계에도 생울타리를 조성하는 바람이 불었다. 그 때 주로 사용된 수종이 바로 가시가 있는 산사나무였던 것이다. 꽃이 귀한 5월에 향기가 있는 꽃을 풍성하게 피우는 데다가 식용 및 약용이 가능한 열매도 맺어 여러모로 쓸모가 많으며 가지가 울창하게 나면서 가시까지 있어 울타리로는 제격이었기 때문이다. 

 

산사나무 생울타리

 

 

그러다가 식물분류학적으로 Crataegus oxyacantha가 1775년에 이 단자산사나무 즉 Crataegus monogyna가 분리 명명되었고 1798년에 서양산사나무 즉 Mespilus laevigata가 명명되어 나가면서 둘로 갈라져 버렸다. 그래서 먼저 명명되고 보다 더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단자산사나무를 그냥 산사나무 즉 common hawthorn이라고 부르게 되었고 나중에 학명이  Crataegus laevigata로 변경된 후자인 Mespilus laevigata는 영국산사나무라는 명칭으로 구분하여 부르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실제로는 Crataegus monogyna도 영국에서 자생하며 울타리용으로도 많이 사용되었기에 아직도 이를 일부에서 English hawthorn이라고 부르기도 하여 헷갈리게 한다.  이 수종의 학명 Crataegus monogyna Jacq.는 네덜란드에서 태어나고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활동한 식물학자 Nikolaus Joseph Freiherr von Jacquin (1727~1817)이 명명한 것으로 여기서 종소명 monogyna는 씨방이 하나라는 뜻이다. 즉 이 수종의 암술대가 하나이고 따라서 종자도 하나만 생성되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영어 이름이 one-seed hawthorn 또는 single-seeded hawthorn이라고 하며 중국 이름도 단자산사(单子山楂) 또는 단주산사(单柱山楂)라고 한다. 따라서 우리 이름도 단자산사나무라고 붙인 것 같다. 일본 이름은 히토시베산자시(ヒトシベサンザシ)라고 한자어로 일예산사자(一蘂山査子)라고 쓰는데 이는 암술이 하나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단자산사나무는 종자가 하나로서 대부분의 산사나무가 2~5개인 점과 다르며 잎의 결각이 거의 중륵에 도달할 정도로 깊게 파인 것이 특징이지만 잎 가장자리에 톱니는 거의 없다.

 

단자산사나무의 종자는 하나이며 둥글다
단자산사나무의 고목과 서양산사나무와 잎 비교

 

동양에 흔한 행앵도리(杏櫻桃李)나 목련 등 대표적인 봄꽃나무가 제대로 없던 유럽에서는 우리와는 달리 산사나무가 꽃이 매우 아름답고  풍성하게 피는 봄꽃나무라고 많은 사랑을 받아 왔다. 게다가 가시가 있는 산사나무가 서양에서는 마귀나 뱀파이어를 쫓는 힘을 가진  나무로 알려져 집안에 심거나 가지를 걸어두기도 했다. 그리고 여타 가시나무들이 다 그렇지민 산사나무도 예수의 가시면류관 즉 crown of thorn에 이용된 수종이라고도 알려져  신성시 되기도 했다.  실제로 지금 현재 2천 년 전의 예수가 쓴 가시면류관의 정체를 파악할 길은 없지만 그래도 중세 면류관 유물이라고 남아 있던 것을 분석한 결과는 엉뚱하게 가시가 없는 다년생 초본인 학명 Juncus balticus인 갯골풀의 일종이거나 대추나무의 일종인 Ziziphus spina-christi일 것이라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다.  그리고 특히 이 단자산사나무는 백색 외에도 붉은색 꽃도 피는 데다가 다른 종과의 수정이 잘되어 원예종을 개발하기 위한 부모종으로 많이 활용되어 왔다. 우리 주변의 붉은 꽃의 산사나무는 대부분 이 수종과 서양산사나무의 교잡으로 탄생한 품종들이다. 

 

갯골풀의 일종인  Juncus balticus
대추나무 일종인 Ziziphus spina-christi

 

 

 

등록명 : 단자산사나무(單子山査--)

학    명 : Crataegus monogyna Jacq.

분    류 : 장미과 산사나무속 낙엽 소교목 교목

원산지 : 유럽 북아프리카 서아시아

영어명 : common hawthorn, one-seed hawthorn, single-seeded hawthorn

중국명 : 단자산사(单子山楂) 단주산사(单柱山楂)

일본명 : 일예산사자(一蘂山査子)

수    고 : 6~9m

가    시 : 2.5cm 길이

잎특징 : 2~6.5 x 2~5cm, 3~7 깊은 결각, 전연

꽃차례 : 산방화서, 5~25송이

꽃특징 : 8~15mm 지름, 백색 핑크색 약한 향기 다수 수술

암술대 : 1개

열    매 : 1cm 지름

내한성 : 영하 34도

 

단자산사나무 = 유럽 대표적인 산사나무
단자산사나무 = 유럽 대표적인 산사나무
단자산사나무 = 유럽 대표적인 산사나무
단자산사나무 = 유럽 대표적인 산사나무
단자산사나무 = 유럽 대표적인 산사나무
단자산사나무 = 유럽 대표적인 산사나무
단자산사나무 = 유럽 대표적인 산사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