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진달래과 기타아과

1752 분홍노루발

낙은재 2022. 3. 18. 08:37

분홍노루발
분홍노루발

 

분홍노루발은 이름 그대로 분홍색 꽃이 피는 노루발속 중에서는 가장 아름다운 종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경기도이북에서 자생하며 일본의 중북부 그리고 중국 만주와 극동러시아 등지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이 상록 다년생 초본의 학명은 아직도 제대로 정리가 안되었는지 매우 혼란스럽고 복잡하다. 우리나라에서는 Pyrola asarifolia Michx. subsp. incarnata (DC.) Haber & Hir. Takah.이라고 미국 원산의 pink wintergreen의 아종으로 1988년 캐나다학자와 일본학자가 공동 재명명한 것으로 표기하지만 중국의 경우는 같은 아종으로 분류함에도 미국 학자가 1982년에 재명명한 Pyrola asarifolia subsp. incarnata (DC.) A.E.Murray로 표기하고 있으며 일본은 아예 아종이 아닌 원종으로 분류된 Pyrola incarnata (DC.) Fisch. ex Freyn이라는 학명을 최근까지도 쓰다가 현재는 중국과 같은 학명으로도 표기한다.

 

분홍노루발의 분포도

 

원래는 이 식물은 유럽에서부터 아시아까지 분포하는 노루발속의 모식종인 round-leaved wintergreen의 변종으로 바이칼호 동쪽지역에서 발견한 표본을 대상으로 스위스 식물학자인 깡돌 즉 Candolle (1778-1841)이 1839년 Pyrola rotundifolia var. incarnate DC.라고 명명하였던 것인데 나중의 학자들이 독립된 종으로 승격을 시켰다가 다시 미국 원산 pink wintergreen의 아종으로 분류하는 과정에서 동일하게 분류한 두 개의 학명이 발표된 것으로 보인다. 둘 다 유효한 학명이라면 미국 학자가 1982년에 발표한 학명이 6년을 앞서므로 우리도 학명을 Pyrola asarifolia subsp. incarnata (DC.) A.E.Murray라고 수정하여야 될 듯하다.

 

왼쪽이 유럽원산 노루발이고 오른쪽이 미국원산 노루발인데 이들의 아종으로 분류하는 것이다.

 

노루발과 차이점은 꽃자루와 꽃줄기의 색상이 자색을 띠고 꽃잎은 분홍색이며 꽃받침이 넓은 피침형이고 꽃밥이 적자색이라는 점이다. 홀잎노루발과는 꽃과 줄기의 색상은 비슷하지만 잎이 3~7장으로 여러 장이 나오므로 다르다. 종소명 asarifolia는 잎이 하트형인 족도리풀을 닮았다는 뜻이며 아종명 incarnata는 선명한 색상이라는 뜻인데 아무래도 꽃의 색상이 더 짙기 때문으로 보인다.

 

유럽족도리풀의 하트형 잎과 털이 많은 꽃 모습

 

 

등록명 : 분홍노루발

학   명 : Pyrola asarifolia Michx. subsp. incarnata (DC.) Haber & Hir. Takah.

이   명 : Pyrola asarifolia subsp. incarnata (DC.) A.E.Murray

분   류 : 진달래과 노루발속 상록 다년생 초본

원산지 : 한중일러 북미

중국명 : 홍화녹제초(花鹿蹄草)

일본명 : ベニバナイチヤクソウ, 홍화일약초(紅花一草)

높   이 : 15~30cm

잎특징 : 기생 박혁질 광택, 3.5~6 x 2.5~5.5cm

잎자루 : 5.5~7cm

꽃줄기 : 자색, 2~3인편상엽, 12~15mm

꽃차례 : 총상화서 5~16cm, 7~15송이, 약간 처짐

꽃부리 : 광개, 지름 13~20mm, 자홍색

꽃자루 : 6~7.5mm, 열매시 7~12mm, 액간 피침형 포편

수   술 : 10, 화약 성숙시 자색

암   술 : 6~10mm, 경사 상향만곡 주두 5원렬

열   매 : 삭과 편구형, 지름 7~8mm, 자홍색

개화기 : 6~7월

결실기 : 8~9월

 

분홍노루발 - 꽃밥이 자색이고 꽃받침이 넓은 피침형이다.
분홍노루발
분홍노루발
잎과 열매
분홍노루발 - 암술대 끝에 환상돌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