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기노루발의 학명 Pyrola denticulata Koidz.는 1916년 일본 식물학자인 고이즈미(小泉源一, 1883~1953)가 잎 가장자리에 치아상 톱니가 있다는 뜻의 종소명을 붙여서 명명한 것인데 일단 세계적으로는 대부분 이 학명의 존재조차도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일부에서 노루발의 이명으로 또 다른 일부에서는 홀잎노루발의 유사학명으로 분류하여 이명처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일본과 황해도 장산곶에 분포하는 것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런데 당초 표본을 일본에서 채집하였는지 아니면 우리나라에서 채집하였는지도 모르겠다. 하여튼 현재 일본에서는 이 학명도 그리고 일본명이라는 히메이치야쿠소우(姬一薬草)도 보이지 않는다. 우리나라 국립수목원 도감에는 사진은 한 장도 없지만 국내서 채집한 표본은 더러 있으며 네이버 검색하면 일부 식물애호가들이 북한 백두산에서 촬영한 사진도 분명 보인다. 치아상 거치가 있는 잎모양을 기준으로 봤을 때는 분명 실체는 존재하고 이 것이 별도의 종으로 분류될 차이점은 아니라서 통합이 된다면 홀잎노루발보다는 노루발에 통합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하나의 꽃줄기에 잎이 여러장 붙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미 홀잎노루발 자체도 노루발에 통합하여 분류하고 있으므로 노루발 애기노루발 그리고 홀잎노루발 모두 하나의 종으로 분류할 수밖에는 없다. 다만 국내에 이런 변이종이 있다는 것만 알고 있으면 되겠다. 그런데 잎에 치아상 거치가 있다는 것이 특징인데 왜 정태현선생은 1949년에 애기노루발이라는 이름을 붙였는지 모르겠다. 그러면서도 어떤 점에서 노루발이나 다른 종에 비하여 작다는 것인지에 대한 언급도 없으면서 말이다.
등록명 : 애기노루발
정 명 : 노루발(통합)
학 명 : Pyrola denticulata Koidz.
정 명 :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분 류 : 진달래과 노루발속 상록 다년생 초본
원산지 : 우리나라
특 징 : 잎 가장자리에 치아상 거치

'진달래과 > 진달래과 기타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53 호노루발 (0) | 2022.03.18 |
---|---|
1752 분홍노루발 (0) | 2022.03.18 |
1750 홀잎노루발 – 노루발에 통합된 잎이 거의 없는 변종 (0) | 2022.03.16 |
1749 노루발(풀) – 부분적 균종속영양식물 (1) | 2022.03.16 |
1748 단풍철쭉 – 단풍이 아름다운 백화 정원수 (0) | 2022.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