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산국수나무는 키가 1.5m까지만 자라 양국수나무에 비하면 절반 정도의 크기이며 꽃받침과 심피 그리고 열매에 성상모가 밀생하고 수술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차이점이 있는 북미 원산의 왜성 산국수나무이다. 이 수종에 대하여 맨 처음 학명을 부여한 사람은 스웨덴 출신 미국 식물학자인 Per Axel Rydberg(1860~1931)이다. 그는 이를 현재는 산국수나무속으로 통합되어 없어진 Opulaster속의 독립된 종으로 분류하여 1901년 Opulaster intermedius Rydb.라는 학명을 부여하였다. 그러다가 독일 식물학자인 Camillo Karl Schneider(1876~1951)가 산국수나무속을 변경한 학명 Physocarpus intermedius (Rydb.) C.K. Schneid.를 1906년 발표하게 된다. 그 후 다시 미국 식물학자인 Benjamin Lincoln Robinson (1864~1935)에 의하여 양국수나무의 변종으로 편입된 학명 Physocarpus opulifolius var. intermedius (Rydb.) B.L. Rob.가 1908년 발표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바로 이 학명으로 등록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서양에서는 대부분 학자들이 독립된 별개의 종을 분류하여 먼저 명명된 Physocarpus intermedius로 학명 표기하고 있다.
그런데 중산국수나무에 대하여는 우리나라에서 오해하는 부분이 너무 많다. 우선 이 수종은 중+산국수나무가 맞지만 여기서 중(中)이 중국(中國)을 뜻하는 중이 아니고 중간 사이즈라는 뜻의 영어 Intermediate를 말한다. 왜냐하면 학명에 그런 뜻의 라틴어 intermedius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수종은 키가 1.5m에 불과하여 3m에 달하는 양국수나무의 절반 정도이다. 그리고 이 수종은 중국과는 전혀 거리가 먼 캐나다와 미국 그리고 멕시코가 원산지이다. 따라서 이 수종을 중국 원산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데 전혀 말이 안되는 어불성설이라는 말이다. 이 점에 대하여는 이 수종을 중국에서 부르는 이름 중형풍상과(中型風箱果)가 정답을 말해 준다. 또 하나 국내 도입된 양국수나무이 원예종들을 일부에서 중산국수나무의 원예종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 물론 서양에서도 그렇게 인식하는 경우가 더러 있기는 하지만 현재는 대부분 양국수나무의 원예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중산국수나무에는 원예종이 없다고 알고 있으면 된다. 따라서 황금중산국수나무라거나 자엽중산국수나무라는 명칭은 올바르지 않다는 말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 수종은 원산지에서도 흔한 수종이 아니며 특히 원산지를 제외하면 전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일반 정원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수종이 전혀 아니라는 말이다. 다만 전세계에서 우리나라에서만 유독 이 수종을 재배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는 다분히 미국 출신인 천리포수목원의 설립자인 민병갈선생님의 덕분일 것이다. 그만큼 정원수로 크게 인기 있는 수종은 못되어 널리 보급되지 못한 것이다. 왜냐하면 양국수나무에도 ‘Nanus’나 ‘Nana’ 또는 ‘Nugget’ 등 왜성 품종들이 많으므로 굳이 중산국수나무를 찾을 이유가 적다는 말이다. 따라서 우리 대부분은 중산국수나무를 실제로는 한번도 본 적이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다.

등록명 : 중산국수나무
학 명 : Physocarpus intermedius (Rydb.) C.K.Schneid.
등록명 : Physocarpus opulifolius (L.) Maxim. var. intermedius (Rydb.) B.L.Rob.
원산지 : 미국 멕시코 캐나다
영어명 : Atlantic ninebark
중국명 : 중형풍상과(中型風箱果)
수 고 : 1.5m
줄 기 : 아치형 직립 무모
탁 엽 : 선형 협란형 6 x 1.5mm 첨두
잎자루 : 0.7~1.5cm
잎크기 : 3~6 x 2~4cm
잎모양 : 원형 광란형 기부 관설형 절형 미심형 원두 둔두 첨두
잎거치 : 3~5결각 불규칙심거치 중거치
잎면모 : 상면 근무모 하면 희모
꽃차례 : 반구형 산방화서 15~20송이 조밀 지름 4cm
포 편 : 타원형 숟갈형 마름모형 5 x 2mm 선거치
꽃자루 : 1~2cm 대개 성상모
꽃크기 : 10~12mm 지름
꽃받침 : 배상 2mm 성상모 밀생
악 편 : 연록색 백색 중심 암록색 삼각형 2.5~3.2mm 둔두 첨두 선거치 성상모밀생
화 판 : 백색 광타원형 둥근형 5~6 x 5~6mm
수 술 : 꽃잎과 같거나 짧음
심 피 : 3~5개 기부합생 성상모밀생
골돌과 : 3~5개 난형 5~8mm 성상모밀생 또는 배봉선에만 밀생 암술대 4~5mm
종 자 : 2(-5)
염색체 : 2n = 18
개화기 : 5~6월
결실기 : 9~10월
내한성 : 영하 43도








'장미과 아몬드아과 > 국수나무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54 양국수나무 다양한 원예품종들 (5) | 2024.11.01 |
---|---|
2053 양국수나무 '디아볼로' - 자엽양국수나무 (2) | 2024.11.01 |
2052 양국수나무 '루테우스' - 황금양국수나무 (1) | 2024.10.31 |
2051 양국수나무 - 미국산국수나무 (3) | 2024.10.30 |
2050 산국수나무 - 희귀 우리 자생종 (4) | 202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