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국수나무족

2051 양국수나무 - 미국산국수나무

낙은재 2024. 10. 30. 20:43

 

양(산)국수나무

 

 

 

산국수나무속은 우리나라 북부지방과 중국 북부 그리고 극동러시아에서 자생하는 산국수나무 1종을 제외한 나머지 6종은 모두 북미가 원산지이다. 북미 원산 수종들 중에는 17세기 후반에 벌써 유럽에 상륙한 양국수나무가 꽃이 아름다운 데다가 잘 자라서 울타리나 관목 숲을 조성하기에 적합하여 정원수로 인기가 높다. 그래서 린네도 식물분류학을 창설할 당시에 이미 이 수종을 인지하고 1753년 조팝나무속으로 분류한 학명 Spiraea opulifolia L.를 명명했다. 여기서 종소명 opulifolia는 유럽에 자생하는 백당나무 즉 Viburnum opulus의 잎을 닮았다는 뜻이다. 그러다가 프랑스 식물학자인 Constantine Samuel Rafinesque(1783~1840)가 이 수종을 모식종으로 삼아서 1838년 산국수나무속을 신설하면서 Physocarpus opulifolius Raf.라는 학명을 발표했다. 그런데 나중인 1879년에 러시아 식물학자인 Karl Maximovich(1827~1891)가 아무르강 유역에서 발견한 우리 자생종 산국수나무를 명명하면서 동시에 린네가 조팝나무속으로 명명하였던 Spiraea opulifolia L.도 산국수나무속으로 변경하여 재명명한 학명 Physocarpus opulifolius (L.) Maxim를 발표하게 된다. 여기서 1838년 라피네스크가 명명한 학명과 중복되는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하지만 라피네스크는 독단적으로 명명하는 형식을 취하였기에 1838년으로 기산되지만 막스모비치는 린네의 묘사와 종소명을 인용하여 재명명한 것이기에 1753년으로 기산점이 거슬러 올라가 선순위가 되어 적명이 된다.

 

유럽백당나무

 

 

 

 

이 수종은 미국과 캐나다 중부에서 대서양 연안까지 북미 대륙 동부지역에 널리 분포하므로 이를 현지에서는 Eastern ninebark 또는 Atlantic ninebark라고 부른다. 그리고 워낙 널리 분포되고 재배되는 보편적인 수종이므로 common ninebark라고도 불린다. 이를 우리나라에서는 양국수나무라고 부르는데 신중하지 못한 명명으로 판단된다. 미국도 서양(西洋)의 범주에 들어가기는 하지만 유럽에는 없고 북아메리카 대륙에만 자생하는 수종을 양(洋)이라고 붙이기보다는 차라리 미국(美國)이라고 붙였으면 더 명확하다는 생각이 든다. 미국낙상홍 또는 미국수국 등과 같이 말이다. 그리고 이왕 양(洋)이라고 붙이더라도 양산국수나무라고 했어야 마땅하다. 국수나무와 산국수나무는 엄연히 다른 속임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두리뭉실하게 이름을 붙이다니 과학하는 사람의 자세가 아니어 혼란만 조장하게 된다. 식물학도 어디까지나 과학이 아니던가? 이런 점에서는 마치 모법답안 같은 일본의 명칭인 아메리카 테마리시모츠케 (アメリカ テマリシモツケ)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원산지보다는 식물의 특성을 나타내는 이름인 무모풍상과(无毛风箱果)라고 불러 특성 파악에 도움을 준다. 이 수종은 산국수나무와는 달리 털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양국수나무는 북미 동부 대서양변이 원산지(녹색)이지만 유럽과 아시아에 널리 보급되었다(자주색).

 

 

 

양(산)국수나무는 키가 3m인 점과 산방화서인 꽃차례나 골돌과의 모습 등에서 자생종 산국수나무와 매우 유사하지만 나름대로 다른 점은 분명 있다. 우선 잎의 모양이 좀 다르다. 산국수나무는 잎의 가로세로의 길이가 거의 비슷하지만 양국수나무는 길이가 너비보다 길어 길쭉한 모습을 나타낸다. 그리고 가장자리 거치가 다소 둔하여 산국수나무만큼 거칠지 않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차이점은 기부가 대부분 하트형인 산국수나무와는 달리 쐐기형이거나 둔한 쐐기형인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그리고 양국수나무는 꽃자루와 꽃받침 그리고 열매에 털이 없거나 있더라도 극히 드물게 있어 성상모가 밀생하는 산국수나무와 구분 된다. 이 양(산)국수나무는 산국수나무속 수종들 중에서는 가장 널리 보급된 인기 정원수인 만큼 매우 다양한 원예품종들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그 중 두 종이 등록되어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다음 게시글에서 다루기로 한다. 그리고 참고로 국내 우리 주변에서 보이는 양국수나무는 대부분 원예품종이라서 원종은 보기 힘든다는 사실이다.  

 

잎의 기부가 하트형이 아닌 쐐기형이고 열매에 털이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

 

 

등록명 : 양국수나무

학   명 : Physocarpus opulifolius (L.) Maxim.

분   류 : 장미과 산국수나무속 낙엽 관목

원산지 : 북미 동부 미국 캐나다

영어명 : common ninebark, Eastern ninebark, Atlantic ninebark

중국명 : 무모풍상과(无毛风箱果)

일본명 : 아메리카 테마리시모츠케(アメリカテマリシモツケ)

수   고 : 1~3m

줄   기 : 개전 아치형 무모

탁   엽 : 난형 6~10 x 1.5~2.5mm 첨두

잎자루 : 1~3cm 난형 도란형

잎크기 : 6~8.5 x 4~7cm

잎모양 : 기부 설형 절형 3~5결각 불규칙 거치 둔두 원두 장상맥

잎면모 : 근무모 뒷면 희모

꽃차례 : 반구형 산방화서 30~50송이  지름 5cm

포   편 : 타원형 숟갈형 마름모형 5 x 2.5mm 첨두 3꼭지 부정제 거치

꽃자루 : 1~2cm 대개 성상모

꽃크기 : 7~10mm 지름

꽃받침 : 배상 1.5~2mm 무모 희성상모

악   편 : 연녹색 백색 중심부 암녹색 삼각형 1.5~2.5mm 피침형 선거치 성상모

화   판 : 백색 연분홍 광타원형 둥근형 4~5 x 4~5mm

수   술 : 꽃잎과 같거나 조금 김 약 자색

심   피 : 3~5개 기부합생 희소성상모 근무모

골돌과 : 기부합생 량적색 적갈색 난형 5~10mm 희성상모 근무모 숙존 암술대 4mm

종   자 : 2(~5) 2mm

염색체 : 2n = 18

개화기 : 5~6월

결실기 : 8~10월

내한성 : 영하 43도

 

양국수나무
양국수나무
양국수나무
양국수나무
양국수나무
양국수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