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갈매나무과

2105 좀갈매나무 – 잎이 가장 작고 어긋나는 한라산 특산수종

낙은재 2025. 3. 26. 07:33

좀갈매나무의 암수 꽃 - 출처 : 제주의 소리

 

 

좀갈매나무는 우리나라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우리나라 특산 수종이다. 키가 겨우 1m 남짓한 이 관목을 처음 발견한 서양인은 1898년 조선에 도착하여 1902년부터 1915년까지 제주도 남제주군 서흥리 성당에서 재직하는 등 우리나라에서 선교활동을 하다가 대구교구로 옮겨서 거기서 생을 마감한 한국명이 엄택기인 프랑스선교사 겸 식물채집가인 에밀 다겟(Émile Taquet, 1873~1952)신부이다. 그가 1907년 한라산에서 채집한 표본을 본국으로 보내 프랑스 성직자이자 식물학자인 Augustin Abel Hector Léveillé (1864~1918)와 Eugène Vaniot(1845~1913)가 당초에는 장미과 Prunus 즉 벚나무속으로 판단하여 1909년 Prunus taquetii H.Lév. & Vaniot라는 학명을 발표했다. 여기서 종소명 taquetii는 채집자인 다겟(Taquet) 신부를 말한다. 그는 한라산 관음사 부근에서 우리 자생종 제주왕벚나무를 발견하여 서양에 처음 알린 사람이기도 하다. 학명 명명자들은 그 당시 일본에서 활동하던 Urbain Jean Faurie(1874~1915)신부가 북한 Nai-Piang에서 채집한 짝자래나무 표본은 어떻게 독일 식물학자인 Camillo Karl Schneider(1876~1951)의 도움을 받아서 인지 같은 시기인 1907년에 Rhamnus schneideri H.Lév. & Vaniot라고 발표했지만 이 수종은 키도 작고 잎도 길이가 겨우 2~3cm에 불과하게 매우 작으므로 아마 같은 갈매나무속 수종이라는 것을 간파하지 못하였던 것 같다. 그러다가 1912년에 가서 갈매나무속으로 재분류하여 Rhamnus taquetii (H.Lév. & Vaniot) H.Lév.라고 명명하게 된다. 그래서 이 학명이 1921년 일본 식물학자인 모리 다메조(森爲森, 1884~1962)가 펴낸 조선식물명휘(朝鮮植物名彙)에 일본 이름 사이쥬쿠로츠바라(サイシュウクロツバラ) 즉 제주흑장미(済州黑薔薇)와 함께 기록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갈매나무를 흑매의(黑梅擬)라고도 하지만 흑장미(黑薔薇)라고도 한다. 이후 현재까지 쭉 이 학명을 사용하게 되는데 1937년 정태현박사 등 우리나라 학자들에 의하여 발간된 조선식물향명집에서는 우리 이름 좀갈매나무를 처음으로 붙였다. 키도 작고 잎도 작기 때문에 좀이라는 접두사가 붙은 것이다.

 

다겟신부가 1907년 채집하여 프랑스로 보낸 표본

 

 

 

한라산 1,300m 이상 고지대에서 발견되는 좀갈매나무는 잎이 호생한다는 점에서 짝자래나무나 털갈매나무와 비교되지만 잎이 워낙 작아서 길이가 8cm나 되는 두 종들과 쉽게 구분이 된다. 오히려 이 두 종들보다는 잎이 작다는 점에서 중국에서는 소엽서리(小叶鼠李)라고 불리는 돌갈매나무와 비슷한 면이 많다. 하지만 돌갈매나무는 잎의 길이가 최대 4cm이라서 더 크고 잎차례도 마주나기이므로 어긋나기 하는 좀갈매나무와 구분이 된다. 다만 돌갈매나무의 경우 가끔 호생하는 경우도 있어 주의를 요한다.

 

 

돌갈매나무의 잎인데 잎에 털이 거의 없고 마주나기가 기본이며 좀더 크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등록명 : 좀갈매나무

학   명 : Rhamnus taquetii (H.Lév. & Vaniot) H.Lév.

분   류 : 갈매나무과 갈매나무속 낙엽 관목

원산지 : 제주도 특산 수종

일본명 : サイシュウクロツバラ(済州黑薔薇)

중국명 : 세엽원엽서리(细叶圆叶鼠李)

수   고 : 0.9~2.2m

줄   기 : 종렬 회갈색 흑갈색 소지 호생 회갈색 모 탈락 피목 근무모

가   시 : 소지 정단

동   아 : 인편 회갈색 무모

엽   편 : 호생, 후지질

잎모양 : 광타원형 도란형 둔두 원두 둔거치 예저 둔저

잎크기 : 1.8∼3.2 × 1.4∼1.9cm

잎색상 : 표면 녹색 모 이면 연록색 모

잎면맥 : 4~5쌍

잎자루 : 6~14mm 연록색 적자색 모

꽃특징 : 단성, 자웅이주 연록색 무모 4수성 삼각형

꽃자루 : 3~8mm

열   매 : 핵과 근구형 5~6 x 6~7mm 암자색 종자 구

개화기 : 5월

결실기 : 9∼10월

내한성 : 한라산 1,300m 이상 고지대에서 자생하므로 중부지방 월동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추정됨 

 

 

좀갈매나무 - 출처 : 국생정
좀갈매나무 - 출처 : 제주의 소리
좀갈매나무는 잎 양면에 털이 있다 - 출처 : 한반도수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