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 335

2101 참갈매나무 – 황당하고 민망한 이름의 유래

참갈매나무라고 우리나라 거의 전역에서 자생하는 관목이 있다. 참이란 거짓이 아닌 진짜를 뜻하며 품질이나 품위가 썩 좋은 것을 나타내는 순수 우리말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갈매나무 9종 중에서 왜 이 수종을 특별히 참갈매나무라고 하는지에 대하여는 설명하는 사람이 없다. 갈매나무속 대표적인 수종도 아니고 갈매나무보다 특별하게 뛰어난 용도나 특징이 있는 수종도 아닌데 말이다. 여하튼 참갈매나무는 학명을 현재 Rhamnus ussuriensis J.J.Vassil.로 표기하여 등록되어 있다. 이는 1940년 러시아 학자 Vassiljev, Ja. Ja.가 명명한 것으로 종소명 ussuriensis는 표본을 우수리강 유역에서 발견하였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우수리강은 극동러시아 블라디보스톡 위쪽 지역..

2100 돌갈매나무 - 작은잎갈매나무

돌갈매나무는 국내서는 강원도 백두대간 산야와 북한 평안도와 함경도에서 자생하는데 석회암지대에서 발견되기에 돌갈매나무라고 부른다. 이 수종은 우리나라 외에도 북으로는 만주와 러시아 그리고 남으로는 태국 북부와 타이완에서도 발견된다고 한다. 러시아 식물학자인 Nicolai Stepanowitsch Turczaninow (1796~1863)에 의하여 1830년 러시아 Dahuria에서 처음 채집된 표본을 대상으로 러시어 식물학자인 Alexander Georg von Bunge(1803~1890)가 1833년 학명 Rhamnus parvifolia Bunge를 발표하였는데 여기서 종소명 parvifolia는 잎이 작다는 뜻이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이를 소엽서리(小叶鼠李)라고 부른다. 이 수종이 자생하지는 않지만..

2099 염색갈매나무 – 지중해 원산 포복성

염색갈매나무라고 지중해 연안 이베리아반도와 남부 프랑스 및 이탈리아에서 자생하는 포복성 특성을 가진 키가 2m까지 자라는 관목이 있는데 그 학명 Rhamnus infectoria L.는 린네가 1767년에 명명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infectoria는 염료를 뜻한다. 원산지에서 이 수종의 덜 익은 열매로는 sap green이라는 암록색 염료를 추출하고 성숙한 열매로는 Dutch pink라는 연한 핑크색이나 황색 염료를 추출하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그래서 이를 영어로  Dyer's Buckthorn이라고 부르며 중국에서는 염료서리(染料鼠李)라고 부른다.  이 수종은 포복성 특성을 가지고 있어 넓은 정원석이나 암벽 옆에 심어서 타고 올라가게 심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등록명 : 염색갈매..

2098 아마갈매나무 – 유럽갈매나무 European buckthorn

전세계 138종으로 구성된 갈매나무속의 모식종은 유럽 거의 전역과 북아프리카와 중동 그리고 서시베리아와 중국 신장 등 매우 광범위한 지역에서 자생하는데 학명 Rhamnus cathartica L.는 식물분류학이 창설되면서 린네가 1753년 명명한 것이다. 속명은 가시가 있는 관목이라는 뜻이고 종소명 cathartica는 배출하다라는 뜻으로 이 수종의 수피와 잎 열매를 설사제 즉 변비약으로 썼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이 수종을 윤장통변(润肠通便)의 효능이 있다고 만성 변비약으로 쓰기에 약서리(葯鼠李)라고 부른다. 서리(鼠李)는 쥐색 작은 열매에서 온 갈매나무의 이름이다. 서양에서는 이를 일반적으로 그냥 buckthorn 또는 common buckthorn이라고 부르거나 European ..

2097 갈매나무 - 갈매색 염료

갈매나무는 우리나라와 동북3성을 비롯한 중국의 북방지역 그리고 몽고와 극동러시아에서 자생하며 일본에는 원종은 없고 변종 하나만 동북지방에 자생한다. 갈매나무의 학명 Rhamnus davurica Pall.는 러시아 식물학자인 Peter Simon Pallas(1741~1811)가 1776년 명명한 것으로 종소명 davurica는 몽고와 러시아 국경지역인  Dauria(达斡尔)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다양한 쓰임새가 있는 이 수종을 매우 귀하게 여기는 중국에서는 이를 서리(鼠李) 우리자(牛李子) 여아차(女儿茶) 노관안(老鹳眼) 대록(大绿) 취리자(臭李子) 등 매우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며 서양에서는 이를 Dahurian buckthorn이라고 부른다. 서양에서는 갈매나무속 수종들을 buckthor..

2096 갈매나무의 어원

갈매나무는 우리 자생종으로 장미목(Order Rosales) 갈매나무과 갈매나무속으로 분류되는 낙엽 소교목이다. 갈매나무과(family)는 전 세계적으로 65속(genus) 1,222종(species)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우리나라는 현재 11속 32종만 등록되어 있는데 모두 다 목본이다. 등록된 수종은 겨우 32개에 불과하지만 11개 속으로 구성되어 있어 다양한데 그 중에서 대추나무속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 일반인들에게는 매우 생소한 이름들이 많아 흥미를 끈다. Rhamnaceae과 즉 갈매나무과는 모식속인 갈매나무속과 국내에 흔한 대추나무속을 제외한 나머지 먹넌출속 망개나무속 헛개나무속 까마귀베개속 상동나무속 묏대추나무속 등 6개 속은 비록 우리 자생종이라고는 하지만 무척 생소한 이름이다. 나머지 외래..

2095 고추, 다양한 명칭과 전래 과정

고추의 수많은 품종가지과 탐구의 마지막으로 목본은 아니지만 우리 식생활에 너무나 중요한 채소인 고추에 대하여 간단하게 파악하려고 들여다 보니 이건 완전히 잘못 생각하고 있었음을 곧 알게 된다. 이제 보니 고추는 결코 간단하게 후딱 파악될 식물이 전혀 아니다. 몇 날 며칠 이런저런 자료를 찾아 봐도 쉽게 감이 잡히지 않는다. 그 이유는 품종이 워낙 많고 나라마다 이름이 제각각 다른 데다가 한중일 3국에 고추가 도입된 경로가 명확하지 않아서 논란에 있기 때문이다. 모두 남북 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고추속 즉 Capsicum속은 전세계 모두 43개 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우리 인류가 식용하는 고추는 그 중 5종이 대부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재배하는 단 한 종 Capsicum annuum 즉 ..

2094 토마토

가지과로 분류되는 작물들은 유난히 아메리카 대륙이 원산지인 경우가 많다. 앞에서 본 가지와 감자 그리고 천사의나팔이 그랬다. 이번에 파악할 토마토 또한 그들과 마찬가지로 남미 페루가 원산지이다. 토마토도 신대륙으로 진출한 유럽인들에 의하여 발견되어 이른바 콜럼버스의 교환 즉 Columbian exchange의 일환으로 16세기 초반 스페인에 처음 도입되었다고 한다. 거기서 곧 중부 유럽으로 퍼지고 그 당시 스페인의 식민지이던 필리핀으로 보급되었으며 거기서 16세기 후반에 선교사들에 의하여 중국 광동성과 광서성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중국에는 이에 대한 명확한 기록이 없다. 일본은 네덜란드 상인들에 의하여 17세기 초에 나가사키에 처음 도입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1614년 이수광(李睟光, 15..

2093 감자와 고구마 이름이 바뀌었다.

가지과 가지속은 전 세계 무려 1232종이 분포하는 거대한 속이다. 이 중에서 우리나라에는 20종이 등록되어 있다. 가지속은 목배풍등 같은 목본도 있지만 대부분 초본인데 이 중에는 가지와 감자 그리고 토마토 등 우리 일상생활에 중요한 채소들도 포함되어 있다. 가지속은 가지과의 모식속으로 가지과를 대표한다. 그리고 동양 3국에서는 가지가 바로 가지속을 대표하는 것처럼 속과 과의 이름을 붙이지만 서양에서는 까마중을 모식종으로 삼는다. 여하튼 이번 탐구 대상인 감자는 학명을 Solanum tuberosum으로 표기하는데 속명 Solanum은 진정이나 안정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온 것으로 일부 종에 그런 진정제 성분이 있기 때문이며 종소명 tuberosum은 줄기나 뿌리의 덩이를 말한다. 그런데 이 감자가 가지나..

2092 가지와 꽃가지

가지는 가지과 가지속으로 분류되는 직립으로 자라고 가지가 갈라지는 식용 및 약용 식물로서 우리나라와 같은 온대지방에서는 일년생 초본이라고 하지만 열대지방인 원산지에서는 다년생 초본 또는 아관목이라고 한다. 가지의 원산지에 대하여는 명확하지 않지만 대부분 인도라고 인정하고 있으나 일부에서는 동남아시아 및 중국 남방지역도 포함한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인도와는 달리 5000년 전의 화석이 발견되지도 않았고 야생에서 자생지가 발견되지도 않아서 자국이 원산지라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재배기록은 아마 중국 남북조시대인 533~544년에 북위(北魏, 386~534)의 산동성 고양(高陽)태수였던 가사협(賈思勰)이 편찬한 중국 최초의 농업서인 제민요술(齐民要术)에 가지의 재배방법과 식용방법에 관하여 기록된 것이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