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갈매나무과

2113 줄청사조 – 줄무늬 잎맥이 뚜렷한 남방 수종

낙은재 2025. 4. 9. 07:56

줄청사조의 잎은 작고 4~6쌍의 측맥이 뚜렷하게 줄무늬로 보인다.
어린 줄기는 녹황색을 띠어 청사조라 불리는 것이다.
줄청사조의 화서는 원추화서가 아닌 총상화서이다.

 

 

 

줄청사조라고 학명 Berchemia lineata (L.) DC.로 2011년부터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록된 외래 재배식물이 있다. 이 수종은 히말라야 인근과 중국 남방 및 대만 그리고 일본의 남서제도에서 자생한다. 일찍이 유럽으로 건너갔는지 린네가 1756년에 갈매나무속으로 분류한 학명 Rhamnus lineata L.를 발표하였던 것을 스위스 식물학자인 Augustin Pyramus de Candolle (1778~1841)이 1825년 먹넌출속을 신설하면서 그 속으로 편입한 학명 Berchemia lineata (L.) DC.를 발표한 것이다. 여기서 종소명 lineata는 줄무늬가 있다는 뜻인데 가지런한 잎의 측맥이 너무 두드러지기 때문인 것이다. 남방 광동 광서 복건성에서 자생하는 중국에서는 이 수종을 철포금(铁包金)이라고 한다. 약으로 쓰는 뿌리가 겉모습은 철(鐵) 색상 즉 검은색이지만 속은 황금(黃金)색이라서 붙은 이름이다. 대만에서는 이를 소엽황선등(小叶黄鳝藤)이라고 하는데 황선등(黄鳝藤)이란 먹넌출(청사조)를 말하며 그 줄기가 황선(黃鱔) 즉 민물고기 드렁허리를 닮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이 수종의 잎은 사이즈가 2 x 1.2cm이므로 먹넌출의 13 x 7cm는 물론 청사조의 6 x 4cm보다도 훨씬 작다. 일본에서도 이 수종을 히메쿠마야나기 즉 희웅류(姫熊柳)라고 하는데 이 또한 작은 청사조(靑蛇條)라는 뜻이다. 따라서 우리 이름을 작은(잎)먹넌출 또는 작은(잎)청사조라고 붙였으면 무난하였겠지만 줄청사조라고 붙였다. 여기서 줄은 넝쿨이라는 뜻이 아닌 종소명의 lineata를 따라서 잎에 줄무늬가 있다는 뜻일진대 사실 청사조도 잎맥이 전혀 흐릿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원래 푸른 뱀 같은 줄기라는 뜻인 청사조라는 이름 자체가 썩 어울리는 이름도 아닌데 이 줄청사조의 경우도 어린 줄기는 황록색을 띠기는 하지만 녹색보다는 오히려 황색으로 느껴지는 경우가 많고 나이 든 줄기나 뿌리는 검다. 그래서 대만에서는 소엽황선등(小叶黄鳝藤)이라고 하는 것이며 중국 별명 중에는 흑(黑)이나 오(烏)가 들어간 것들이 많다.  

 

 

뿌리와 줄기가 겉은 검지만 속은 황금색이라서 중국에서 철포금이라고 부른다.

 

 

여하튼 이 수종은 거의 포복성으로 자라며 측맥이 뚜렷한 작은 잎이 무성하게 달리고 녹색에서 홍색 또는 흑색으로 익어가는 열매가 아름다워 서양에서는 조경용으로 인기가 높다. 중국에서도 잎이 고풍스럽고 작으면서도 광택이 있고 붉은 색을 띠는 줄기도 선명하며 별모양의 꽃과 예쁜 열매가 달리므로 분재용으로도 인기가 높다고 한다. 줄청사조가 먹넌출이나 청사조와 다른 점은 잎이 작고 잎맥이 뚜렷하다는 점 외에도 꽃차례가 모두 총상화서이라는 점과 개화시기는 비슷하지만 이상하게 열매가 이듬 해 4~7월에 성숙하는 먹넌출이나 청사조와는 달리 당해년 11월에 성숙한다는 점이다. 세 종 모두 달콤한 맛이 있어 식용이 가능하지만 특히 당해년에 성숙하는 줄청사초는 생식용으로 많이 활용되고 익년 여름에 익는 먹넌출이나 청사조는 과실주로 많이 활용된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줄청사조의 뿌리와 잎을 화어지혈(化淤止血) 청열진통(清热镇痛) 이폐지해(理肺止咳) 거담지통(祛痰止痛) 서간퇴황(舒肝退黄) 건위소적(健胃消积)의 약으로 사용하여 왔다. 원산지가 모두 아열대지역임에도 불구하고 내한성이 그렇게 약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노지월동 할 만큼 강하지는 않아 보인다.

 

먹넌출이나 청사조와는 달리 꽃이 진 다음 곧바로 열매가 녹색에서 자흑색으로 익어간다.

 

 

 

등록명 : 줄청사초

학   명 : Berchemia lineata (L.) DC.

분   류 : 갈매나무과 먹넌출속 반상록 덩굴성 소관목

원산지 : 히말라야 인도 동남아 중국 대만 일본

중국명 : 철포금(铁包金)

일본명 : ヒメクマヤナギ(姫熊柳)

대만명 : 소엽황선등(小叶黄鳝藤)

높   이 : 0.2~2m

줄   기 : 소지 원주상 황록색 단유모

엽   편 : 호생 지질 구원형 타원형

잎크기 : 5~20 x 4~12mm

잎모양 : 정단원형 혹 둔, 소첨두 기부원형

잎색상 : 상면녹색 하면 천록색 양면 무모

잎면맥 : 측맥 4~5(6)

잎자루 : 단 2mm미만 단유모

탁   엽 : 피침형 엽병보다 김 숙존

꽃특징 : 백색 4~5mm 무모 5기수

꽃자루 : 2.5~4mm 무모

꽃차례 : 수개 ~ 10개 밀집 정생 취산 총상화서 1~5개 족생 화서하부 액생

총화경 : 근무

화   아 : 난원형 장과우관 정단 둔

꽃받침 : 조형 협피침상 조형 정단첨 악통단 반상

화   판 : 시형 정단둔

열   매 : 핵과 원주형 란형 정단둔 5~6 x 3mm 성숙시 적자색 흑자색 화반 악통 숙존

과   경 : 4.5~5mm 당유모

화   기 : 7~10월

과   기 : 11월

내한성 : 영하 15도

용   도 : 열매 식용 근 엽 약용

 

 

작게 포복성으로 자란다.
꽃받침이나 꽃잎보다 수술과 암술이 더 길다. 5수성이다.
도감들과는 달리 열매가 거의 구형에 가까운 것도 보인다.
어린 줄기의 색상이 청색이라기보다는 황색에 가깝다.
원주형 열매
갈고리 모양으로 휘어진 줄기 - 이래서 중국의 속명 구아차(勾儿茶)속이 붙은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