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갈매나무라고 1753년 린네가 명명한 학명 Rhamnus frangula L.로 우리나라에 등록된 수종이 있는데 이 또한 산황나무와 마찬가지로 현재는 산황나무속으로 분류하여 해외에서는 모두 1768년 영국 식물학자인 Philip Miller(1691~1771)가 명명한 Frangula alnus Mill.로 표기한다. 유럽과 아프리카 그리고 중앙아시아를 거쳐서 중국 신장에까지 광범위한 지역에서 분포하는 이 수종은 1754년 밀러가 신설한 Frangula속의 모식종이기도 하다. 아직 국내서는 이 수종을 갈매나무속으로 분류하여 오리갈매나무라고 부르는데 이는 이 수종의 신학명의 종소명 alnus가 오리나무를 뜻하기 때문에 온 이름이다. 그래서 서양에서 이를 alder buckthorn이라고 일반적으로 부른다. 속명 Frangula는 영어로는 fragile 또는 brittle이라는 뜻인데 이는 가지가 잘 부러진다는 뜻이다.
당초 갈매나무속으로 분류되었던 것을 새로운 속을 창설하여 분리한 이유는 이 수종은 양성화인데다가 가시도 없고 종자에 구(홈)도 없으며 꽃은 5수성이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동아에 인편이 없고 융모로 감싸여 있기 때문에 여러 모로 다른 점이 많기 때문이다. 전 세계 산황나무속 수종들은 모두 50여 종이 되는데 우리 자생종은 앞에서 다룬 산황나무 하나이다. 이 수종과 산황나무의 차이점은 잎이 작고 잎에 거치가 전혀 없고 모여서 피는 꽃송이의 수가 적고 자방은 2실이고 화주는 분열하지 않는 등 차이점이 있다.
등록명 : 오리갈매나무
등록명 : Rhamnus frangula L.
정 명 : Frangula alnus Mill.
분 류 : 갈매나무과 산황나무속 낙엽 관목 소교목
원산지 : 유럽 중앙아시아 중국 아프리카
영어명 : alder buckthorn breaking buckthorn glossy buckthorn
중국명 : 欧鼠李 药炭鼠李 药绿柴
수 고 : 3~7m
줄 기 : 소지 자갈색 소단유모
가 시 : 무
동 아 : 무인편 융모
엽 편 : 지질 관타원형 모난 원형 희도란형
잎크기 : 4~11 x 2.5~6cm
잎모양 : 정단금협성 단점첨 원형 희첨예 기부관설형 근원형
잎거치 : 전연
잎색상 : 상면 심록색 무모 하면 천록색 연중맥 소단유모
잎면맥 : 측맥 매변 6~10쌍 양면 돌기
잎자루 : 1~1.9cm 단유모 후 다소 탈락
꽃차례 : 단생 혹 2~수 개 엽액 족생
꽃특성 : 양성화 5기수 무모
꽃자루 : 5~10mm
꽃받침 : 내면정단 훼상 돌기
꽃부리 : 원형 정단 미요 화반 박 배상
자 방 : 구형 2실 매실 1배주
화 주 : 불분렬 화두정단 미요
열 매 : 핵과 구형 지름 6~8mm 성숙시 홍색 후 자흑색 2개 분핵 매핵 1종자
과 경 : 7~10mm
종 자 : 무구(홈)
개화기 : 4~7월
결실기 : 6~9월
내한성 : 영하 40도
'기타 과 식물 > 갈매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12 먹넌출과 청사조(靑蛇條) (6) | 2025.04.06 |
---|---|
2109 산황나무 - 갈매나무속이 아닌 산황나무속 (2) | 2025.03.30 |
2108 백석 시인에게 갈매나무는 이런 의미이다. (8) | 2025.03.28 |
2107 나카하라갈매나무 (0) | 2025.03.28 |
2106 연밥갈매나무 - 중국 동록(凍綠)에 통합될 처지에 있는 특산식물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