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식나무
식나무와는 달리 작은 관목은 아니다.
우리나라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식나무속으로 등록된 8개 수종 중 마지막으로 중국식나무를 알아본다. 식나무속은 1783년 식물분류학을 창설한 린네의 직계 제자인 툰베리가 일본에 와서 발견하고 일본 현지 이름인 아오키바(靑木葉)로 속명 Aucuba를 명명하였지만 사실은 전세계에 분포하는 식나무 10종 모두가 중국에 자생하므로 중국이 본고장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국에서는 식나무 중 가장 보편적인 수종은 바로 우리가 중국식나무라고 하며 학명 자체도 중국 식나무라는 뜻을 가진 Aucuba chinensis인데 중국에서는 이를 도엽산호(桃叶珊瑚)라고 한다. 복사나무와 같은 잎을 가진 나무에서 붉은 산호을 닮은 열매가 달리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나머지 식나무속 나무들에 대하여는 xx도엽산호 또는 xx산호라고 부른다. 하지만 유독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도 자생하는 식나무에 대하여는 일본산호라는 뜻인 동영산호(东瀛珊瑚)라고도 부르기는 하지만 중국 정명은 특이하게 청목(青木)이라고 하는데 이는 일본 이름 아오키(靑木)의 영향을 받은 것 같다고 앞에서 751번 게시글에서 언급한 바 있다.
중국에서는 주로 아미산 주변에서 자생하는 중국식나무의 아종을 아미도엽산호(峨眉桃叶珊瑚)라고 부르며 별명으로 청피수(青皮树)라고 불렀고 원종인 도엽산호는 식남수(植楠树)라고도 불렀으며 이들의 잎을 천각판(天脚板)이라고 하며 청열해독(清热解毒)과 소종지통(消肿止痛)용 약으로 사용하여 그 내용이 우리나라와 일본에도 전해졌다. 그래서 천각판이라는 약명이 우리나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의 식나무편 도감에도 등장한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지금도 천각판이란 도엽산호 즉 식남수(植楠树)의 잎이라고 설명을 한다. 출전은 아미약식(峨嵋药植)이라고 하는데 이 아미약식의 구체적인 정보는 어디에서도 안 보인다. 여하튼 중국의 도엽산호라는 이름의 출전은 1620년 편찬된 여남포사(汝南圃史)이며 그 이명인 식남수(植楠树)는 1789년 청나라 건륭 54년 유구국(琉球国) 출신의 학자 오계지(吴继志)가 유구제도(琉球諸島)의 식물을 조사하여 편찬한 질문본초(质问本草)에 의한다. 따라서 바로 이 식남수가 우리나라의 식나무라는 이름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만병초가 많이 자생하는 해발 3,099m의 아미산은 식물이 무려 3천 1백여 종이 자생하는 식물의 보고이다.
아미도엽산호(峨眉桃叶珊瑚)
중국식나무는 1861년 영국 식물학자인 George Bentham(1800~1884)에 의하여 홍콩에서 채집된 표본에 의하여 Aucuba chinensis로 명명되었다. 과거 중국에서는 중국식나무와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도 자생하는 식나무를 구분하지 않았을 정도로 둘간의 차이점이 뚜렷하지는 않는 것 같아 구분하기가 쉽지 않아 보이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중국식나무는 관목의 범주를 벗어나 6m 정도까지 자라며 심지어는 12m까지 자라기도 하는 소교목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꽃 색상이 식나무는 암자색 또는 자갈색으로 자색이 강하지만 중국식나무는 자홍색이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 외에도 잎의 겉면에 광택이 있는 식나무에 반하여 중국식나무는 심록색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이 중국식나무는 중국 남부나 대만 등 주로 아열대지방의 해발 1,000m 이하 지역에서 자생하므로 내한성이 강하지 않아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는 노지월동이 불가능해 보인다.
등록명 : 중국식나무
학 명 : Aucuba chinensis Benth.
분 류 : 가리아과 식나무속 상록 소교목
수 고 : 3~6m (최대 12m)
원산지 : 중국, 대만, 베트남
중국명 : 도엽산호(桃叶珊瑚), 별명 - 식남수(植楠树)
일본명 : 타이완아오키(タイワンアオキ), 시나아오키(シナアオキ)
성 별 : 자웅이주
내한성 : 영하 15도
중국식나무
중국식나무
중국식나무
중국식나무
중국식나무
중국식나무
중국식나무
중국식나무 암꽃
중국식나무 수꽃
왼쪽 중국식나무 암꽃 오른쪽 식나무 암꽃
중국식나무 꽃이 밝고 홍색이 더 강하다.
'기타 과 식물 > 가리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762 가리아 엘립티카 '제임스 루프' (0) | 2019.07.16 |
---|---|
761 가리아 엘립티카 - 겨울 정원의 인기 수종 (0) | 2019.07.16 |
759 식나무 '골든 걸' (미등록종) (0) | 2019.07.12 |
758 식나무 '로자니에' - 중부 노지 월동 가능성이 높은 미등록 품종 (0) | 2019.07.11 |
757 식나무 '나카푸' = 식나무 '픽투라타' (0) | 2019.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