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캠밸목련의 학명 Magnolia campbellii subsp. mollicomata (W.W.Sm.) Johnstone는 원래 스코틀랜드 식물학자 William Wright Smith(1875-1956)가 중국과 미얀마의 접경지대인 운남성 Salween강과 Shweli강 즉 중국명으로는 노강(怒江)과 서려강(瑞丽江) 분기점 여러 지점에서 운남지역 식물 채집으로 유명한 스코틀랜드 식물채집가 George Forrest(1873~1932)가 채집한 표본을 대상으로 1920년에 꽃자루에 털이 많다고 Magnolia mollicomata W.W. Sm.라고 명명한 것을 1955년에 영국 식물학자 George Horace Johnstone (1882-1960)이 캠밸목련의 아종으로 편입하여 명명한 것이다. 같은 해인 1955년에 영국의 식물학자이자 식물탐험가인 Frank Kingdon-Ward(1885~1958)는 이를 캠밸목련의 변종으로 봐서 Magnolia campbellii var. mollicomata (W.W. Sm.) F.S. Ward라고 명명한다. 이때 무슨 이유인지 F.K. Ward가 되어야 할 저자명이 F.S. Ward로 기록되어 있다. 여하튼 학자들 간에는 아종보다는 변종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다 더 적합하다는 평을 듣기도 하였지만 지금 현재는 세계 거의 모든 학자들이 원종인 캠밸목련과의 차이점이 뚜렷하지 않기에 원종에 통합하여 분류하고 있다. 그 이유를 살펴보자.
첫째 캠밸목련은 종자 번식하면 최초개화적령이 유난히 높아 15~20년이나 걸리는 것에 반하여 이 털캠밸목련은 9~12년이 소요되어 거의 절반에 가깝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꽃 색상이 캠밸목련은 선명한 장밋빛 분홍색인데 반하여 털캠밸목련은 자색을 띠는 핑크색이라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셋째 꽃자루에 털이 많다고 최초 명명자 스미스경이 묘사하고 그렇게 종소명도 붙였지만 나중에 G.H. Johnstone은 부탄 등지에서 채집한 캠밸목련에서도 그런 특징이 보였다고 이 차이점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 대신에 G.H. Johnstone은 1월 경 꽃망울의 외부 비늘이 떨어진 다음에 보이는 모습이 캠밸목련은 도톰한 난형이지만 털캠밸목련은 밑은 길쭉한 사각형이고 위 끝은 뾰족하다는 차이점을 보인다는 것이 네 번째 차이점이 된다. 하지만 많은 학자들이 과연 야생에서도 위에서 언급한 그런 특징들을 뚜렷하게 지속적으로 보일 것인지에 대하여 의문을 품어 현재는 원종에 포함하여 분류하는 것이 대세인 것 같다.
등록명 : 털캠밸목련
정 명 : 캠밸목련
등록명 : Magnolia campbellii subsp. mollicomata (W.W.Sm.) Johnstone
이 명 : Magnolia mollicomata W.W. Sm.
정 명 : Magnolia campbellii Hook.f. & Thomson
신학명 : Yulania campbellii (Hook.f. & Thomson) D.L.Fu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낙엽 대교목
신분류 : 목련과 옥란속 낙엽 대교목
원산지 : 중국 등 히말라야 인근
수 고 : 30m 최대 45m
잎크기 : 10~23(33) x 4.5~10(14)cm
꽃크기 : 지름 15~35cm
취합과 : 원주형, 직립 후 하수, 11~20cm
개화기 : 3~5월인 원종보다 약간 늦음
결실기 : 6~7월
내한성 : 영하 12도
'목련과 옥란속 > 캠밸목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98 캠밸목련 '에델 힐리어' (0) | 2020.10.10 |
---|---|
1097 캠밸목련 '에릭 발터' (0) | 2020.10.10 |
1096 캠밸목련 '찰스 래필' (0) | 2020.10.10 |
1095 캠밸목련 '베티 제슬' (0) | 2020.10.10 |
1093 캠밸목련 - 중국 인도 시킴 등 히말라야 원산인 대교목 (0) | 2020.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