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의 어느 식물이던 그 실체를 파악할 때 그 식물의 특성을 상세하게 나열한 도감이 가장 정확은 하겠지만 그 복잡한 특징 묘사는 읽을 때는 그런가 싶어도 지나가면 금새 잊어버린다. 그래서 낙은재는 항상 어느 식물이던 그 이름이 지어진 유래를 파악하려고 노력하여 왔다. 많은 경우는 원산지인 그 나라에서도 잘 알려지지 않은 이름 유래를 어렵게 파악하려고 애를 쓰는 등 여기에 집착하고 있다. 그 이유는 어떤 이름이던 새로운 이름을 붙일 때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을 것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원산지나 학명 그리로 그 식물을 도입한 이 나라 저 나라에서 붙인 이름의 유래만 파악하여도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대부분 나오게 되며 특히 가장 중요한 것은 그렇게 파악하면 기억이 오래 간다는 것이다.
이 낙엽성 대교목의 우리 이름 캠밸목련은 학명 Magnolia campbellii에서 온 것이 분명하다. 이 학명은 영국 식물지리학자인 Joseph Dalton Hooker(1817~1911)와 그의 친구인 식물학자 Thomas Thomson(1817~1878)에 의하여 1855년 후커의 시킴 왕국 식물탐사에 동행한 의사 겸 식물학자인 Dr. Archibald Campbell(1805~1874)의 이름으로 명명한 것이다. 캠밸박사는 스코틀랜드 태생으로 인도 북동쪽 네팔과 부탄의 가운데 위치하는 다르질링(Darjeeling)에서 그 당시로는 거의 불치병인 폐질환 등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장기 치료하는 요양병원의 책임자로 1840부터 1862까지 무려 22년간 근무한 사람이다. 그 사이 벵갈지역의 민속과 식물 그리고 종교 등을 연구한 글을 The Asiatic Society의 저널에 발표하여 널리 알린 사람이다. 다르질링은 해발 2000m 고지대로서 한여름에도 시원하고 겨울에도 영하로 잘 내려가지 않은 온화한 기후 때문에 휴양지로 유명한 도시이다. 특히 다르질링 홍차라고 불리는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홍차는 품질이 좋아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그리고 그 당시는 독립된 국가이었던 시킴은 1950년부터 영국 보호국이 되었다가 1975년 주민 투표에 의하여 인도의 22번 째 주로 편입되었다. 그러니까 캠밸목련은 영국 식물학자 후커가 캠밸박사와 함께 시킴 왕국 식물 탐사 중에 발견하였다는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이렇게 캠밸목련은 앞에서 본 다른 대부분의 목련이 중국이 원산지이었던 것에 반하여 이 수종은 중국뿐만 아니라 히말라야를 둘러 싼 네팔과 부탄 인도 시킴 등에서도 자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중국에서 처음 발견된 것이 아니라 인도에서 서양인에 의하여 최초 발견된 것이다. 이는 동인도회사 때문에 유럽인들의 인도 진출이 중국보다 빨랐기 때문이다. 중국에서는 운남성 서북부와 서장성 즉 티벳의 남부 해발 2500~3500m 고지대에서 자생하기 때문에 전장목란(滇藏木兰)이라고 하다가 최근에 옥란속으로 분리하면서 전장옥란(滇藏玉兰)으로 정명을 변경하였다. 중국에서 전(滇)은 운남성의 별칭인데 과거 그 지역에 전족(滇族)이 거주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운남성에 있는 면적 1억 평이 넘는 거대한 호수 곤명호(昆明湖)를 전해(滇海) 또는 전지(滇池)라고 하는 것이다. 장(藏)은 당연히 서장(西藏)의 간칭으로 티베트를 말한다. 결국 이 캠밸목련은 히말라야를 둘러 싼 고지대에서 자생한다고는 하지만 영하 8도 이하를 경험하지 못하는 지역에서 자랐으므로 내한성이 여타 목련에 비하여 약하여 영하 12도 정도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는 이 아름다운 목련을 직접 볼 수 없다는 것이 아쉽다.
캠밸목련은 키가 30m 심지어는 최대 45m까지 자라는 거대한 대교목이다. 키만큼이나 꽃도 거대하여 지름이 15~25cm 최대 35cm에 달한다. 화피편이 12~16장인 향기가 좋은 겹꽃이 잎이 나기 전에 피는데 꽃 색상이 심홍색, 분홍색, 자홍색이거나 백색으로 다양하다. 잎도 최대 33 x 14cm로 작은 것은 아니지만 키나 꽃의 크기에 비하여는 아주 큰 것은 아니다. 다만 특이한 것은 늦겨울에 봄이 오기도 전에 꽃을 피운다는 것이다. 그래서 서리로부터 자유로운 지역에서는 심지어 12월부터 3월까지 개화한다고 하는데 다른 지역에서는 3~5월에 개화한다고 한다. 늦겨울에 개화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화피편들이 넓게 쫙 벌어지는 모습을 보이지만 가장 안쪽 화피편(꽃잎)은 직립하여 암수술을 감싸 눈비와 서리로부터 보호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다. 많은 원예종들이 개발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 등록된 원예품종만 12종이나 되고 털캠밸목련이라는 아종도 하나 등록되어 있다. 그리고 캠밸목련의 다른 종과의 교잡에도 사용되는데 그 중에 백목련과 교잡하여 탄생한 Magnolia x veitchii가 비치목련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다. 이 목련을 구입시는 반드시 삽목이나 접목을 택해야 한다. 실생의 경우는 15~20년이 되어 키가 7m 이상 자라야만 최초 개화를 하기 때문이다.

등록명 : 캠밸목련
학 명 : Magnolia campbellii Hook. f. & Thomson
신학명 : Yulania campbellii (Hook.f. & Thomson) D.L.Fu
분 류 : 목련과 목련속 낙엽 대교목
신분류 : 목련과 옥란속 낙엽 대교목
원산지 : 히말라야 인근 중국 네팔 부탄 인도
중국명 : 전장옥란(滇藏玉兰), 전장목란(滇藏木兰)
영어명 : Campbell's magnolia
수 고 : 30(45)m
잎크기 : 10~23(33) x 4.5~10(14)cm
꽃크기 : 지름 15~35cm, 화피편 12~16편
취합과 : 원주형, 직립 후 하수, 11~20cm
개화기 : 3~5월
결실기 : 6~7월
내한성 : 영하 12도


















'목련과 옥란속 > 캠밸목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98 캠밸목련 '에델 힐리어' (0) | 2020.10.10 |
---|---|
1097 캠밸목련 '에릭 발터' (0) | 2020.10.10 |
1096 캠밸목련 '찰스 래필' (0) | 2020.10.10 |
1095 캠밸목련 '베티 제슬' (0) | 2020.10.10 |
1094 털캠밸목련 - 지금은 원종에 통합된 캠밸목련의 아종 (0) | 2020.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