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진달래과/산앵도나무아과

1716 아가리스타 포풀리폴리아 = 레우코토이 왈테리

낙은재 2022. 2. 19. 15:01

아가리스타 포풀리폴리아
아가리스타 포풀리폴리아
아가리스타 포풀리폴리아

 

우리나라 국표식에는 진달래과에 아가리스타 포풀리폴리아와 레우코토이 왈테리가 각각 아가리스타속과 레우코토이속으로 등록되어 있으나 국제적으로는 모두 한결같이 후자를 전자에 통합시켜 하나로 분류한다. 따라서 레우코토이 왈테리는 결과적으로 중복 등록된 것이므로 삭제되어야 마땅하다. 아가리스타속은 우리나라에는 단 한 종 아가리스타 포풀리폴리아만 등록되어 있어 매우 생소한 속이지만 전세계적으로는 모두 30여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프리카와 아메리카대륙에 분포한다. 아가리스타속은 스코틀랜드 식물학자인 David Don(1799~1841)이 1834년에 신설한 속으로 속명 Agarista는 그리스 역사 속 시키온의 통치자 클레이스테네스의 딸인 아가리스테(Agariste, BC560년경)의 이름에서 온 것으로 그녀의 자손들 중에는 그리스 민주주의를 발전시킨 페리클레스(Pericles, 기원전 495 – 429년)나 클레이스테네스 등 유명 정치인들이 많다.

 

아가리스테는 페리클레스의 어머니가 아니고 외할아버지의 어머니 즉 외증조모이다. 페리클레스의 연설 장면

 

플로리다주와 조지아주 그리고 사우스 캐롤라이나주 등 미국 남동부에 분포하는 이 수종은 원래 프랑스 자연학자인 Jean-Baptiste Pierre Antoine de Monet, chevalier de Lamarck (1744~1829)가 장지석남속으로 분류하여 Andromeda populifolia Lam.라는 학명을 1783년에 부여하였던 것을 독일 식물학자인 Georg Heinrich Leopold Dippel (1827~1914)에 의하여 레오코토이속으로 재분류되어 1889년에 Leucothoe populifolia (Lam.) Dippel라고 명명되었으나 최종적으로 미국 의 저명한 식물분류학자이자 플로리다대학 교수인 Walter Stephen Judd (1951~ )가 1979년에 아가리스타속으로 분류하여 현재의 학명 Agarista populifolia (Lam.) Judd를 부여한 것이다.  종소명 populifolia는 이 수종의 잎이 포플라 즉 사시나무속 수종들의 잎을 닮았기 때문에 붙은 것이다. 한편 이 학명의 유사종으로 흡수된 레우코토이 왈테리   즉 Leucothoe walteri (Willd.) N. C. Melvin는 미국 생태학자인 Norman C. Melvin III (1950~ )가 1977년에 원래 장지석남속으로 명명되었던 것을 레우코토이속으로 변경하여 재명명한 학명인데 인용한 기초 학명이 불분명하여 이를 합법적인 학명으로 인정하지 않는 학자들도 많다.

 

진달래과 산앵도나무아과(亞科)로 분류되는 이 수종은 다시 리오니아속 그리고 마취목속과 더불어 리오니아족(族, tribe)으로 세분된다. 따라서 이들과 가장 가까운 사이가 되는데 다른 수종들과 차이점은 잎에 그물망맥이 있고 가장자리 거치가 거의 없다는 점이고 삭과인 열매가 성숙한 다음 과판(심피)의 접합부위인 격막이 벌어지는 포간열개(胞間裂開) 즉 septicidal dehiscence가 아닌 과판의 중륵 즉 심피의 배부 중앙이 벌어지는 포배열개(胞背開裂) 즉 loculicidal dehiscence이라는 점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길쭉한 항아리형 꽃이 모인 총상화서도 독특하고 수술의 꽃밥 끝에 돌기(apical awn)가 없다는 것도 차이점이 된다. 긴 가지가 빽빽하게 자라서 앞 길을 막는다고 플로리다 hobblebush라고 불리며 속이 빈 긴 줄기로 파이프를 만들었다고 Pipewood나 Pipestem으로 일반적으로 불리는 이 수종은 응달 습지에서 잘 자라므로 넓은 정원에서는 나름대로 용도가 많다고 한다. 향기 좋은 꽃이 풍성하게 피므로 밀원수종으로 활용되고 봄에 적갈색으로 나오는 잎은 샐러드로 식용한다고 한다.   

 

잎의 그물망맥이 뚜렷하다.
삭과는 열매가 터지는 모습에 따라 구분한다. 포간열개(우)
포배열개는 격막(septum)을 따라서 갈라지는 것이 아니고 격막을 가운데 두고서 등 가운데가 터져서 갈라진다.
잘 보이지는 않지만 꽃밥에 돌기(까끄라기)가 없다.

 

 

등록명 : 아가리스타 포풀리폴리아

등록명 : 레우코토이 왈테리(피통합)

학   명 : Agarista populifolia (Lam.) Judd(정명)

학   명 : Leucothoe walteri (Willd.) N. C. Melvin(피통합)

분   류 : 진달래과 아가리스타속 상록 관목

원산지 : 미국 남동부

영어명 : Florida hobblebush, Pipewood, Pipestem

수   고 : 2.4~3.6m

수   형 : 긴 가지가 아치형으로 무성하게 자람

잎특징 : 피침형 5~7.5cm 길이, 신엽 적갈색

꽃특징 : 줄기 엽액 총상화서 유백색 항아리형 향기

열  매 : 삭과 포배열개

개화기 : 4~5월

결실기 : 9~10월

내한성 : 영하 18도

 

아가리스타 포풀리폴리아
꽃은 나중에 갈색으로 변하면서 진다.
아가리스타 포풀리폴리아
신엽은 적갈색이다.
삭과로서 포배열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