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비우시아 알라바멘시스라고 학명 Neviusia alabamensis A.Gray로 등록된 장미과 황매화족으로 분류되는 외래 재배식물이 있다. 이는 미국 동남부가 원산지인 희귀성 낙엽 관목인데 1857년 알라바마주 블랙 워리아 강변에서 Ruben Denton Nevius목사에 의하여 발견되었기에 그 당시 미국의 대표적인 식물학자인 케임브리지대학 Asa Gray(1810~1888)교수가 발견자의 이름으로 새로운 속을 창설하고 발견지 주명으로 종소명을 정하여 1858년에 명명한 것이다. 잎과 꽃의 모습이 국내서 실목련 또는 실꽃풍년화라는 이름으로 유통되는 포테르길라속 수종들과 매우 흡사하다. 하지만 포테르길라속은 조록나무과로 분류되기 때문에 장미과로 분류되는 이 네비우시아속과는 식물분류학적으로 거리가 매우 멀다. 외견상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은 포테르길라는 수상화서이지만 네비우시아는 취산화서라는 점이다. 네비우시아속은 앞에서 다룬 황매화속과 뒤에서 다룰 병아리꽃나무속과 함께 장미과에서 아몬드아과 황매화족을 구성한다. 황매화속과 병아리꽃나무속이 단 하나의 수종으로 구성된 속이지만 네비우시아속도 처음에는 이 수종이 유일한 종이었으나 1992년에 캘리포니아에서 새로운 종이 발견되었으며 2004년에는 화석에서 멸종된 종이 하나 발견되었다.
등록명 : 네비우시아 알라바멘시스
학 명 : Neviusia alabamensis A.Gray
분 류 : 장미과 황매화족 네비우시아속 낙엽 관목
원산지 : 미국 남동부
영어명 : Alabama snow wreath
중국명 : 설당(雪棠)
수 고 : 0.9~1.8m
꽃특징 : 취산화서, 3~8송이, 무수한 수술, 꽃잎 무, 꽃받침 5
내한성 : 영하 34도
'장미과 아몬드아과 > 황매화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80 병아리꽃나무 (3) | 2023.08.21 |
---|---|
1878 황매화 '킨칸' (0) | 2023.08.10 |
1877 황매화 '골든 기니' (0) | 2023.08.04 |
1876 황매화 '픽타' - 황매화 무늬종 (0) | 2023.08.03 |
1875 황매화와 죽단화 – 출단화(黜壇花) 죽도화(竹桃花) (2) | 2023.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