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피라칸타속

1983 사천피라칸타 - 전연화극(全缘火棘)

낙은재 2024. 5. 16. 20:43

사천피라칸타

 

 

사천피라칸타는 중국 사천성 등 중남부 지역에서 자생하는 중국 고유종으로서 잎에 털이 거의 없고 가장자리 거치도 없으며 광택이 나고 줄기에 가시가 드물게 있으며 가을에 선명한 붉은색의 열매를 맺는 상록 관목 또는 소교목이다. 이 수종은 학명이 다소 복잡하다. 이 수종이 서양에 알려진 것은 전설적인 식물채집가인 Ernest Henry Wilson (1876~1930)에 의하여 1907년 유럽으로 처음 도입되면서부터 이다. 처음에는 앞 게시글에서 다룬 크레눌라타피라칸타 즉 Pyracantha crenulata인 줄 알고서 재배하다가 차이점이 발견되어 영국 수목학자인 Albert Bruce Jackson (1876~1947)이 1916년 Pyracantha gibbsii A.B.Jacks.이라는 새로운 학명을 부여한다. 이 수종이 영국 변호인이자 정치가이며 수목 수집가인 Vicary Gibbs (1853~1932)의 Aldenham에 있는 정원에 키가 6m에 달하는 아름다운 나무가 있었기 때문에 그의 이름으로 명명한 것이다. 그래서 영어 일반명이 Gibb's Firethorn인 것이다. 그런데 이 스펠링이 잘못 알려져 Gigg’s Firethorn이라고도 많이 부른다. 영어권에서는 그 외에도 원산지가 중국 사천(四川)성이라고 Sichuan Firethorn이라고도 하는데 이를 따라서 우리 이름을 사천피라칸타로 붙인 것이다. 

 

 

그러다가 10년이 지난 후 중국 주재 영국 외교관이자 식물학자인 Henry Fletcher Hance (1827~1886)가 이미 1877년에 Sportella atalantioides Hance라는 학명을 부여한 사실이 밝혀져 오스트리아 식물학자인 Otto Stapf (1857~1933)가 이 수종을 피라칸타속으로 변경하여 1926년에 Pyracantha atalantioides (Hance) Stapf라는 학명으로 재명명하였는데 현재 우리나라에는 이 학명으로 등록되어 있다. 여기서 종소명 atalantioides는 아무래도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여자 사냥꾼인 아탈란타를 닮았다고 말하는 것 같다. 열매가 아름답지만 가시가 있다고 그렇게 붙였는지 여하튼 왜 이런 이름을 붙였는지에 대한 설명은 찾아보기 어렵다. 한편 보헤미안 식물학자인 Vincenz Franz Kosteletzky(1801~1887)가 1835년경에 Mespilus loureiroi Kostel.이라고 명명한 학명을 미국 식물학자인 Elmer Drew Merrill (1876~1956)이 피라칸타속으로 변경하여 Pyracantha loureiroi (Kostel.) Merr.라는 학명을 1935년 발표한 것이 있다. 여기서 종소명 loureiroi는 베트남에서 40년간 선교활동을 했던 포르투갈의 식물학자인 João de Loureiro (1717~1791)를 기려서 붙인 것이다. 그런데 이 수종이 Pyracantha atalantioides와 동종임이 밝혀지자 1835년으로 선순위인 Pyracantha loureiroi가 적명(嫡名)이 되고 1877년의 Pyracantha atalantioides는 서명(庶名)으로 전락하게 된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이미 학명을 변경하고 있다. 하지만 당초 발표시기가 부정확한지 아니면 스펠링이 Mespilus loureiri와 헷갈려서 그런지 이를 인정하지 않고 Pyracantha atalantioides를 그대로 정명으로 인정하는 학자도 있어서 혼란스럽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성 헌터 아탈란타가 칼리돈의 멧돼지를 사냥하는 모습

 

 

그런데 이렇게 매우 복잡하고도 혼란스러운 상황을 잠재울 새로운 주장이 혁명가 중산(中山) 손문(孫文)이 1924년 중국 광동성 광주에 설립한 중국 중산대학(中山大學) 교수들을 주축으로 한 다수의 중국 식물학자들이 참여한 공동 연구로 2021년 발표한 논문에서 이 수종 또한 앞 게시글에서 다룬 크레눌라타피라칸타에 통합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따라서 서양 일부에서는 넓은잎피라칸타에 이어 이 사천피라칸타도 이미 Pyracantha crenulata에 통합시키고 있다. 이러면 이미 넓은잎피라칸타에 통합된 크레나토세라타피라칸타를 포함하면 우리나라에 현재 등록된 피라칸타 원종 기준 6종 중 3종이 모두 국내 미등록종인 중국명 세원치화극(细圆齿火棘)에 통합된 셈이다. 글쎄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이런 국제 추세를 그대로 따를지 아니면 버틸지는 알 수가 없다. 실제로 이 수종과 넓은잎피라칸타는 많이 닮았지만 그래도 차이점은 있다. 후자는 잎이 도란형이고 끝이 둔하게 둥글고 중앙 이상이 가장 넓으며 둔한 거치가 현저하며 꽃차례에 털이 거의 없지만 이 사천피라칸타는 잎이 타원형이고 끝이 급하게 뾰족하게 모이고 중앙 이하가 가장 넓으며 가장자리 거치는 거의 없으며 꽃차례에는 부드러운 털이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 수종은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다고 중국에서는 이를 전연화극(全缘火棘)이라고 한다.

 

등록명 : 사천피라칸타

학   명 : Pyracantha atalantioides (Hance) Stapf

분   류 : 장미과 피라칸타속 상록 관목 소교목

원산지 : 중국 섬서 호북 호남 사천 귀주 광동 광서

중국명 : 전연화극(全缘火棘) 구군량(救军粮) 모과자(木瓜刺)

영어명 : Gibb's Firethorn, Sichuan Firethorn

수   고 : 6m

줄   기 : 통상가시 희무자 눈지황갈색 회색유모 노지무모

엽   편 : 타원형 장원형 희장원도란형

잎크기 : 1.5~4 x 1~1.6cm

잎모양 : 선단미첨 원둔 유시자첨두 기부관설형 원형 엽변통상전연 불현명 세거치

잎면모 : 유시황갈색유모 노시양면무모 상면광량

잎면맥 : 중맥 명현 하면미대백상 중맥돌기명현

잎자루 : 2~5mm 통상무모 유시유모

꽃차례 : 복산방화서 지름 3~4cm

꽃자루 : 황갈색유모 5~10mm

꽃크기 : 지름 7~9mm

꽃받침 : 악통종상 외피유모

악   편 : 천렬 광란형 선단둔 외피 유모

화   판 : 백색 난형 4~5 x 3~4mm 선단미첨 기부단조

수   술 : 20 화사 3mm 화약황색

화   주 : 5 웅예등장

자   방 : 상부백색융모밀생

열   매 : 이과 편구형 지름 4~6mm 량홍색

화   기 : 4~5월

과   기 : 9~11월

내한성 : 영하 18도

 

사천피라칸타
사천피라칸타
사천피라칸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