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장미과 아몬드아과/피라칸타속

1984 대만피라칸타

낙은재 2024. 5. 19. 16:31

대만피라칸타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자생하는 피라칸타는 없어도 대만에서 자생하는 피라칸타 수종이 하나 있다. 일본에서 대만 전문 식물학자로 유명한 하야타 분조(早田文藏, 1874~1934)가 1911년 대만에서 신종을 발견하여 처음에는 꽃차례가 정생이냐 측생이냐와 소핵의 위치 등으로 구분하여 개야광나무속으로 분류하여 Cotoneaster koidzumii와 Cotoneaster formosanus라는 두 종을 명명한다. 여기서 종소명 koidzumii는 하야타의 스승이자 대만 전문 식물학자인 고이즈미 겐이치(小泉源一, 1883~1953)의 이름에서 온 것이며 또 다른 종소명 formosanus는 대만의 옛이름 Formosa에서 온 것이다. 고이즈미교수는 일본왕벚나무의 제주도 원산지설을 처음 주장한 사람이기도 하다. 그 후 미국 하버드대학 아놀드수목원의 Alfred Rehder (1863~1949)교수가 이들 둘을 통합하고 피라칸타속으로 변경하여 Pyracantha koidzumii (Hayata) Rehder라는 학명으로 1920년 재명명한다. 이 학명이 현재까지 사용되는데 우리나라에는 원종은 등록되어 있지 않고 그 정체가 다소 모호한 'Red Pillar'라는 영국에서 발견된 원예품종만 등록되어 있다. 이 원예품종은 원래부터 상세한 묘사가 없으므로 그 어떤 설명도 찾아보기 힘들며 사진도 구하기 어렵다. 하지만 국내 어디엔가는 존재하기에 등록되었을 것이므로 실물을 확인하는 수밖에는 없을 듯하다. 그 이름으로 봐서는 아마 직립형으로 자라는 품종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Pyracantha coccinea 'Red Column' 즉 직립형 붉은피라칸타와 매우 유사한 형태일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대만에서는 대만화자목(台灣火刺木)이라고 하고 중국에서는 대만화극(台湾火棘)이라고 한다. 그런데 일본 이름이 타이토우카마츠카(タイトウカマツカ)로 한자로는 대동겸병(台東鎌柄)이라고 한다. 여기서 대동은 대만 남부에 있는 도시의 이름이다. 그리고 겸병은 일본에서 윤노리나무를 이르는 말이다. 일본에는 피라칸타가 자생하지 않는다고 피라칸타속의 일본 명칭조차도 제대로 없다. 그래서 몇 개 안되는 수종들의 이름이 제각각 다르다는 것이 흥미롭다. 우선 모식종인 유럽 원산 붉은피라칸타를 도키와산자시(トキワサンザシ) 즉 상반산사자(常磐山査子)라고 부르며 이 이름을 그대로 속명으로 한다. 그 다음 우리가 과거 피라칸타라고 했던 중국 원산의 좁은잎피라칸타는 타치바나모도키(タチバナモドキ)라고 타치바나(橘)라는 귤나무를 닮았다(擬き)는 뜻으로 부른다. 그리고 히말라야 주위 광범위한 주변국가가 원산지인 Pyracantha crenulata는 엉뚱하게도 카잔데마리(カザンデマリ) 즉 화산수국(花山手鞠) 결국 꽃산수국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며 이 대만 원산의 수종은 대동 윤노리나무라는 뜻인 대동겸병(台東鎌柄)으로 불러 그야말로 중구난방이다. 일본도 과거 마키노 토미타로(牧野 富太郎, 1862~1957)나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 1882~1952), 고이즈미 겐이치(小泉源一, 1883~1953) 같은 걸출한 식물학자들이 사라진 다음 체계적인 명명시스템이 무너진 모습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여하튼 여기서는 대만피라칸타 '레드 필러'가 아닌 그 원종인 국내 미등록종인 대만피라칸타에 대하여 파악해 본다. 이 수종은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어서 사천피라칸타와 유사하지만 잎 모양이 장원형이고 잎의 끝이 살짝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둥근 것이 특징이며 어린 잎은 앞뒤 양면에 단유모가 있어 구분이 된다.

 

 

등록명 : 대만피라칸타(미등록종)

학    명 : Pyracantha koidzumii (Hayata) Rehder

분    류 : 장미과 피라칸타속 상록 관목

원산지 : 대만

대만명 : 대만화자목(台灣火刺木)

중국명 : 대만화극(台湾火棘)

일본명 : 타이토우카마츠카(タイトウカマツカ) = 대동겸병(台東鎌柄)

영어명 : Formosa firethorn, Taiwan firethorn

수    고 : 4m

줄    기 : 소지 자상 유시유모 노시심회색 세로추문 무모

잎특징 : 소지상 3~5개 총생 장타원형 착도란형

잎크기 : 3~4.5 x 0.7~1.2cm

잎모양 : 선단미요 절형 기부설형 연변전연

잎면모 : 상면광활 하면창백색 유시단유모밀생 축점탈락

잎자루 : 3mm 세모

꽃차례 : 산방화서 지름 3~4cm

꽃자루 : 5~11mm 유모

꽃받침 : 종상 외면 유모 악편 3각형

꽃부리 : 근원형 광란형 3.5~4 x 3~4mm, 선단미요 기부유모

수    술 : 20 화사 2~3mm

화    주 : 5 이생 웅예등장

자    방 : 외면 유모

열    매 : 이과 편구형 지름 6~8mm 길홍색 악편숙존 소핵 5 삼릉형 종황색

개화기 : 5월

결실기 : 9월

내한성 : 영하 18도

 

대만피라칸타
대만피라칸타
대만피라칸타
대만피라칸타(좌)와 직립형 Pyracantha coccinea 'Red Column'(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