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옻나무과

144 산검양옻나무

낙은재 2016. 8. 11. 15:05

산검양옻나무

사진출처 : 국생정


이번에는 우리 자생종 옻나무 중 마지막으로 산검양옻나무를 알아본다. 이 나무 또한 생소한 이름이지만 의외로 한반도 중부 이남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나무이다. 검양옻나무가 실질적으로 거의 제주도에만 자생하는 것과는 대조된다. 이 나무의 이름을 보면 검양옻나무와 상당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나 전세계 20여 종 있다는 옻나무속 수종 중 하나라는 것 외에는 별 특별한 관계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이름이 붙은 것은 전적으로 일본의 영향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거꾸로 우리의 이름이 일본에 영향을 주었다기에는 우리나라 일반 서민들의 삶과의 거리가 멀어 우리 자신들도 잘 모르는 나무였을 것 같다. 그 반면에 일본에서는 이 나무가 일본인들의 일상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어 왔던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럼 결국 일본에서 검양옻나무를 황로(黄櫨)로 이 산검양옻나무를 산황로(山黄櫨)로 부르는 것을 따라한 것으로 보인다. 지금도 어떤 분들은 검양옻나무의 한자어가 로(櫨) 또는 황로(黄櫨)인 줄로 알고 있는데 이건 사실이 아니다. 로(櫨)는 일본식 한자표기어 일 뿐이다. 중국에서는 로(櫨)가 안개나무를 지칭하여 전혀 다른 나무가 된다. 중국에서 옻나무는 칠(漆)이며 이 산검양옻나무만은 밀랍의 재료를 채취한다고 목랍수(木蜡树)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러나 산검양옻나무도 중국에서 목랍수 이외에 대칠수, 대목칠, 양칠수 등 칠(漆)자가 들어간 다양한 별명을 가지고 있다.


사실 근연관계로 따지고 보면 옻나무와 검양옻나무는 일부에서 옻나무가 검양옻나무의 변이종이라는 주장이 있을 정도로 가까운 관계이다. 나머지 개옻나무와 산검양옻나무는 각기 다른 종으로 보면 되겠다.


등록명 : 산검양옻나무

학  명 : Rhus sylvestris Siebold & Zucc.

분  류 : 옻나무과 붉나무속 교목 또는 소교목

신학명 : Toxicodendron sylvestre (Sieb. et Zucc.) O. Kuntze

신분류 : 옻나무과 옻나무속 

원산지 : 우리 자생종, 중국, 일본

중국명 : 목랍수(木蜡树), 별명 - 대칠수(大漆树) 등

일본명 : 야마하제(ヤマハゼ : 山黄櫨)

수  고 : 10m

가  지 : 어린 가지와 맹아 황갈색 융모

수  피 : 회갈색, 초기 평활 나중에 세로로 갈라짐

잎차례 : 기수우상복엽, 호생, 엽축과 엽병 원주형, 황갈색 융모 밀생

소엽수 : 7 ~ 13 (드물게 15)개, 대생

잎자루 : 4~8cm

소  엽 : 지질, 난형, 난상타원형, 장원형, 4~10 x 2~4cm, 선단점첨, 급첨, 기부 불대칭, 원형, 활설형, 전연

소엽병 : 무병 또는 짧음

잎앞면 : 중맥밀피권곡미유모, 여타 평상미유모

잎뒷면 : 밀피유모, 근맥상교밀

잎측맥 : 15~25쌍, 양면 돌기, 뒷면 세맥 약간 돌기

꽃차례 : 원추화서, 8~15cm, 갈색 융모 밀생, 총경장 1.5~3cm

꽃특징 : 자웅이주, 황색, 1.5mm 꽃자루, 권곡미유모

꽃받침 : 무모, 열편난형, 0.8mm 길이, 선단둔

꽃  잎 : 장원형, 1.6mm 길이, 암갈색맥문, 무모

꽃수술 : 신출

수술대 : 선형, 1.5mm

꽃  밥 : 0.5mm, 무모, 암꽃중 수술은 짧음, 수술대 찬형(钻形)

화  반 : 무모

자  방 : 구형, 1mm 지름, 무모

핵  과 : 극편사, 압편, 선단 한쪽으로 치우침, 8mm x 6~7mm

외  과 : 피박(얇은 껍질), 광택, 무모, 성숙시 불렬, 중과피 납질, 과핵 견경

환  경 : 해발 140 ~ 800(2,300) 산림지역

주  의 : 옻나무 만큼은 아니어도 건드리면 사람에 따라서는 옻이 오르게 되며 특히 전정시는 반드시 장갑을 껴 수액 접촉을 피해야 한다. 


종소명 sylvestre는 야생 또는 숲속이란 뜻이며 중국명 목랍수는 밀랍을 채취하는 나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 이 나무 목재로 사용하는 것 외 우리나라에서는 검양옻나무와 동일한 야칠(野漆)이라는 생약명으로 당뇨 관절염 등의 치료용 약재로 사용한다고 하나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약용에는 별 관심이 없는 것 같다. 그리고 일본에서는 검양옻나무는 가뭄시 식용으로 활용하였다고 하는데 이 산검양옻나무는 식용하였다는 기록이 없다고 한다. 그리고 일본의 경우 초를 만들기 위한 밀랍채취 목적용 재배도 검양옻나무가 들어 온 이후에는 거의 중지되다시피 줄어 들었다고 한다.


산검양옻나무

사진출처 : 국생정

열매에는 털이 없으나 자루에는 융모가 밀생한다.


산검양옻나무

사진출처 : 국생정


산검양옻나무

사진출처 : 국생정



산검양옻나무

사진출처 : 국생정


산검양옻나무

사진출처 : 국생정


산검양옻나무

사진출처 : 국생정


산검양옻나무

잎의 앞뒤에도 부드러운 털이 밀생한다.


산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에 비하여 잎이 넓다.


산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어린 가지에 황갈색 융모가 밀생


산검양옻나무

암꽃


산검양옻나무

암꽃


산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수꽃


산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나이가 들면 세로로 갈라진다.


산검양옻나무

어린 나무의 수피는 매끈하다.



'기타 과 식물 > 옻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6 덩굴옻나무 - 유독식물  (0) 2016.08.16
145 옻나무와 개옻나무, 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구별법  (0) 2016.08.13
143 검양옻나무  (0) 2016.08.10
142 개옻나무  (0) 2016.08.08
141 옻나무  (0) 2016.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