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기타 과 식물/옻나무과

143 검양옻나무

낙은재 2016. 8. 10. 23:04

검양옻나무

사진 출처 : 국생정

털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에는 우리나라 제주도와 전라남도에 자생한다는 검양옻나무에 대하여 알아본다. 나무에 관심을 두면서 느낀 점인데 그 이름이 특이하고 수종이 희귀하더라도 나름대로 특징이 뚜렷하여 쉽게 기억되며 구분하기 쉬운 나무가 있는 반면에 우리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더라도 이것과 저것의 구분이 매우 어려운 나무들이 몇 종류 있다. 이들 나무들 이름을 인터넷에서 검색하면 거의 반 이상이 뒤죽박죽 혼동된 정확하지 않은 사진들이 뜬다. 그렇다고 표준이 되어야 할 백과사전이나 국생정 자료에도 뚜렷한 구분 법이 없으며 심지어는 거기에도 설명문과 사진이 일치하지 않는 혼동된 자료들이 올려져 있어 헷갈림을 더 부채질하고 있다. 그래서 제대로 파악하기란 참으로 어려운 것이 우리나라 현실이다. 


이미 앞에서 다룬 바 있는 목서와 꽃사과들이 그랬고 얼마 전에 다룬 피나무속 나무들이 그랬다. 이들은 나름대로 차이점을 파악하려면 엄청 많은 글을 읽어야 하고 많은 사진을 살펴봐야 하므로 시간이 매우 많이 소비된다. 이 옻나무도 그것들 못지않게 정말 동정하기 어려운 나무라고 판단된다. 그래서 나는 이제껏 옻나무에 대하여는 전혀 아는 바가 없으나 신뢰할 만한 정보를 구할 수가 없다고 판단하여 포기하고 있다가 이번에 용기내어 탐구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옻나무에 이어 개옻나무를 지나 이번에 검양옻나무에 이르니 이제 겨우 안개가 조금 걷힐 것 같은 조짐은 보인다. 


나는 어릴 때 시골에서 들이나 산에 가면 건드리면 옻이 오르는 옻나무와 건드려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 개옻나무를 많이 봐 왔는데 지금와서 생각해보니 그 옻나무는 주로 개옻나무였겠지만 더러는 옻나무도 있었던 것 같고 시골에서 개옻나무로 불렀던 것은 붉나무를 지칭하였던 것 같다. 그리고 옻나무로 불렀던 것은 참옻으로 불리는 옻나무와 개옻나무로 갈라지며 옻나무는 중국에서 들어 온 재배종으로 주로 민가에만 있고 야생에 있는 것은 거의 개옻나무라고 나중에 들었다. 그리고 그 구분 포인트는 주로 붉은 색 가지에 의한다고 한다. 여기까지가 내가 상식적으로 들은 옻나무에 대한 지식이다. 


그러나 이번 탐구 결과 이건 아닌 것 같다. 우선 옻나무가 중국에서 들어 와 주로 민가에서 재배한다는 설은 말도 안된다. 중국에서 들어 왔다는 점도 의문시 되지만 들어 온 것이 맞다고 하더라도 그 시기가 천 년이 넘은 신라시대이므로 여태껏 민가에만 머물러 있다는 것이 납득이 안된다. 실제로 옻나무는 중국에서는 해발 800 ~ 2,800m 고산지대에 많이 자생하는 수종인데 우리나라에 와서 천 년 동안 민가 주변에서만 머물 수는 없는 것이다. 다만 민가에서 재배를 한다면 약효가 가장 뛰어난 옻나무를 재배하였을 것이고 사람들이 산에서 만난 것은 구분이 어려워 개옻나무라고 판단한 것이 아닌가 한다. 실제로 옻나무의 국생정 표본분포지 자료에도 설악산이나 용문산이 들어 있다. 그리고 붉은색 가지가 있는 것은 개옻나무만의 특징은 아닌 것 같다. 산검양옻나무도 그렇고 가끔 옻나무도 줄기가 진한 갈색을 띠는 경우가 있어 절대적인 기준은 못되는 것 같다.


각설하고 검양옻나무 정말 생소한 이름이다. 이게 우리 자생종이고 옻나무가 외래 재배종이란 데서 혼란이 시작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중국자료에는 중국 원산이고 우리나라와 일본 그리고 인도에 분포한다고 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의 자료에서는 16세기에 중국에서 들어 온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제주도와 전라남도에 자생하는 수종이라고 한다. 일부 학자들은 여기에 의문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앞으로 연구가 필요하겠다. 


어느 백과사전에는 바다(양 : 洋) 건너온 검은 옻나무라고 검양옻나무라고 부른다고 하는데 우리 자생종이라면 바다 건너올 이유가 없다. 따라서 검붉은 빛을 뜻하는 거먕에서 온 말이라는 설이 설득력 있어 보인다. 즉 거먕옻나무가 검양옻나무로 변천한 것이라는 이야기이다. 옻나무의 수액이 유백색인데 반하여 검양옻나무의 수액은 흑갈색이기 때문이다. 제주도와 전라남도에 자생하고 중국에서도 주로 양자강 이남에서 자생한다고 하며 일본에서도 관동지방 이남에 주로 자생한다는 이 나무 실제로는 내한성이 그다지 약하지 않는지 우리나라 충청도는 물론 강원도에서도 자란다고 한다. 그런데 왜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지 못하였는지 궁금하다. 최근에 널리 이름이 알려진 이유는 일본에서 들어 온 분재 때문으로 보인다. 우리 자생식물도 우리가 무관심하면 이렇게 비싼돈 들여 외국에서 예쁜 포장으로 상품화된 것을 수입하게 되는 것이다. 씁쓸하다.



검양옻나무

잎의 거치가 없지만 어린 나무에서는 이런 큰 거치가 있다.


검양옻나무

일본 분재의 모습이다.



등록명 : 검양옻나무

학  명 : Rhus succedanea L.

분  류 : 옻나무과 붉나무속 교목

신학명 : Toxicodendron succedaneum (L.) O. Kuntze

신분류 : 옻나무과 옻나무속 교목 또는 소교목

원산지 : 우리나라, 중국

중국명 : 야칠(野漆)

일본명 : 하제노기(ハゼノキ : 櫨の木, 黄櫨の木)

영어명 : Japanese wax tree

수  고 : 10m

소  지 : 무모, 조장, 정아대, 자갈색, 외면 근무모

잎차례 : 기수우상복엽, 무모, 25~35cm, 소엽 9~15, 엽축과 엽병 원주형

잎자루 : 6~9cm

소  엽 : 대생 혹 근대생, 견지질, 박혁질, 긴원상타원형, 활피침형 혹 난상피침형, 5~16 x 2~5.5cm, 선단점첨 혹 장점첨, 기부 다소편사, 원형 혹 활설형, 전연, 양면무모, 엽배 백분, 측맥 15~22쌍, 호형상승, 양면약돌

소엽병 : 2~5mm

꽃차례 : 자웅이주, 원추화서, 7~15cm, 잎길이의 절반, 다분지, 무모

꽃색상 : 황록색, 2mm 지름

꽃자루 : 2mm 길이

꽃받침 : 무모, 열편 활난형, 선단둔, 1mm 길이

꽃  잎 : 긴원형, 2mm, 중부 희미한 우상맥 또는 무맥, 개화시 외권

꽃수술 : 신출, 수술대 선형, 장약 2mm, 꽃받 난형, 장1mm

꽃받침 : 5열

자  방 : 구형, 0.8mm 지름, 무모, 화주 1개, 짧음, 화두 3열, 갈색

핵  과 : 대, 편사, 7~10mm, 압편, 선단편이중심,

외  과 : 피막, 담황색, 무모

중  과 : 과피 두꺼움, 납질, 백색

과  핵 : 견경, 압편

용  도 : 뿌리와 잎 약용, 종자 채유, 중과피 채납질, 수액 도료

목  재 : 견고 치밀, 세공용재로 활용

주  의 : 옻나무 만큼은 아니어도 건드리면 사람에 따라서는 옻이 오르게 되며 특히 전정시는 반드시 장갑을 껴 수액 접촉을 피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옻나무 어린 순을 데친 다음 물에 담가 독성을 제거하고 나물로 먹는다고 하는데 일본에서는 에도시절 이 검양옻나무를 초의 원료로 대대적으로 재배하였으며 나중에는 굽거나 떡을 만들어 먹는 구황식물로서의 역할도 하였다고 한다. 자생종이라고 하는 우리는 오히려 이 나무가 일반인들에게 생소한데 일본에서는 서민들의 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었던 것 같다.


여기 제 블로그에 있는 사진들은 직접 촬영한 것도 있지만 대부분 식물 공부를 위하여 여기저기서 퍼온 것들이므로 복사나 전재에 대한 허가 권한이 저에게는 없습니다. 따라서 함부로 사용할 경우 원저작권자로부터 항의나 책임추궁을 받을 수가 있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검양옻나무

사진 출처 : 국생정

잎이 좁고 길며 단단한 지질 또는 얇은 혁질이 특징이다.


검양옻나무

사진 출처 : 국생정


검양옻나무

사진 출처 : 국생정

잎꼬리가 뾰족하여 여느 옻나무와는 다르다.


검양옻나무

사진 출처 : 국생정


검양옻나무

사진 출처 : 국생정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뒷면에도 전혀 털이 없다.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새순들이 뾰족하다.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수꽃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암꽃


검양옻나무

암꽃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어린 나무는 거치가 있다.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검양옻나무


'기타 과 식물 > 옻나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6 덩굴옻나무 - 유독식물  (0) 2016.08.16
145 옻나무와 개옻나무, 검양옻나무, 산검양옻나무 구별법  (0) 2016.08.13
144 산검양옻나무  (0) 2016.08.11
142 개옻나무  (0) 2016.08.08
141 옻나무  (0) 2016.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