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탐구이야기

물푸레나무과/목서(계화)속

295 델라바이목서 = 중국 산계화(山桂花), 관화목서(管花木犀)

낙은재 2017. 3. 9. 08:54

델라바이목서

중국명 : 산계화(山桂花), 관화목서(管花木犀)


델라바이목서

중국명 : 산계화(山桂花), 관화목서(管花木犀)

이 델라바이목서는 봄에 개화하므로 가을에 피는 목서들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델라바이목서는 그 이름만 들었을 때는 서양에서 온 종 같지만 실제로는 중국 고유종으로서 중국에서는 산계화(山桂花)또는 관화목서(管花木犀)로 불리는 목서속 수종 중 하나이다. 중국 이름 산계화에서는 계화만 못하거나 주로 산에서 자라는 종임을 알 수 있겠고 관화목서에서는 꽃의 부리가 길쭉한 관모양으로 생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동양에서 온 종들은 한자식 이름으로 부르면 그 이름에서 대개 그 식물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데다가 이름을 외우기도 쉬우련만 델라바이목서가 웬말인지 모르겠다. 델라바이목서는 중국에서 활동 중이던 프랑스 선교사 장 마리에 델라바이(Jean Marie Delavay)에 의하여 중국 운남성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그의 이름으로 명명되어 1886년 프랑스 식물학자 프랑쉐(Franchet)에 의하여 학계 보고된 수종이다. 


향기는 금목서나 은목서 등에 비하여 다소 약하지만 꽃 모양은 더 크고 볼만하며 특히 내한성이 영하 15도로 목서에 비하여 강하므로 다소 추운 지역에까지 노지월동이 가능하여 보다 더 추운 지역에서 목서의 대체수목으로 인기가 높아 미국과 호주 및 유럽 등 서구에도 널리 보급되어 있다. 재미있는 일화는 당초 중국에서 종자를 채취한 델라바이 선교사가 종자를 프랑스의 종묘회사로 보냈는데 거기서 여러 군데로 퍼져나갔으나 오직 단 하나의 씨앗만 발아에 성공하여 1차대전 이후 추가로 중국에서 들어오기 전까지 서구사회에 보급된 델라바이목서는 모두 하나의 종자에서 나온 것이라고 한다. 일찍이 1921년에 영국 원예학회로 부터 우수품종상인 Award of Garden Merit를 받은 바 있다.


원산지 중국의 별명 관화목서(管花木犀)는 긴 관을 가진 꽃부리 때문인 것이 분명하고 중국 정명 산계화(山桂花)는 이 나무가 중국의 남쪽지방인 운남성과 귀주성 그리고 사천성의 해발 2,100 ~ 3,400m의 고지대에 주로 자생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비록 남쪽 더운 지방이지만 실제로는 고산지대에서 자생하기 때문에 내한성이 높은 것이다. 그런데 이런 식물들은 비슷한 온도대의 평지 즉 우리나라 중부지역과 같은 곳에서는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러 있는데 그것은 기압차일 것이라는 설도 있으나 여름의 높은 온도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제주도 한라산 구상나무가 중부지방에서는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 아닐까 한다. 아열대지방의 고산지대 식물은 너무 덥지도 너무 춥지도 않아야 하는데 내한성에만 초점을 맞추면 더운 여름을 견뎌내기 어렵다. 그러나 이 델라바이목서는 세계 각지로 퍼져나가 잘 적응하는 것으로 봐서는 크게 걱정은 안해도 될 듯하다. 


등록명 : 델라바이목서

학  명 : Osmanthus delavayi Franch. 

분  류 : 물푸레나무과 목서속 상록관목

원산지 : 중국

중국명 : 산계화(山桂花), 관화목서(管花木犀)

영어명 : Delavay osmanthus

수  고 : 2m(드물게 5m)

줄  기 : 소지회갈색, 유지홍갈색, 균밀피유모

옆  편 : 후혁질, 장원형, 관타원형혹관란형

잎크기 : 1~2.5(4) x 1~1.5(2)cm

잎모양 : 선단예첨지둔, 구소첨두, 기부관설형

잎거치 : 엽연구6~10대예첨거치, 치장약1mm

선  점 : 양면소침공상요점 혹 소침첨상돌기

잎면맥 : 중맥양면철기, 연상면중맥치유모, 근엽병처우밀, 측맥4~5대, 양면균불철기

잎자루 : 2~3mm, 피유모, 혹지소유시피유모

꽃차례 : 족생 엽액혹 소지정단, 매액내4~8타화

꽃자루 : 2~5mm, 무모, 희략피유모

포  편 : 관란형, 선단예첨, 초피유모, 변연구첩모, 통상조락

꽃향기 : 뱡향

꽃받침 : 장2~4mm, 열편과열편관등장, 구첩모

꽃부리 : 백색, 화관관 6~10mm, 경 1~2mm, 열편장4~6mm

꽃수술 : 2개, 화관관중부착생, 화사1mm, 화약2mm, 약격연신성명현소첨두

꽃암술 : 3~4mm, 화주장2.5mm, 주두명현2렬

열  매 : 타원상란형, 장1~1.2cm, 남흑색

개화기 : 4~5월

결실기 : 9~10월

내한성 : 영하 15도, 충청도까지는 월동이 가능해 보인다.

이 수종의 모식중 표본 채취는 운남성 맹획영지구라는데 삼국지에 나오는 칠종칠금 남만의 맹획이 살던 근거지이다.


델라바이목서

양성화인데 암술은 수술에 가려서 잘 안 보인다.


델라바이목서


델라바이목서


델라바이목서

중국명 : 산계화(山桂花), 관화목서(管花木犀)


델라바이목서

중국명 : 산계화(山桂花), 관화목서(管花木犀)


델라바이목서

중국명 : 산계화(山桂花), 관화목서(管花木犀)


델라바이목서

목서보다 더 큰 꽃이 모든 잎 겨드랑이에서 4~8송이씩 모여서 핀다.


델라바이목서

왜 원산지 중국에서 관화목서라고 부르는지를 잘 보여준다.


델라바이목서

꽃이 만개한 모습은 마치 조팝나무 같다.

목서에 비하여 향기는 좀 약하지만 추위에 강하고 꽃이 뚜렷하므로 나름대로 매력이 있어 보인다.


델라바이목서